데니슨 옴스테드

Denison Olmsted
데니슨 옴스테드
Denison Olmsted.jpg
태어난(1791-06-18)1791년 6월 18일
죽은1859년 5월 13일 (1859-05-13) (67세)
모교예일 칼리지
과학 경력
기관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예일 칼리지
서명
Appletons' Olmsted Denison signature.jpg

데니슨 옴스테드(Denison Olmsted, 1791년 6월 18일 ~ 1859년 5월 13일)는 미국의 물리학자천문학자였다.[1] 옴스테드 교수는 1833년 북아메리카 상공의 레오니드 유성우가 그에게 이 현상을 연구하도록 자극한 후 운석과학을 탄생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전기

옴스테드는 1791년 6월 18일 코네티컷 이스트 하트포드에서 태어났다. 1813년 예일 대학을 졸업하고 1815년부터 1817년까지 대학 과외 교사로 활동하였다. 말년에 채플 힐에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화학, 광물학, 지질학 석좌에 임명되었다.[1]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골드러시로 인해 주 의회는 미국에서 시도된 최초의 주 지질 조사를 후원하게 되었다. 옴스테드는 1825년에 그의 지질 지도를 출판하면서 광물과 화석을 수집하기 위해 말을 타고 주를 횡단했다.[2]

1825년 예일대 수학과 자연철학 교수가 되었다.[3] 그는 1830년 정교한 우박 이론을 발표하여 많은 논의를 일으켰으나, 마침내 기상학자들의 일반적인 승인을 받았다. 1833년 11월 떨어진 별똥별의 소나기는 그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우주적 기원을 만족스럽게 증명할 수 있을 때까지 그들의 역사와 행동을 연구했다. 옴스테드는 내가 라디에이터라고 부르는 특이한 종류의 기구라고 썼을 때 1834년의 특허에서 라디에이터라는 단어를 난방기구를 의미하는 의미로 사용한 가장 이른 사람으로 보인다.[4] 옴스테드와 그의 동료인 엘리아스 루미스는 1835년 핼리 혜성을 관찰한 최초의 미국 조사관이었다.[5]

1836년 그의 예일대 교수직은 분단되었고, 그는 자연철학,[3] 수학학과를 앤서니 D에 배치되었다. 스탠리. 몇 년 동안, 그는 오로라의 일련의 관찰을 계속했다.

옴스테드는 상당한 기계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어 타인의 발명품을 홍보하고 완성하는데 사용했지만, 그 자신이 옴스테드 스토브와 같은 편리하고 안락한 물품을 자주 발명하면서도 특허로 권리를 확보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옴스테드는 1859년 5월 13일 코네티컷 주의 헤이븐에서 사망했다.[1]

선별된 글

Appletons' Olmsted Denison.jpg

옴스테드는 자연철학과 천문학에 관한 교과서를 썼고, 이것들은 잘 팔렸다.[6] 그러나 그는 주로 우박(1830), 유성, 오로라 보렐리스에 대한 관찰로 과학계에 알려져 있다([1]스미소니언 기고, 제8권, 워싱턴, 1850 참조). 기타:

  • 학생 공통 도서(New Haven, 1828년)
  • 자연철학 소개 (2권, 뉴욕, 1831년)
  • 자연철학 종합편찬(1832년)
  • 1833년 11월 13일 (1834년)[7] 운석에 관한 관측
  • 천문학 소개(1839년)
  • 천문학 종합편람 (1841)
  • 천문학에 관한 편지, 숙녀에게 보내는 편지 (1841)
  • 에베네저 포터 메이슨 생애와 글 (뉴욕, 1842년)
  • 자연철학과 천문학의 기초 (신시내티, 1844년)

옴스테드는 몇몇 전기적 스케치를 썼는데, 그 중 하나는 일라이 휘트니에 관한 가장 영향력 있는 글들 중 하나가 되었다. Esq, Eli Whitney의 회고록은 휘트니가 죽은 지 7년 후인 1832년 미국 과학 저널에 처음 출판되었다. 초기 전기의 세부 사항은 서로 달랐는데,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휘트니가 발명했을 당시 솜을 짜는 연습 상태였다. Olmsted는 노동자들이 손가락으로 목화와 씨앗을 분리시켰다고 말했고, 다른 사람들은 롤러 진이 널리 사용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옴스테드는 휘트니가 면진(cotton gin)을 발명했다고 말했고, 다른 사람들은 휘트니가 새롭고 더 효율적인 종류의 진을 발명하는 데 있어 더 겸손한 성과를 그에게 공로했다고 말했다. 특히 남북전쟁 이후 대부분의 후기 전기 작가들은 옴스테드의 버전을 채택했다. 한편, 미국 남부에 대해 보다 폭넓게 글을 쓰는 작가들은 목화 진을 19세기 번영의 상징이나 노예제도의 폐해로 취급하면서 올름스테드의 사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8]

추가 읽기

  • Treadwell, Theodore R. (1946). "Denison Olmsted an Early American Astronomer". Popular Astronomy. 54: 237–241. Bibcode:1946PA.....54..237T.
  • Parker, John M., III (1996). "Denison Olmsted, 18 June 1791-13 May 1859". In Powell, William S. (ed.). Dictionary of North Carolina Biograph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via Documenting the American South, University Library,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04.


가족

그의 아들 프란시스 앨린 옴스테드하와이에 관한 책을 썼다. 그의 아들 알렉산더 피셔 옴스테드(1822–1853)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화학과 교수였다.

메모들

  1. ^ a b c d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이 현재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2. ^ Martin, Margaret (2001). A long look at nature : the North Carolina State Museum of Natural Sciences. Chapel Hill: Published for the North Carolina State Museum of Natural Sciences by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pp. 7, 26–27. ISBN 0807849855. OCLC 47050099.
  3. ^ a b Dexter, Franklin Bowditch (1885). Biographical sketches of the graduates of Yale College : with annals of the college history. Cornell University Library. New York : Holt. pp. 593.
  4. ^ Kay, Thornton (March 14, 2016). "A peculiar kind of apparatus, which I call a radiator". Salvo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3, 2016. Retrieved December 22, 2016.
  5. ^ Sisser, Sasha (May 6, 2004). "Denison Olmsted (1791-1859)" (PDF). Temple University. Retrieved November 16, 2015.
  6. ^ Dexter, Franklin Bowditch (1885). Biographical sketches of the graduates of Yale College : with annals of the college history. Cornell University Library. New York : Holt. pp. 593.
  7. ^ Olmsted, Denison (1833). "Observations on the Meteors of November 13th, 1833". Th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and Arts. 25: 363–411. Retrieved April 3, 2012.
  8. ^ 1949-, Lakwete, Angela (2003). Inventing the cotton gin : machine and myth in antebellum America.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53, 177–192. ISBN 0801873940. OCLC 51445810.{{cite book}}: 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