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톤 고원

Denniston Plateau
데니스톤 고원
로치포트 마운트 데니스톤-스톡턴 고원
View across Denniston Plateau to Mount Rochfort
로치포트 산 남쪽 보기
최고점
표고600m(2,000ft)
좌표41°44′47″S 171°47′59″E/41.74639°S 171.79972°E/ -41.74639; 171.79972좌표: 41°44′47″S 171°47′59″E / 41.74639°S 171.79972°E / -41.74639; 171.79972
이름 지정
어원탄광관리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지리
위치뉴질랜드 서해안지역 불러
상위 범위파파하우아 산맥

덴니스톤 고원(기술적으로 데니스톤-스톡톤 고원)은 뉴질랜드 남섬 서부 해안 파파하우아 산맥에 있는 길이 18km의 고원, 높이 600–800m의 카울필드 고원이다.불침투성 암석, 높은 강우량, 얕은 산성 토양의 조합은 수많은 고유하고 원치 않는 식물과 무척추동물의 서식지인, 묘사한 나무와 건강 같은 식물의 독특한 생태계를 만들어냈다.고원에는 양질의 석탄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덴니스톤밀러튼의 광산촌과 현재의 스톡톤 광산이 조성되고 폐기되었다.고원 남쪽에 새로운 오픈캐스트 광산을 조성하려는 계획이 환경 논란이 되고 있다.

물리학

Denniston-Stockton 고원은 남쪽의 Westport 근처에 있는 Rochfort 산에서 북쪽의 Granity까지 약 18km(11mi)에 걸쳐 있다.폭은 약 3-4km(1.9–2.5mi), 해발 600–800m(2,000–2,600ft)이며, 북쪽 (Millerton)과 남쪽 (Denniston) 범위에서 낮으며, 프레데릭 산 쪽으로 가운데에서 가장 높다.[1]와이망가로아 강에서 데니스톤과 스톡톤 평야로 2등분되어 있는데, 이 평야는 종종 "덴니스톤 고원"이라는 용어는 전체 지형 및 생태계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때로는 개별적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지질학

고원의 표면에 있는 주요 암석은 사암으로, 거칠고 산성적인 실리카 모래로 침식되었다.[1]사암 아래는 4,500만년 전 늪지대에 놓여진 고품질 유연탄의 풍부한 솔기가 있기 때문에 '불러 석탄 고원'[2]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부분적으로 파괴된 식물 물질은 4천2백만~4천5백만년 전에 peat에 압축되었다가 해양과 암석을 침식하여 덮었다가 다시 한번 3700만년 전에 석탄으로 압축되었다.[1]이 고원은 급속도로 솟아오른 남알프스의 일부로 지난 2백만 년 이내에 현재의 고도로 끌어올려졌다.[1]

월리암산으로 가는 마우카 스크럽 건너편 보기

고원의 토양은 기껏해야 얇고, 종종 불임이고, 유기물이 적고, 배수가 잘 안되고, 산성도가 낮다; 데니스톤의 광부들은 화원을 만들고, 데니스톤 인클라인을 녹색으로 칠하는 데 필요한 모든 토양을 가져와야 했다.[3][4]불침투성 사암층은 땅이 자주 물에 잠기고 흙이 전혀 없는 헐벗고 침식된 바위가 크게 펼쳐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

기후

고원은 강한 비, 낮은 일조 시간, 추위, 바람, 그리고 종종 안개와 같은 혹독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3]

플로라

고원의 초목은 희박하고 탁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혹독한 기후와 열악한 토양의 결과물로서 식물종의 다양성이 높고, 분재와 같은 작은 관목의 일부는 수백 년 된 것이다.[4]고원은 비정상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발견되는 고산 식물과 국부화 식물 또는 고유 식물 몇 개를 포함한다.[1]

고원의 맨 바위에서 자라는 라타, 마누카, 양치류

더 많은 보호구역과 더 좋은 토양에서, 초목은 마누카(Leptospermum scopiarium), 산 다섯 손가락(Pseudopanax colensoi), 남부 라타(Metroisineos umbellata), 산 아마(Phormium colensoi)로 구성된 낮은 숲이다.더 노출된 지역에서는 성장 조건이 더 낮은 고도의 파키 수영장과 유사하며, 마누카, 탱글 펀치(글리세니아 디카르파), 다양한 러쉬와 같은 유사한 종을 포함한다.[1]그러나 고원의 더 다양한 지형이 서식지와 종의 더 많은 다양성을 만들어낸다. 보그송(Halocarpus bidwillii), 피그미송(Lepidothamnus laxifolius), 노랑 은송(L. mederus), 그리고 몇몇 종의 관목이나 기절된 드라코필룸을 포함한다.[1][3]밀러튼을 향해 북쪽으로 가면 카마히(웨인마니아 경주마)가 왜소해 있고, 남부와 북부의 라타(메트로디네소스 로부스타)가 모두 있다.고원에는 많은 작은 꽃들이 핀다: 젠트족, 아이브라이트족, 마우브 태양난초같은 난초, 늪 태양난초(T. cyanea), 그리고 육식성 태양열(Drosera spatulata)[1] 등.

몇 가지 독특한 종은 다음과 같다.

  • 이곳이나 파파로아에서 남방한계에 도달한 셀미시아 데이지의 네 종은 마운틴 데이지(C. dubia), 스크럽 데이지(C. lateralis), 달라이(C. dalii), 시밀루스(C. similus)이다.
  • 데니스톤-스톡톤 고원에서만 발견되는 노스웨스트랜드 눈두덩이(치오노클로아 융체아)

파우나

고원에는 큰 얼룩무늬 키위(아프테릭스 하스티이), 양치류(푸디테스 펑타투스), 뉴질랜드 피펫(안투스 노바세젤란디아에)이 있으며, 웨카, 키아, 라이플맨 등이 있다.파충류에는 얼룩무늬 도마뱀붙이, 해안 녹색 도마뱀붙이, 숲 도마뱀붙이가 있다.[3]

고원에는 여러 종의 대형 육식성 파월리판타 달팽이가 발견되고 있으며, 일부는 고원에 서식하며 채굴로 위협을 받고 있다.[1]

150명의 과학자와 자원봉사자들이 2012년 3월 고원에서 주말 '바이오 블리츠(bio-blitz)'를 실시, 몇 가지 새로운 종을 발견했다.[6]

  • 나방인 아크테스테스 아바타는 2019년에 묘사되고 영화 아바타의 이름을 딴 것으로, 이 영화의 줄거리는 광산 회사가 자연 그대로의[7] 환경을 파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 비공식적으로 데니스톤 흰 얼굴의 웨타라고[8][9] 불리는 동굴의 웨타
  • 딱정벌레, 또 다른 나방, 날개 없는 말벌, 그리고 거미[10] 세 마리.

보존

고원에서 레크리에이션 산악자전거 타기

고원의 북부는 솔리드에너지의 대형 스톡턴 광산에 의해 심하게 변형되었다.2011년 호주에 본사를 둔 Bathurst Resources는 Rochfort산을 향한 고원의 남쪽 부분에 있는 Escarpment 광산 프로젝트에 동의를 얻었는데, 이 프로젝트에는 표면 식물을 벗겨내고 "재배하고" 사암층을 제거하고 비축하고, 개방된 지뢰를 만드는 것이 포함된다.이 땅은 광업 후 재활용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독특한 배수 및 토양 상태, 그리고 따라서 생물 다양성의 많은 부분이 파괴될 것이다.[2]이것은 서해안의 사람들에게 일자리와 이익을 원하는 산업과 고원의 독특하고 섬세한 생태계를 중시하는 사람들 사이에 수년간의 갈등을 야기했다.[1]환경단체들은 2년 동안 법정에서 이 동의들과 싸웠으나 2013년 환경법원에 의해 구속되었다.[11]포레스트 버드는 고원에 5900 ha의 보호지역을 제안했고, 그것의 종의 다양성에 대해 더 배우기 위해 바이오블리츠를 조직했다.[2]바서스트는 2014년 환경보호부로부터 7년 동안 확산된 보상금으로 2190만 달러를 받는 대가로 고원 채굴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12]계획 수립 과정에서 석탄 가격이 크게 떨어졌고, 석탄의 주요 시장인 케이프 파울윈드(Cape Foulwind)의 홀킴 시멘트 공장 폐쇄로 이 사업은 경제성이 떨어졌고, 바서스트는 2016년 가동을 중단했다.[1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Wilson, Kerry-Jayne (2017). West Coast Walking: A naturalist's guide. Christchurch: Canterbury University Press. pp. 61–62, 115–117, 120–121. ISBN 978-1-927145-42-5.
  2. ^ a b c Lusk, Peter (1 December 2012). "Aura of Denniston Plateau under threat". Wilderness Magazine. Retrieved 21 September 2020.
  3. ^ a b c d "Nature and conservation in the Denniston Plateau". Department of Conservation Te Papa Atawhai. Retrieved 21 September 2020.
  4. ^ a b Warne, Kennedy (July–August 2012). "The Black and the Green". New Zealand Geographic. 116.
  5. ^ Mitchell, Charlie (August 2018). "What Happened Here: When NZ chose money over its environment". Stuff. Retrieved 21 September 2020.
  6. ^ Cairns, Lois (3 March 2012). "Forest and Bird 'bio-blitzes' Denniston plateau". Stuff. Retrieved 21 September 2020.
  7. ^ Patrick, Brian H.; Patrick, Hamish J. H.; Hoare, Robert J. B. (2019). "Review of the endemic New Zealand genus Arctesthes Meyrick (Lepidoptera, Geometridae, Larentiinae),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range-restricted species". Alpine Entomology. 3: 121–136. doi:10.3897/alpento.3.33944.
  8. ^ "Mine a potential threat to new cave weta - lobbyist". RNZ. 1 December 2012. Retrieved 21 September 2020.
  9. ^ "New species of cave weta discovered on West Coast". New Zealand Herald. 30 November 2012.
  10. ^ Lee, Francesca (19 June 2012). "Hollywood name for new moth species". Stuff. Retrieved 21 September 2020.
  11. ^ a b Hartley, Simon (15 March 2016). "Bathurst suspends mining operations at Denniston". Otago Daily Times. Retrieved 22 September 2020.
  12. ^ "Bathurst to begin mining on Denniston Plateau". TVNZ. 18 June 2014. Retrieved 21 September 2020.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데니스톤 고원과 관련된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