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8

Digital8
디지털8
매체형마그네틱 카세트
인코딩NTSC, PAL
읽기 메커니즘헬리컬 스캔
쓰기 메커니즘헬리컬 스캔
표준인터레이스 비디오
개발자소니
사용법홈 무비
연장 위치8mm 비디오 형식
방출된1999

디지털8(Digital8, 또는 Di8)은 소니가 개발한 8mm 비디오 포맷기반으로 캠코더용 소비자 디지털 레코딩 비디오카세트로, 1999년 도입했다.[1]

Digital8 형식은 이전의 아날로그 Hi8 테이프 전송과 디지털 DV 코덱의 조합이다. 디지털8 장비는 아날로그 녹화 하이8 장비와 동일한 비디오카세트를 사용하지만, 이 신호는 업계 표준의 DV 코덱을 사용해 디지털로 인코딩돼 DV와 비교했을 때 디지털 오디오와 디지털 비디오 사양이 동일하다.

기존 Hi8 비디오 카세트의 디지털 녹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헬리컬 스캔 비디오 헤드 드럼은 2.5배 더 빨리 회전한다. NTSCPAL Digital8 장비의 경우, 표준 길이 120분 NTSC/90분 PAL Hi8 마그네틱 테이프 카세트는 60분 분량의 Digital8 비디오(표준 재생) 또는 90분(긴 재생)을 저장한다. 디지탈8을 위해 특별히 판매되는 90분 버전이 있지만, 이것들은 60분짜리 버전보다 얇은 테이프를 사용한다. LP는 TRV-30, TRV-40 등 모델별로 다르다. 디지털8 녹화는 표준급 Video8 카세트로 할 수 있지만, 소니 사용자 매뉴얼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저해되고, 하이8 메탈 파티클 카세트가 디지털8 녹화에 권장되는 유형이다. D8 도입 후 판매되는 하이8 테이프는 대부분 하이8과 디지털8 사용 모두 표시돼 있다.

MiniDV/DVC 대 Digital8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Digital8 형식은 기술적으로 MiniDV보다 열등하지 않다. 두 형식 모두 비트스트림 수준에서 동일하다. 사용자 관점에서 디지털8은 DV 또는 오히려 소비자 MiniDV와 동등하고 호환된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예: 1394/FireWire 링크)에서 Digital8 캠코더가 나타나고 Mini DV 캠코더와 똑같이 동작한다.

Digital8과 Mini DV는 서로 다른 교환 불가능한 카세트 미디어를 사용하며, Digital8 카세트는 둘 중 물리적으로 더 크다. 두 형식은 다음과 같은 다른 매체 공식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8은 금속 입자 또는 금속 기화 매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MiniDV는 금속 기화 매체만을 기반으로 한다. D-90과 DVM-85 테이프를 사용해 디지털8과 MiniDV의 최대 녹화시간은 각각 135분, 130분이다. 이 초박막, 초박막 테이프들은 희귀하고 비싸다.[1][2][3]

또한 Digital8은 초속 29mm의 테이프를 사용한다. 즉, 하이엔드 DVCAM(28mm/s)이나 DVCPRO(34mm/s)에 더 가깝다. 미니DV는 19mm/s의 테이프를 사용한다. 1999년 1월 7일 소니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미니DV 포맷의 경우 한 프레임이 10개의 트랙에 기록되고, 디지털8 포맷의 경우 한 프레임의 가치가 있는 정보가 25개의 트랙에 수직으로 기록된다. 이 녹음 방법을 사용하면 디지털 영상을 하이8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다.

시장부문

Hitachi VM-D965LE Digital8 캠코더

아날로그 하이8 비디오는 아마추어 홈 비디오, 시사 TV 프로그램, 일부 전문 뉴스 기관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디지털8은 엄격한 소비자 또는 아마추어 제품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외 중 2001년 영화 거울전당) 이는 8mm 비디오 장비의 기존 제조 인프라를 활용하고 디지털 기능을 갖춘 친숙한 미디어 포맷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고객(아날로그 8mm부터)을 위한 저비용 업그레이드 경로로 기능한다는 Digital8 포맷의 소니의 설계 및 시장 목표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 나아가 디지털8은 MiniDV 이후 얼마 후 출시되어 경쟁사 DV 포맷이 프로페셔널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전문 시장을 위해 디지털8 장비가 거의 생산되지 않은 반면, 개발에 반대하는 기술적 장벽은 없다.

디지털8은 구식이다. 2004년까지 이 포맷의 원조 업체인 소니는 여전히 디지털8 장비를 생산하는 유일한 회사였고 새로운 디지털8 카메라를 개발할 계획이 없었다. 히타치는 한동안 디지털8 캠코더 몇 대를 시판했지만, 그 시점까지는 더 이상 시판하지 않았다. 2005년 이후 디지털8 제품군은 순수하게 보급형 소비자에게 공급되었다. 이는 Digital8과 DV 포맷이 구별할 수 없는 A/V 성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더 크고 부피가 큰 Digital8 카세트가 열등한 기술로 인식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8mm 대형 포맷이 더 견고해 트랙이 더 넓어진다. 대부분 디지털8 캠코더는 아날로그 비디오8과 하이8 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다. 캠코더뿐만 아니라 소니는 디지털8 비디오 워크맨 포테이블인 GV-D200과 GV-D800도 출시했다.

카메라 모델 변형

소니는 디지털8 도입 후 초기에는 보급형부터 고급형 소비자까지 커버리지가 있는 제품군을 판매했다. 소비자 지향 라인은 1/6" CCD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프로슈머 라인은 1/4" 이미지를 사용한다. 둘 다 처음부터 존재했지만 1/4" CCD 모델은 단종되었다.

1998-1999 모델은 디지털8 녹화 및 SP 속도에서의 재생만 지원한다. 2000년 이상 모델에는 LP 속도 Digital8 레코딩(Video8 테이프가 아닌 Hi8 테이프에서만 지원됨)이 추가되었다. 아날로그 재생이 가능한 모든 모델은 SP 또는 LP 속도로 만들어진 Video8/Hi8 녹음을 재생할 수 있다. 아날로그 재생 기능이 있는 2000 이상 모델도 DV 패스스루 모드를 지원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소스를 Digital8 테이프에 먼저 기록할 필요 없이 컴퓨터에 직접 캡처할 수 있다.

이후 Digital8 Handycams는 디지털8(460K)과 Hi8(320K) 모델 간에 CCD 이미지 센서 픽셀 수가 달라졌지만, 다양한 아날로그 Hi8 Handycams와 동일한 섀시, 광학 및 사용자 설명서를 공유했다.

1/4" CCD 모델은 정지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그것은 보조 기능이고 JPEG 이미지를 오프로드할 수 있는 Sony Memory Stick 기능이 없다. 대부분의 엔트리 레벨 및 이후 모델들은 더 좋은 화질의 스틸 사진(아래 참조), 소니 메모리 스틱스를 통해 동일한 화질을 오프로드하는 기능, 그리고 더 많은 프로그래밍 선택 등의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 스틸 이미지와 비디오 캡쳐의 결합은 이제 일반적이지만, 스틸 이미지 CCD는 좋은 비디오 CCD와 다른 품질을 가지고 있다. 카메라는 프로슈머급 고객들에게 일반적으로 어필하는 기능도 상실했다. 예를 들어 1999 TRV-310은 1/4" CCD, 3.5" LCD 화면, f1.4 렌즈, 가변 셔터 속도 설정, 수동 포커스 및 기타 전문 제어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일반적인 1/6" CCD의 렌즈는 f1.8로 f1.4만큼 60% 정도 빠르다. TRV-310은 픽셀 수가 460K이고 "실효 카운트"가 290K인 1/4" CCD를 가지고 있다. 픽셀 수가 적은 더 큰 CCD는 1/6" CCD와 도달할 수 없는 일부 상황에서 의도적인 흐릿한 배경에 대해 더 작은 필드 깊이를 허용한다. 또한 1/6" CCD의 경우 1 럭스 대 7 럭스(Night Shot 미포함), 저조도 조건에서 센서 소음이 적다.

픽셀 수에 따라 이러한 기능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는 TRV-150, 250, 350 및 351 Digital8 모델과 TRV-118, 318 및 418 Hi8 사촌형 모델에서 볼 수 있다. 같은 크기의 CCD와 동일한 f1.6 렌즈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소수가 낮은 Hi8 모델은 디지털8 모델의 4 럭스 대비 1 럭스 낮은 광도를 허용한다. 소니 DCR-TRV730/828/830(이후 DCR-TRV740/840)은 첨단 HAD(홀 축적 다이오드) CCD를 탑재한 1/4.7인치(4.5mm)의 디지털8 캠코더로 유일하게 제작됐다. HAD는 더 작고, 메가픽셀 수가 많은 CCD와 CMOS에 유용하다. TRV-730의 픽셀 수는 107만 화소(카메라 모드에서는 69만 화소)이다.

아날로그 녹화

하이엔드 Digital8 장비는 레거시 아날로그 8mm Video8/Hi8 형식 레코딩의 재생 및 디지털화 기능을 제공하여 아날로그 생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아날로그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제한 사항이 있으며, 오디오 재생은 PCM 디지털 오디오 트랙이 아닌 Video8/Hi8 아날로그 FM 사운드 트랙으로 제한된다. NTSC와 PAL 녹화를 모두 재생하는 모델도 있고, 자체 텔레비전 표준만 재생하는 모델도 있다. 아날로그 녹화도 타임코드가 없어 일괄 캡처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2] 디지털화된 비디오 신호는 캠코더의 FireWire 케이블 포트를 통해 네이티브 디지털 녹음과 같은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어 FireWire 포트와 비디오 캡처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컴퓨터나 FireWire가 장착된 DVD 레코더에서 비디오 파일 생성을 단순화한다. 카메라의 디지털 스트림 변환을 이용하여 디지털 파일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은 컴퓨터의 결과 파일을 DVD로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화된 디지털 편집과 비디오 파일로서의 저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개의 유사한 Digital8 카메라 사이에서 FireWire 포트를 활용하면 무손실 디지털 편집이 가능하다. 레거시 신호를 디지털화한다고 영상 화질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 파일은 Video8/Hi8 오리지널의 소스 오디오와 비디오 화질을 매우 정확하게 샘플링한다.

소니가 출시한 디지털8 캠코더 중 아날로그 비디오8/Hi8 재생 능력이 없는 모델(대개 보급형 모델)은 다음과 같다.[3]

  • DCR-TRV130(2001, NTSC)
  • DCR-TRV140(2002, NTSC)
  • DCR-TRV145(2003, PAL)
  • DCR-TRV147(2003, PAL)
  • DCR-TRV150(2003, NTSC)
  • DCR-TRV245(2003, PAL)
  • DCR-TRV250(2003, NTSC)
  • DCR-TRV255E(2004, PAL)
  • DCR-TRV260(2004, NTSC)
  • DCR-TRV265(2004, NTSC 내보내기)
  • DCR-TRV265E(2004, PAL)
  • DCR-TRV270E(2005, PAL)
  • DCR-TRV280(2005-2007, NTSC)
  • DCR-TRV285E(2005-2007, PAL)
  • DCR-TRV360(2004, NTSC)
  • DCR-TRV361(2004, NTSC 내보내기)
  • DCR-TRV380(2005, NTSC 수출)

디지털 재생과 아날로그 재생이 모두 가능한 소니 디지털8 캠코더 모델은 다음과 같다.[4] 덧붙여 히타치가 발매한 모든 모델은 아날로그 재생을 제공한다.

  • DCR-TR720(1999, PAL)
  • DCR-TR7000(1999, NTSC)
  • DCR-TR7100(1999, PAL)
  • DCR-TRV103(1998, NTSC)
  • DCR-TRV107(1998, 라틴 아메리카)
  • DCR-TRV110(1998, NTSC)
  • DCR-TRV120(2000, NTSC)
  • DCR-TRV203(1999, 캐나다 NTSC)
  • DCR-TRV210(1999, NTSC)
  • DCR-TRV220(2000, 아시아 태평양)
  • DCR-TRV230(2001, NTSC)
  • DCR-TRV235E(2001, PAL)
  • DCR-TRV238E(2002, PAL)
  • DCR-TRV239E(2002, PAL)
  • DCR-TRV240(2002, NTSC)
  • DCR-TRV240(2002, PAL)
  • DCR-TRV310(1999, NTSC)
  • DCR-TRV315(1999, NTSC)
  • DCR-TRV320(2000, NTSC)
  • DCR-TRV325E(2001, PAL)
  • DCR-TRV330(2001, NTSC)
  • DCR-TRV340(2002, NTSC)
  • DVR-TRV340E(2002, PAL)
  • DCR-TRV345E(2003, PAL)
  • DCR-TRV350(2003, NTSC)
  • DCR-TRV351(2003, NTSC 라틴 아메리카)
  • DCR-TRV355E(2003, PAL)
  • DCR-TRV356E(2003, PAL 수출/중국)
  • DCR-TRV410E(1999, PAL)
  • DCR-TRV420E(2000, PAL)
  • DCR-TRV430E(2001, PAL)
  • DCR-TRV460(2004, NTSC)
  • DCR-TRV460E(2004, PAL)
  • DCR-TRV461E(2004, PAL 내보내기)
  • DCR-TRV480(2005, NTSC)
  • DCR-TRV480E(2005, PAL)
  • DCR-TRV510(1999, NTSC)
  • DCR-TRV520(2000, NTSC)
  • DCR-TRV525(2000, NTSC)
  • DCR-TRV530E(2001, PAL)
  • DCR-TRV530(2001, NTSC)
  • DCR-TRV620E(2000, PAL)
  • DCR-TRV720(2000, NTSC)
  • DCR-TRV730(2001, NTSC)
  • DCR-TRV738(2002, PAL)
  • DCR-TRV740(2002, NTSC)
  • DCR-TRV820(2000, NTSC)
  • DCR-TRV828(2001, NTSC 라틴 아메리카)
  • DCR-TRV830(2001, NTSC)
  • DCR-TRV840(2002, NTSC)

참고 항목

참조

  1. ^ "Press Release - Sony Announces Digital8 Video Format". Sony Corporation. January 7, 1999. Retrieved 2021-04-08.
  2. ^ Wilt, Adam. "The DV, DVCAM, & DVCPRO Formats -- tech details, FAQ, and links". www.adamwilt.com. Retrieved 10 December 2017.
  3. ^ "Sony eSupport: What models of Digital 8® camcorders cannot play tapes recorded in the analog 8mm or Hi8™ forma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4, 2018.
  4. ^ http://www.ebay.com/gds/8mm-Video8-Hi8-and-Digital-8-/10000000015349761/g.html eBay 사용자 "dgjks6"가 작성한 eBay 가이드: "8mm, Video8, Hi8, Digital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