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레타스 자
Diretas Já![]() |
1984년 4월 16일 상파울루에서 열린 디레타스 자 시위. | |
날짜. | 1983년 3월 ~ 1984년 4월 |
---|---|
위치 | 브라질 전역의 주요 도시 |
참가자 | 탄크레도 네베스, 레오넬 브리졸라, 미구엘 아라스, 율리시스 기마랑스, 안드레 프랑코 몬토로, 단테 데 올리베이라, 마리우 코바스, 제르손 카마타, 아이리스 레젠데, 오레스테스 케르시아,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에두아르도 수플리시, 로베르토 프레이레, 페르난도 헨리케 카르도소 등. |
결과 | 탄크레도 네베스의 간접선거와 제헌의회의 승인 |
디레타스 자(Diretas Já) 포르투갈어 발음: [d ʒ디 ˈɾɛ트 ɐ레스 ˈʒ라], 직접 선거는 1984년 브라질에서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시민 운동입니다.
운동 참가자
이 운동은 브라질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을 한데 모았습니다. 참가자들은 광범위한 정당, 노동조합, 시민, 학생, 언론계 지도부 출신입니다. 정치인으로는 율리시스 기마랑스, 탄크레도 네베스, 안드레 프랑코 몬토로, 페르난도 헨리케 카르도소, 마리우 코바스, 테오토니오 비일라, 단테 데 올리베이라, 호세 세라,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에두아르도 수플리시, 레오넬 브리졸라 등이 있었습니다. 정치인 외에도 밀턴 나시멘토, 페르난다 몬테네그로, 질베르토 길, 브루나 롬바르디, 파파 데 벨렘, 치코 부아르케 데 홀란다 등의 예술가들도 이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Henfil, Osmar Santos, Eliel Ramos Maurício와 같은 언론인들은 정기 간행물 Diário de Sorocaba와 Folha de Itapetininga의 집회를 취재했습니다. 코린치안 민주주의 운동으로 이미 잘 알려진 축구팀 코린치안스는 그들의 상의 뒷면에 "디르타스 자"(Diretas Já)를 인쇄했습니다. 다른 종교뿐만 아니라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문도 이 운동을 지지했습니다.[1]
최초의 민중시위 장소
1983년 3월 31일, 페르남부코의 해방된 마을 아브레우 리마에서 다이어타스에 대한 첫 번째 대중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1983년 6월 15일 고이아스 주의 수도인 상파울루 시의 찰스 밀러 플라자와 11월 27일 상파울루 시의 파카엠부 경기장 앞에 있는 카를 밀러 플라자에서 시위가 이어졌습니다.[2]
경제상황
이 운동의 성장은 경제 위기의 악화와 동시에 이루어졌습니다(1983년 연간 인플레이션은 239%). 이로 인해 계급 단체와 노조가 동원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대통령 직선제라는 공통된 명분 아래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대표들을 연결시켰습니다. 자신들의 기반에 민감한 많은 친현상 정치인들은 PDS가 창당되었을 때 친정부 정당인 "ARENA" 내에서도 의견 차이를 형성했습니다.
이듬해 이 운동은 비판적인 미사여구를 얻었고, 공개적으로 자신을 동원할 수 있었습니다. 상파울루 시의 기념일(1월 25일)에 당시 상파울루 주지사였던 안드레 프랑코 몬토로(André Franco Montoro)가 상파울루 대성당(Catedral da Se)에 인접한 주요 공공 광장인 프라우 다 세(Praça da Se)에서 대통령 직선 운동의 첫 번째 위대한 집회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무렵 군사 정권은 대다수의 국민들과 함께 많은 위신을 잃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임금이 줄어든 하급 군인들이 상급자들에게 불만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대통령 직선제가 가능한 의회 투표 직전인 4월 16일 상파울루에서 마지막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프라우사 다 세가 너무 작아질 것을 우려하여 안항가바우 계곡을 선택했는데, 이곳에는 약 150만 명이 넘는 군중이 참석한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브라질에서 볼 수 있는 최대 규모의 정치 시위였습니다.
1984년 4월 한 달 동안 피게이레도 당시 대통령은 언론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고 체포와 경찰의 폭력을 조장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4년 4월 25일 Diretas Já 개정안(저자의 이름을 따서 Dante de Oliveira law)이 표결에 부쳐졌습니다. 찬성 298표, 반대 65표로 112명의 친정부 의원들이 기권함으로써 정족수 없이 회의장을 빠져나갔습니다. 결과적으로, 그 청구서는 사라졌습니다.
그 법안이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운동은 다양한 반대 세력에 대한 촉매제이자 대중의 불만에 대한 목소리임이 증명되었습니다. 재민주화 과정은 1985년 공권력이 복귀되고, 1989년 첫 직선제 대통령 선거를 요구하는 1988년 새 헌법이 승인되면서 막을 내렸습니다. 그 후 브라질은 1961년 이래 최초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인 페르난도 콜로르 데 멜로를 선출했습니다.
조립품
다음은 디레타스 자 시위의 시간 순서에 따른 부분 목록입니다.
날짜. | 위치 | 참가인원 | 메모들 |
---|---|---|---|
1983년 3월 31일 | Abreu e Lima, Pernambuco | — | 디레타스 자의 첫 번째 공개 행사로 참가자 수가 많지 않았습니다. |
1983년 6월 15일 | Goiânia, Goiás | 5,000 | 그것은 Praça do Bandeirante에서 열렸습니다. |
1983년 6월 26일 | 테레시나 | — | — |
1983년 8월 12일 | Pernambuco | — | 그 일은 주의 여러 도시에서 일어났습니다. |
1983년11월27일 | 상파울루 주 | 15.000 | 이 날짜에 테오토니오 비일라 상원의원이 사망했습니다. |
1983년 12월 9일 | 폰타 그로사 | 1.000 | — |
1984년1월5일 | Olinda, Pernambuco | — | — |
1984년1월12일 | 쿠리치바, 파라나 | 40,000 | 이 사건은 라울 알폰진의 대변인으로 알려진 후안 카를로스 퀸타나의 참여로 계산되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는 국제적 영향력 아래 운동이 시작되었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침투한 독재 정권의 요원이었습니다. |
1984년1월20일 | 살바도르, 바이아 | 15,000 | — |
1984년1월21일 | 비토리아, 에스피리토 산토 | 10,000 | — |
상파울루 주 캄피나스 | 12,000 | — | |
1984년1월25일 | 상파울루 주 | 300,000 | 그것은 Praça da Se에서 일어났습니다. |
1984년1월26일 | 주앙 페소아, 파리바 | 10,000 | — |
1984년1월27일 | Olinda, Pernambuco | 30,000 | — |
1984년1월29일 | Maceió, Alagoas | 20.000 | 그것은 Praia da Pajaçara에서 열렸습니다. |
1984년2월16일 | 벨렘, 파라 | 60,000 | — |
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 | 60,000 | 그것은 칸델라리아에서 시넬란디아까지 가는 디레타스의 첫 번째 퍼레이드였습니다. | |
1984년2월17일 | Recife, Pernambuco | 12,000 | 퍼레이드가 펼쳐졌습니다. |
1984년2월18일 | 아마조나스 주 마나우스 | 6,000 | — |
1984년2월19일 | 카팡 다 카노아, 리오 그란데 도 술 | 50,000 | 퍼레이드가 펼쳐졌습니다. |
오사스코, 상파울루 | 25,000 | — | |
리오 브랑코 | 7,000 | — | |
1984년2월20일 | Cuiabá, Mato Grosso | 15,000 | — |
1984년2월24일 | 미나스 제라이스 주 벨로 호라이즌트 | 300,000 | — |
1984년 2월 26일 | 상파울루 | — | 주의 300개 도시에서 열리는 공개 행사. |
아라카주, 세르지페 | 30,000 | — | |
1984년2월29일 | 후이즈 데 포라, 미나스 제라이스 | 30,000 | — |
1984년3월8일 | Anápolis, Goiás | 20,000 | — |
1984년3월21일 | 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 | 200, 000 | 칸델라리아에서 시넬란디아까지 또 다른 퍼레이드가 펼쳐집니다. |
1984년3월22일 | 상파울루 주 캄피나스 | 20,000 | 그것은 정치적인 연설 없이 음악 콘서트였을 뿐입니다. |
1984년3월23일 | Uberlândia, Minas Gerais | 40,000 | — |
1984년3월24일 | 캄포 그란데, 마토 그로소 도 술 | 40,000 | — |
1984년3월29일 | 플로리아노폴리스, 산타 카타리나 | 20,000 | 4년 전 헌병대와 학생들의 대치 상황인 노벨브라다가 발생했던 바로 그 교회 밖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
1984년4월2일 | 론드리나, 파라나 | 50,000 | — |
1984년4월6일 | 나탈, 리오 그란데 도 노르테 | 50,000 | — |
1984년4월7일 | 페트롤리나, 페르남부코 | 30,000 | — |
1984년4월10일 | 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 | 1,000,000 | 그 일은 칸델라리아 교회 밖에서 일어났습니다. |
1984년4월12일 | Goiânia, Goiás | 300,000 | 그것은 Praça do Bandeirante에서 열렸습니다. |
1984년4월13일 | 포르투 알레그레, 리오 그란데 도 술 | 200,000 | — |
1984년4월16일 | 상파울루 주 | 1,500,000 | Praça da Se에서 Vale do Anhangabaou까지의 퍼레이드가 그 행사를 성공시켰습니다. 지금까지 브라질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공개 시위였습니다. |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Paulo Markun [in Portuguese]. "Diretas Já - Comício do Anhangabaú, em 16/04/1984". Brado Retumbante. Drup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5, 2018.
- ^ Kapa, Raphael (20 April 2014). "Diretas Já: Há 30 anos, milhões foram às ruas reivindicar o direito de votar" (in Brazilian Portuguese). O Globo. Retrieved 26 July 2023.
외부 링크
- (포르투갈어로)Folhaed S.디르타스자 파울로 의회
- (포르투갈어로)디르타스자 오에스타도 데 상파울루
- (포르투갈어로)디르타스자 아브릴 컬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