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릴리다 교구
Roman Catholic Diocese of Lleida레리다 교구 디오케시스 일레르덴시스 디오케시스 데 르리다 스페인어 디케시 데 르리다 카탈루냐 | |
---|---|
위치 | |
나라 | 스페인 |
교회주의 주 | 타라고나 |
메트로폴리탄 | 타라고나 |
통계 | |
면적 | 2,977 km2 (1,197 sq mi) |
인구 - 총계 - 가톨릭(비회원 포함) | (2016년 기준) 236,953 203,520 (85.9%) |
정보 | |
디노미네이션 | 가톨릭의 |
수이루리스교회 | 라틴 교회 |
굿 | 로만 레트 |
확립된 | 5세기 (레리다 교구로서) 1992년 10월 31일 (1992년 10월 31일 기준) |
성당 | 레이다 가정 대성당 |
현 리더십 | |
교황 | 프란시스 |
비숍 | 살바도르 기메네스 발스 |
메트로폴리탄 대주교 | 자우메 푸졸 발셀스 |
주교 명예 | 후안 피리스 프리골라 주교 에메리투스(2008~2015년) |
지도 | |
웹사이트 | |
bisbatlleida.org |
영어로는 레리다 교구로 알려진 르리다 교구(라틴어, 일레르덴시스)는 스페인 북동부의 카탈루냐 자치구의 일부인 르리다 지방에 있다. 교구는 타라고나 성(聖)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타라고나 대교구(大敎區)[1][2]에 속한다.
레이다 교구는 3세기에 만들어졌다. 716년 무어인이 르리다를 정복한 후, 성공회관은 로다(1101년까지)로, 그 후 바르바스트로(1101–1149)로 옮겨졌다. 르리다 시는 1149년 바르셀로나의 라몬 베렌구어 4세 백작에 의해 무어족으로부터 정복되었고, 다시 원좌로 시문이 옮겨졌다. 비숍 궁전은 람블라 다라고에 위치해 있다.
레이다는 카탈로니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로 바르셀로나에서 약 100마일 떨어진 세그레 강의 오른쪽 둑에 건설되었다. 그 소도시는 외관이 동양적이고, 거리가 좁고 비뚤어져 있다. 1900년의 인구는 23,683명이었다. 성채에서 유적을 볼 수 있는 옛 비잔틴-고딕 대성당은 1203년부터 유래한다. 중세에는 레이다 대학이 유명했다; 1717년에 그것은 억압되었고, 세르베라와 연합되었다.
현재 레이다의 주교는 살바도르 키메네스 발스다.
역사
로마 시대
레이다는 로마의 일레르다, 즉 헤르다였다. 포에니 전쟁 중에 카르타고인들의 편을 들었고, 그 근처에서 한노는 기원전 216년에 스키피오에게 패배했고, 율리우스 쎄사르는 기원전 49년에 폼페이우스의 군대를 물리쳤다.
라 운하는 교구가 600년에 세워졌다고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교구가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성인에 대한 언급도 있다. 서기 269년에 릴리다의 주교로 리세리우스 또는 글리세리우스.
비시가토스 및 무슬림 시대(1149년까지)
514년 또는 524년 8명의 주교들이 참석한 평의회는 성직자들에 의한 무기수탈이나 피 흘리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546년 지방의회는 교회 규율을 규제했다.
546년 레리다에서는 교회 규율을 규제하는 위원회가 소집되었다.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주교의 죽음으로 하급 성직자들(그리고 때때로 주교 친지들)이 죽은 주교들의 집을 샅샅이 뒤지고 약탈하는 관행이 발달했다.[3] 평의회는 사망한 주교 집행관들이 주교 관저에 경비원과 함께 점거하고 구내를 방어해야 한다고 확인했다. 3년 후 발렌시아의 한 시노드가 보호자를 가장 가까운 이웃 주교로 바꾸었다. 약탈을 하다 붙잡힌 성직자들도 추방될 것이다.[4] 평의회의 규정은 모든 교구에서 시행하기 위해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일반 캐논법에 의해 채택되었다.[5]
르리다의 다른 주교들의 서명은 무어족이 마을을 점령한 716년까지 여러 협의회에 첨부되어 있으며, 그 시문은 로다에게 제거되었다. 레이다의 끝없는 주교 명단은 8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101년 아라곤의 페드로 1세는 무어 족에서 바르바스트로 성을 빼앗고, 로다에서 바르바스트로로 안내문을 옮겼다. 초대 주교 폰시오는 교황의 이양 허가를 얻기 위해 로마로 갔다.
르리다 교구 (1149년)
1149년 바르셀로나의 라몬 베렌구어 4세 백작에 의해 무어족으로부터 레이다 시가 정복되었고, 성공회 시문은 다시 원래의 자리로 옮겨졌다.
1173년 한 평의회가 지아신토 보보네 추기경에 의해 주재되었고, 이후 교황 셀레스티네 3세가 되었다. 1246년 평의회는 아라곤의 왕 제임스 1세를 지로나 주교의 혀를 도려내는 신성모독에서 해방시켰다.
신학교는 1722년에 설립되었다.
반도 전쟁 중에 프랑스인들은 그것을 보유했고(1810년), 1823년 스페인은 다시 한번 그것을 소유하게 되었다. 그것의 자연적인 위치 때문에 그것의 전략적 가치는 항상 매우 컸고, 그것은 1910년에 강하게 강화되었다.
1851년 콩코드 이전의 성당 장은 6명의 고관, 24명의 협객, 22명의 후원자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협주 이후에는 16명의 협객과 12명의 성직자로 축소되었다.
1910년 이 교구의 천주교 인구는 395개 교구에 18만5천 명의 영혼이 흩어져 598명의 성직자가 목회를 했다. 교구에는 공공예배를 위한 395개 교회 외에 남성 5개 종교단체와 여성 6개, 수녀 담당 병원 여러 곳이 있었다. 그 신학교는 500명의 학생을 수용했다.
1995-1998년 서부 파리의 분리
1995년 일러덴시스 et Barbastrensis de finum 돌연변이 법령에 따라 8세기 이상 전통적으로 로마 가톨릭 르리다 교구에 속했던 84개의 문화적인 카탈루냐 라 프란자 교구가 분리되어 로마 가톨릭 바르바스트로몬 교구로 이관되었다. 이것은 1998년 6월에 27개의 더 많은 파리가 뒤따랐다. 절단된 파리는 리테라와 바이크스 신카 카탈로니아어를 사용하는 아라곤어 지역에 있었다.[6]
교구 분리 이후 분리수거된 파리에 속하는 고대 미술품들의 반환에 관한 논란이 시작되었고, 이 작품은 르리다 디오구산 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이 포고령과 뒤이은 논란들은, 이전에 상담이 없었던 것처럼, 렐리다와 관련 파리의 많은 사람들에 의해 반 카탈란적인 조치들로 인식되었고, 라 프란자 사람들을 그들의 문화적 뿌리에서 단절시킴으로써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주류 신도들에 동화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이었다.[7]
르리다의 주교(6~9세기)
(첫 번째 이름을 제외한) 모든 이름은 카탈로니아어로 주어진다.
- 잇시로203번길
- 산트로227번길
- 조안 230
- 페레 258
- 마리오스 셀리로259번길
- c. 269 : 세인트. Lleïr - (269에 언급됨)
- c. 516 : 오론치 - (516과 517 사이에 언급)
- C. 519 : 페레
- c. 540 : 안드레우 — (540년 언급)
- c. 546 : 2월 — (546년 참조)
- c. 589 : 폴리비 - (589년 참조)
- c. 592 : 줄리아 — (592에 언급)
- c. 599 : 아멜리 - (599년 참조)
- c. 614 : 고마렐 - (614에 언급)
- c. 635 : 과당 - (633과 638 사이에 언급)
- c. 653 : 간델레 - (653년에 언급)
- c. 690 : 유센드 - (683년과 693년 사이에 언급)
- c. 715 : 에스테브 - (714 이전 – 719 이후)
- c. 780 : San Medard - (778년 이후)
- c. 842 : 제이콥
로다의 주교 (1101년까지)
무어 정벌 후, 르리다 교구는 로다에게 양도된다. 모든 이름은 카탈로니아어로 주어진다.
- 887–922 : Adulf - (887 - 922 이전부터)
- 923–955 : 아토
- 955-975 : 오디센드
- 988–991 : 목표 - (988 - 991 이전부터)
- 996--?--: 제이콥 - (996년 이전부터)
- 1006–1015 : Imeric II - (1006-1015 이전부터)
- 1017-1019 : 보렐
- 1023-1067 : 아르눌프
- 1068-1075 : 살로모
- 1075-1076 : 아르눌프 2세
- 1076-1094 : 페레 라몬 달마키
- 1094-1096 : 롭
- 1097-1100 : 폰스
바르바스트로-로다 주교(1101–1149)
1101년 로다 교구는 바르바스트로에게 양도된다. 모든 이름은 카탈로니아어로 주어진다.
1149년에 주교좌는 레이다에게 돌아왔다.
레이다의 주교 (1149년 이후)
1149년에 주교좌는 레이다에게 돌아왔다.
- 1149–1176 : Guilem Pérez de Ravitats
- 1177–1190 : Guilem Berenguer
- 1191–1205 : 꼼발드 드 캄포렐스
- 1205–1235 : 베렌거 드 에릴
- 1236-1238 : 페레달발랏
- 1238–1247 : 라몽 데 시스카
- 1248–1255 : Guilem de Barbera
- -------–1256 : 베렌게르 드 페랄타
- 1257–1278: Guilem de Moncada
- 1282–c. 1286 Guillem Bernahldez de Fluvia - (1282 - 1286년 이전)
- 1290-1298 : 제라드 단드리아
- 1299–1308 : 페레 드 레이
- 1308–13: 폰츠다길라니우
- 1314–1321 : Guilem d'Aranyo - (1314–1321 이전)
- 1322–1324 : 퐁스 데 빌라무르
- 1324–1327 : 라몽 다비뉴
- 1327–1334 : 아르날드 드 체세베스
- 1334–1340 : 페러르 드 콜롬
- 1341–1348 : 자우메 시트호
- 1348-1360 : 에스테브 멀 ceo
- 1361–1380 : 로마누 데 체세베스
- 1380–1386 : 라몬
- 1387–1399 : 제라우 드 레퀴센스
- --------1399 : 페레 드 산트클리멘트
- -------–1403 : 조안 드 바우페스
- 1403–1407 : Pere de Sagarriga i de Pau
- 1407–1411 : 페레 드 카르도나
- 1415–1434 : 도메넥 람 이 라나자
- 1435–1449 : 가르시아 아즈나레스 데 아뇰
- 1449–1459 : 안토니 체르다
- 1459–1510 : 루이스 조안 드 밀라
- 1510–1512 : 조안 덴게라
- 1512–1542 : 제이미 데 콘칠로스
- -------–1542 : 마르티 발레로
- 1543–1553 : 페란 드 로아세스 이 페레스
- 1553–1554 : 조안 아리아스
- 1556–1559 : 미켈 데스푸이그 아이 바카르트
- 1561–1576 : 안토니오 아구스틴 이 알바넬
- 1577–1578 : 미겔 토마스 드 택사케
- 1580–1581 : 칼레스 도메네치
- 1583–1585 : 베넷 데 토코
- 1585–1586 : 가스파르 조안 데 라 피구에라
- 1586–1591 : Joan Martines de Villateriel - (Quisitor General)
- 1592-1597 : 페레 다라고
- 1599-1620 : 프란체스코 버질리
- 1621–1632 : 페레 안톤 세라
- --------1633 : 안토니오 페레스(주교)[8]
- --------1634 : 페레 드 마가롤라 1세 폰타넷
- 1635–1642 : 베르나트 카발레로 데 파레데스
- 1644-1650 : 페레 데 산티아고
- 1656-1664 : 미켈 데 에스카틴
- 1664-1667 : Brauli Sunyer
- 1668-1673 : 요제프 미노
- 1673–1680 : Jaume de Copons
- 1680-1681 : 프란체스코 베라르도
- 1682-1698 : 미겔 제로니모 데 몰리나
- 1699-1700 : 조안 데 산타마리 알론소 이 발레리아
- 1701–1714 : 프란체스카 데 솔리스
- 1714-1735 : 프란체스크 데 올라소 히펜자
- 1736-1756 : 그레고리 갈린도
- 1757-1770 : 마누엘 마시아스 페드레혼
- 1771-1783 : 호아킴 안토니 산체스 페라가두
- 1783-1816 : 제로니 마리아 데 토레스
- 1816-1817 : 마누엘 델 빌라
- --------1818 : 레미기 라산타 오르테가
- 1819–1824 : 시모 안토니 데 렌테리아 1세 레이예스
- 1824–1832 : 파우 콜메나레스
- 1833–1844 : 줄리아 알론소
- 1848–1850 : 요제프 도메네크 코스타 이 보라스
- 1850–1861 : Pere Ciril Uriz i Labayru
- 1862–1870 : 마리아 푸이글랏 아이미고
- 1875-1889 : Tomas Costa I Fornaguera
- 1889-1905 : 요제프 메세게르 이 코스타
- 1905-1914 : 후안 안토니오 루아노 이 마르틴
- 1914-1925 : 요제프 미랄레스 스베르트
- 1926-1930 : 마누엘 이루리타 알만도즈
- 1935-1936 : 살비오 헉스 미랄픽스
- 1938-1943 : 마누엘 몰 이 살로드
- 1944-1947 : 조안 빌라르 산즈
- 1947-1967: 아우렐리오 델 피노 고메스
- 1968-1999년 라몬 말라 통화
- 1999-2007 : 프란체스코-자비에르 시우라네타 아이미
- 2008~2015년 : 후안 피리스 프리골라
- 2015-현재 : 살바도르 키메네스 발스
참고 항목
참조
- ^ "Lleida diocese of Lleida" Catholic-Hierarchy.org. 데이비드 M. 체니. 2016년 2월 29일 회수
- ^ "Lleida diocese of Lleida" GCatholic.org. 가브리엘 차우. 2016년 2월 29일 회수
- ^ 레이첼 L. 비시가딕 왕국의 스타킹, 주교, 의회 및 컨센서스, 589-633 페이지 39.
- ^ 레이첼 L. 비시가딕 왕국의 스타킹, 주교, 의회 및 컨센서스, 589-633 [40페이지]
- ^ 조셉 빙엄, 오리진스 성직자들: 또는, 조셉 빙엄(W. Staker, 1844) p226의 "기독교 교회의 고대"와 기타 작품들.
- ^ 세그레가시오 델 비스바트 데 릴리다
- ^ 매니페스트 소브레 라 유니타트 델 르리다 디오포르테사 아이 코마르칼
- ^ 안토니오 페레즈 주교 Catholic-Hierarchy.org 데이비드 M. 체니. 2016년 8월 27일 회수
- (영어로) 가톨릭 백과사전, 1910년과 1907년: 릴리다와 바르바스트로
- (스페인어) IBERCRONOX: Obispado de Lérida (Ilerda)와 Obispado de Barbastro-Monzon)
-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Herbermann, Charles, ed. (1913).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cite encyclopedia}}
: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
외부 링크
- 레리다 교구 (카탈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