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팔렌시아 교구
Roman Catholic Diocese of Palencia팔렌시아 교구 디오케시스 팔레티누스 디오세시스 데 팔렌시아 | |
---|---|
위치 | |
나라 | 스페인 |
교회 관구 | 부르고스 |
메트로폴리탄 | 부르고스 |
통계 정보 | |
지역 | 8,028km2(3,100평방마일) |
인구. - 합계 - 가톨릭(비회원 포함) | (2004년 기준) 177,128 174,471 (98.5%) |
정보 | |
의식 | 라틴 전례 |
설립된 | 3세기 |
대성당 | 세인트루이스 대성당팔렌시아의 세례자 요한 |
현재의 리더십 | |
교황 | 프란시스 |
비숍 | 마누엘 헤레로 페르난데스 |
메트로폴리탄 | 프란시스코 길 헬린 |
지도 | |
![]() | |
웹 사이트 | |
교구 홈페이지 |
가톨릭 팔렌시아 교구(라틴어: Palentin(시))는 스페인 [1][2]부르고스 지방의 팔렌시아에 위치한 교구입니다.
역사
로마 가톨릭 팔렌시아 교구는 서기 3세기에 설립되었습니다.
리더십
- 목사 (433년 ~ 57년), 전설일 가능성이 있음
- 피터 1세 (506계절)
- 토리비우스(fl. 527)
- 마우리라 (586년-607년)
- 코난티우스 (607–639)
- 아스카릭 (653년~674년)
- 콘코리우스 (670년 경~688년)
- 바로아드(693층)
- 711년부터 940년대까지 주교좌는 버려졌다.
- 줄리안 (940-44)
- 그 교구는 1034년에 완전히 다시 설립될 때까지 다시 버려졌다.
- 베르나르 1세 (1035-40)
- 미로(1040~63)
- 베르나르 2세 (1063년 ~ 85년)
- 레이몬드 1세 (1085–1108)
- 피에르 드 아젠 (1109년~39년)
- 페테르 2세 (1139년 ~ 48년)
- 레이몬드 2세(1148~83)
- 아더릭 (1184–1208)
- Adam(1208)
- 텔로 텔레즈 데 메네시스 (1208년 ~ 46년)
- 로드리고 (1246년 4월 4일~1254년, 사망)
- 페드로 3세 (1254년-1256년)
- 페르디난드 (1256년–1265년)
- 알론소 가르시아 (1265년 7월 8일 ~ 1270년)
- 텔로 가르시아 (1270년 ~ 1274년 11월, 사망)
- 후안 알폰소 데 몰리나 (1278년-1293년)
- 무니오 사모라, O.P. (1294년 2월 5일 ~ 1300년 4월 19일, 사망)
- 알바로 카리요 (1297년-1306년)
- 피터 (1306–1307) 페드로)
- 헤라르도 도밍게스 (1309년-1313년)
- 도밍고 (1313–1314)
- 고메스 펠라에즈 (1313년-1320년)
- 후안 페르난데스 데 리미아 (1321년-1325년)
- 페드로 데 오르필라 (1325)
- 후안 데 사베드라 (1325년-1342년)
- 페드로 5세 (1342년 ~ 1343년)
- 블라스 페르난데스 데 톨레도 (1343년 9월 12일-1353년 6월 17일 톨레도 대주교 임명)
- 레지날드 드 모베르나르 (1353년-1356년)
- 구티에르 1세 (1357년-1370년)
- 구티에레 고메스 드 루나 (1370년-1391년)
- 후안 데 카스트로모초 (1394년-1397년)
- 베드로 6세 (1397–?), 반교구장
- 산초 데 로하스 (1406년-1415년)
- 알론소 데 아르귀엘로 (1415년-1417년
- 로드리고 데 벨라스코 (1417년-1426년)
- 구티에르 알바레스 데 톨레도 (1426년-1439년)
- 페드로 카스틸라 데 에릴 (1440년 4월 6일-1461년 4월 27일 사망)
- 구티에레 드 라 쿠에바 (1461년-1469년)
- 로드리고 산체스 데 아레발로 (1469년-1470년)
- 디에고 후르타도 데 멘도사 이 키노네스 (1470년 2월 13일-1485년 8월 26일 세비야 대주교 임명)
- 알폰소 데 부르고스, O.P. (1485년–1499년 사망)
- O.P. 디에고 데자 (1500년 2월 7일 임명– 1504년 10월 30일 [3]세비야 대주교 임명)
- 후안 로드리게스 데 폰세카 (1504년 - 1514년 7월 5일, 부르고스 주교 임명)
- 후안 페르난데스 벨라스코 (1514년 7월 22일 ~ 1520년)
- 페드로 루이스 데 라 모타 (O.S.B.) (1520년 7월 4일 ~ 1522년 사망)
- 안토니오 데 로하스 만리케 (1524년–1525년 7월 3일 부르고스 [4]주교 임명)
- 페드로 고메스 사르미엔토 데 빌란드란도 (1525년 7월 3일-1534년 6월 8일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주교 임명)
- 프란시스코 멘도사 (1534년 1월 18일 ~ 1536년 3월 29일)[5]
- 루이스 카베자 데 바카 (1537년 4월 14일-1550년 11월 22일 사망)
- 페드로 데 라 가스카 (1551년 4월 6일 - 1561년 6월 2일 시구엔차 주교 임명)
- 크리스토발 페르난데스 발토다노 (1561년 6월 2일-1570년 2월 20일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6]대주교 임명)
- 후안 라미레스 사파타 데 카르데나스 (1570년 2월 18일 - 1577년 사망)
- 알바로 후르타도 데 멘도자 이 사르미엔토 (1577년 9월 11일 ~ 1586년 4월 19일)
- 페르난도 미겔 데 프라도 (1587년 8월 17일 ~ 1594년 5월 5일)
- 마르틴 아스피 시에라 (1597년 5월 28일 - 1607년 사망)
- 펠리페 타르시스 데 아쿠냐 (1608년 2월 11일 - 1616년 2월 24일 그라나다 [7][8]대주교 임명)
- 호세 곤살레스 디에즈, O.P. (1616년 2월 29일–1625년 7월 28일 팜플로나 [9]주교 확정)
- 미겔 아얄라 (1625년 8월 18일-1628년 5월 5일 확인, 칼라호라 이 라 칼자다 주교)
- 페르난도 안드라데 소토마요르 (1628년 5월 29일 - 1631년 11월 10일, 부르고스 [10]주교 임명)
- 크리스토발 구스만 산토요 (1633년 6월 6일-1656년 11월 17일 사망)[11]
- 안토니오 데 에스트라다 만리케 (1657년 6월 18일 확인– 1658년 6월 17일 사망)[12]
- 엔리케 페랄타 이 카르데나스 (1659년 1월 13일 - 1665년 4월 13일 부르고스 주교 임명)
- 곤살로 브라보 데 그라제라 (1665년 6월 27일~1671년 9월 28일 코리아의 [13]주교 임명)
- 후안 몰리노 나바레테, O.F.M. (1672년 12월 8일-1685년 1월 1일 사망)
- 알폰소 로렌조 데 페드라자 (1685년 7월 9일-1711년 2월 16일)
- 에스테반 벨리도 게바라 (1713년 9월 18일-1717년 1월 1일 사망)
- 프란시스코 오초아 멘다로즈케타 이 아르자멘디 (1717년 7월 12일-1732년 12월 25일 사망)
- 바르톨로메 산마르틴 오리베 (1733년 12월 2일-1740년 사망)
- 호세 모랄레스 블랑코 (1741년 7월 3일-1745년 5월 29일 사망)
- 호세 이그나시오 로드리게스 코르네호 (1745년 12월 15일 - 1750년 2월 23일 플라센시아 주교 임명)
- 안드레스 부스타만테 (1750년 3월 16일-1764년 11월 4일 사망)
- 호세 카예타노 로아제스 소모사 (1765년 6월 5일-1769년 10월 17일 사망)
- 후안 마누엘 아르귀엘레스 (1770년 3월 12일 ~ 1779년 6월 26일)
- 호세 루이스 몰리네도 (1780년 9월 18일 ~ 1800년 11월 6일)
- 부에나벤투라 모야노 로드리게스 (1801년 2월 23일~1802년 9월 7일 사망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알모나시드 (1803년 5월 16일 ~ 1821년 9월 13일 사망)
- 나르시소 콜리 프라트(1822년 2월 25일~1822년 12월 30일 사망)
- 후안 프란시스코 마르티네스 이 카스트릴론 (1824년 9월 27일-1828년 6월 23일 확인, 말라가 주교)
- 호세 아센시오 오콘 이 톨레도 (1828년 12월 15일 ~ 1832년 2월 24일, 테루엘 주교 확인)
- 카를로스 라보르다 클라우 (1831년 11월 26일 ~ 1853년 2월 11일)
- 제로니모 페르난데스 이 안드레스 (1853년 12월 22일 ~ 1865년 3월 23일)
- 후안 로자노 토레이라(Juan Lozano Torreira, 1866년 1월 8일 ~ 1891년 7월 4일)
- 엔리케 알마라즈 이 산토스 (1893년 1월 19일 1907년 4월 18일 세비야 대주교 임명)
- 발렌틴 가르시아 이 바로스 ( 1907년 4월 18일 ~ 1914년 12월 10일)
- 라몬 바베라 이 보아다(1914년 5월 28일~1924년 9월 11일 사망)
- 아구스틴 파라도 이 가르시아(1925년 5월 20일 1934년 4월 4일 그라나다 대주교 임명)
- 성 마누엘 곤살레스 이 가르시아(1935년 8월 5일~1940년 1월 4일 사망)
- Francisco Javer Lauzurica y Torralba (1943년 6월 10일 임명– 1949년 4월 8일 오비에도 주교 임명)
- 호세 사우토 비조소(1949년 7월 11일~1970년 3월 31일 은퇴)
- 아나스타시오 그라나도스 가르시아(1970년 3월 31일~1978년 2월 13일 사망)
- 니콜라스 안토니오 카스텔라노스 프랑코, O.S.A.( 1978년 7월 27일 ~ 1991년 9월 4일 사임)
- 리카르도 블라스케스 페레스(1992년 5월 26일 임명 – 1995년 9월 8일 임명, 빌바오 주교)
- 라파엘 팔메로 라모스(1996년 1월 9일~2005년 11월 26일 오리후엘-알리칸테 주교 임명)
- 호세 이그나시오 무냐 아기레(2006년 6월 24일~2009년 11월 21일 산세바스티안 주교 임명)
- 에스테반 에스쿠데로 토레스 (2010년 7월 9일~2015년 5월 7일 발렌시아의 보조 주교 임명)
- 마누엘 헤레로 페르난데스, O.S.A. (2016년 4월 26일 ~ 현재)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팔렌시아 교구' GCatholic.org가브리엘 초우.2016년 2월 29일 취득
- ^ '팔렌시아 교구' 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2월 29일 취득
- ^ '디에고 데자 대주교, O.P.' 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8월 8일 취득
- ^ 가톨릭계급: '안토니오 데 로하스 만리케 신부'가 2016년 1월 25일 회수
- ^ 가톨릭계급: 2016년 1월 14일 회수된 'Bishop Francisco Mendoza'
- ^ 크리스토발 페르난데스 발토다노 대주교(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2월 29일 취득
- ^ 펠리페 타르시스 데 아쿠냐 대주교.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10월 19일 취득
- ^ "Felipe Tarsis de Acuna, O.S." GCatholic.org가브리엘 초우.2016년 10월 19일 취득
- ^ '부르고스 대주교' 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2월 29일 취득
- ^ "Archipher Fernando Andrade Sotomayor" 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2월 29일 취득
- ^ 크리스토발 구즈만 산토요 주교(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10월 19일 취득
- ^ '안토니오 데 에스트라다 만리케 주교' 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7월 21일 취득
- ^ "Bishop Gonzalo Bravo de Grajera" Catholic-Hierarchy.org데이비드 M.체니.2016년 8월 31일 취득
![]() | Wikisource는 1913년 가톨릭 백과사전 기사인 Palencia 교구의 본문을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