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횡단 고속철도망

Trans-European high-speed rail network

트랜스 유럽 고속철도망(TEN-R)은 트랜스 유럽 재래식 철도망과 함께 트랜스 유럽 철도망을 구성하고, 이는 결국 유럽연합의 다수의 트랜스 유럽 교통망(TEN-T) 중 하나이다. 그것은 1996년 7월 23일 위원회 지침 96/48/EC에 의해 정의되었다.[1]

유럽 연합 이사회 결정 2002/735/EC는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기술 표준을 정의한다.[2]

유럽의 고속 철도 운영

설명

EU 지침의 목적은 설계, 건설 및 운영의 다양한 단계에서 유럽 고속 열차 네트워크상호운용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일련의 인프라, 고정 설비, 로지스틱 장비 및 롤링 스톡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EC 결정의 정의에 따라 고속 노선은 다음 세 가지 인프라 특성 중 하나를 가져야 한다.

  • 일반적으로 250 km/h 이상의 속도를 위해 장착된 특수 제작된 고속 라인
  • 200km/h의 속도에 맞게 특별히 개량된 고속선
  • 지형적, 구원적 또는 도시 중심적 제약으로 인해 특별한 특징이 있는 특별히 업그레이드된 고속 선으로, 각각의 경우에 맞춰 속도를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라인에서 사용되는 압연재산은 기반 구조의 특성과 호환되어야 한다.

중요한 열거형 철도 노선(TEN-T)을 따라, 철도는 새로운 부품이 건설될 때 또는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질 때 고속 유형이어야 한다. 이것은 이 프로젝트들에 대한 품질 요건을 만든다.

복도

베를린-팔레르모 축
유럽 치안판사

참고 항목

참조

  1. ^ 유럽 횡단 고속철도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위원회 지침 96/48/EC, 2012년 3월 7일 회수
  2. ^ "2002/735/EC: Commission Decision of 30 May 2002 concerning the technical 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 relating to the rolling stock subsystem of the trans-European high-speed rail system referred to in Article 6(1) of Directive 96/48/EC". eur-lex.europa.eu. European Union. 12 September 2002. Retrieved 7 March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