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아바
Doaba비스트 도압으로도 알려진 도아바는 베아스 강과 수틀레지 강 사이에 있는 인도 펀자브 지역이다.[1] 이 지역 사람들은 "도비아"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도바바에서 쓰이는 푼자비의 사투리를 도아비라고 한다. 도바(Doaba) 또는 도브(Doab)라는 용어는 "두 강의 땅"[2]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 "ووب"(do ab "2 water")에서 유래되었다. 수틀레즈 강은 도바를 말와 지역에서 남쪽으로, 베아스 강은 도바에서 마하 지역으로 분리한다.
예정 카스트는 도바 인구의 40% 이상을 형성한다. 이 지역은 상당한 비율의 도아비아스가 이주한 결과로 펀자브의 NRI 허브라고도 불린다.[3]
도바 지역은 역사적으로 캐나다(특히 그레이터 밴쿠버 지역)와 같은 서부 국가의 푼자비 디아스포라(Punjabi diaspora)의 상당 부분과 영국의 뿌리를 추적하는 곳이기도 하다.
도아바의 행정 구역
도아바는 다음과 같은 구역으로 구성된다.[1]
우나 구 (히마찰프라데시 주)
현재 히마찰프라데시(Himachal Pradesh)의 구인 호시아르푸르(Hoshiarpur) 지구의 테실 우나(Tehsil Una)도 도아바의 일부분이다. 칸디 벨트 아래에 있다. 보다 넓은 범위에서는 사틀루즈와 베아스 강 사이에 놓여 있기 때문에 여전히 도아바의 일부로 간주되고 있다. 우나 지구는 구루나낙 데브의 후손인 베디스의 고향이기도 하다.
하위 구분
전통적으로 도아바는 만지키, 도나, 닥, 시로왈, 칸디, 베트 지역으로 세분되었다. 도나, 만지키, 닥의 경계가 잘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이 글에서는 도아바의 하위 구획에 속하는 지역의 윤곽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만지키와 닥의 분단은 그랜드 트렁크 길이다. 만지가 이 길의 동쪽(바라핀드 주변)에 땅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이 지역을 쉽게 참조하기 위해 학이라고 부른다.
지역 사람들에 따르면, 각 지역은 하위 문화를 발달시켰다. 이것은 사람들이 지역 하위 부서 내에서 결혼을 주선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려사항은 현재 고려되지 않는다.
만지키
만지키에는 나카다르테실(Nakodar tehsil), 고라야 서브테실(Goraya subthsil), 노마할 서브 테실(Noormahal sub tehsil), 필라우르테실(Philaraur tehil)의 서부 등이 많이 포함된다.[4] 잔디알라와 번달라의 마을은 만지키에 있다. 파그와라의 남동쪽도 만주키 안에 든다.[5] 그러나 어느 지역이 파그와라 테실(Pagwara tehsil)에 가려져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이브베톤이 바라 핀드에, 파그와라 남쪽 12개 마을이 만즈 라즈푸츠에 의해 억류되어 있다는 언급이 있다.
이 지역이 한때 나코다르 주변에서 선로를 잡고 있던 만주족에서 이름을 따온 것인지, 아니면 그 이름이 땅의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4] 그러나, 만즈 라즈푸츠는 탈완, 나코다르, 말시사이(나코다르 시의 서쪽)에 걸쳐 있는 잘란다르 지구의 남쪽에 큰 트랙을 가지고 있었다.[4] 이러한 근거에 따르면, 그 이름이 땅의 상태로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낮고, 만즈 라즈푸츠와 연계될 가능성이 더 높다. 전통적으로 그랜드 트렁크 로드 서쪽 지역은 만즈키라고 여겨지고 있으며, 따라서 다른 지역에 대한 언급은 조사되어야 한다. 구획 사이의 선은 선명하게 잘리지 않고 일반적인 안내서다.
만즈키는 펀자브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하나로, 기성 도시인 잘란다르와 가깝고 비교적 일관된 평야를 위해 비옥한 토양을 가진 수틀레즈에도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1947년 이후 이 지역은 영국, 캐나다, 미국과 같은 북부 국가로 대규모 이민을 경험했고, 결과적으로 인도 펀자브 지역에서 NRI 수치가 가장 높다. 이러한 발전으로 펀자브 지역에 대한 NRI 투자는 상당히 많아져 이 지역의 비교 경제 번영을 가져왔다.
아레인스의 큰 무슬림 부족은 1947년 이전에 도아바 지역에 정착했다. 특히 잘란다르 지방과 올 펀자브에 정착했다.[6] 아레인족은 인도 아대륙에서 무함마드 빈 카심과 함께 신드를 통해 도착한 우마이야드 아랍군의 후손이다. 이들은 바홀 로디스의 군대와 무굴의 군대로 도아바 지방에 정착하였다.[7][5] 아레인 부족에 속한 아디나 베그 칸 장군은 서기 1748년에 몇 달 동안 도바 지역을 통치했었다.[8] 잘란다르 출신의 또 다른 잘 알려진 아레인 이름은 파키스탄의 6대 대통령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장군이다.[9] 파즐-이-후세인 경, KCSI(1877–1936)도 잘란다르에서 태어난 펀자브 출신의 아랭 정치인이었다. 후세인은 옛 펀자브 연합당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진나의 '독립 파키스탄' 비전에 반대했다.[10] 아레인족은 주로 파그와라, 나코다르, 코틀라 니항, 다울랏푸르, 누오르푸르에 정착하였다. 그들은 그 지역의 큰 농업 지대의 지주였다.[11] 파키스탄의 잘란다르에서 파이살라바드(옛 리알푸르), 바하왈푸르, 라왈핀디, 라호르 지구로 거의 모든 아레인 인구를 분할한 후.[12]
오늘날에는 힌두교와 시크교가 이 지역의 주요 종교로 우세하다. 분할 전 이 지역은 상당한 규모의 무슬림 다수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이슬람 연맹은 잘란다르 사단이 파키스탄에 할당되기를 희망하게 되었다.[13] 분할 후 이 지역의 대다수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의 파이살라바드(옛 리알푸르) 지구로 이주했지만,[14] 소수는 라호르와 라왈핀디의 도시 중심지를 대신 선택했다. 리알푸르 지구에서 온 합리적인 수의 시크교도들과 힌두교도들이 도바 지방, 특히 만지키 지방으로 이주되었다.[15]
학
Dak으로 알려진 지역은 Philaur 테실 동부와 Nawanshahr 구역이다.[4] 그랜드 트렁크 도로는 닥 지역과 만주 지역을 구분한다. 파그와라테실 중부는 학에 있다.[5] 이 지역은 과거 이 지역에 학나무가 풍부했기 때문에 학이라고 불린다. 닥나무는 팔라라고도 하며 부테아 모노스페르마 나무로 분류된다. 파그와라 테실에만 닥팔라히, 닥다돌리, 닥차코키 등 닥을 합친 마을이 많다. 실제로 팔라히는 이 일대가 학 숲으로 덮여 있어서 그렇게 불린다.
비록 파그와라 테실에는 Dhak 지역이 포함되어 있지만, 토양의 종류는 전통적으로 점토 대출이나 로미 점토 중간 정도였고, 따라서 전통적인 주요 작물 회전은 옥수수 밀, 논 밀, 사탕수수 밀, 사료 밀, 면 밀이었다.[16] 그러나 현재 펀자브 지역의 농작물 회전은 전체적으로 지반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
도나
'도나'라는 말은 토양이 모래와 점토라는 두 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모래가 우세하다는 뜻이다. 베아스 강의 남쪽에 있는 지역은 도나에 있다. 이 지역은 카푸르탈라 지구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5]
도나의 토양의 종류 때문에 전통적으로 따라오고 있는 주요 작물 회전은 땅콩밀, 땅콩밀, 옥수수밀, 면밀, 사료밀이었다.[16] 그러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작물 회전도 현재의 지반 조건에 따라 변한다.
내기
비아스와 흑비인 사이에 떨어지는 강줄기 사이의 영역에 놓여 있는 도바 부분을 '베트'[5]라고 부른다. 강 근처의 어느 지역은 베트라고도 불리며 따라서 펀자브의 모든 지역에는 강을 끼고 있는 베트 지역이 있다.
벳의 흙은 진흙으로 만든 롬이나 롬이나 진흙으로, 따라서 전통적으로 따라오던 주요 농작물 회전은 논밀, 옥수수밀, 사료밀, 토리아밀이었다.[16]
시로왈
파그와라 테실의 북동부는 시로왈(Sirwal) 지역에 있다. 잘란다르 지구의 보그푸르와 아담푸르 블록도 시로왈에 놓여 있는데, 사실 보그푸르 블록은 보그푸르 시왈로 알려져 있었다. 호시아르푸르 지구는 시로왈에 1, 2블록이 놓여 있고 싱리왈라 마을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고 있다. 시로왈은 마힐푸르(Mahilpur)의 서브 테실(Subthil)도 포함한다.
시로왈이라는 이름은 높은 수위와 압력으로 인해 땅에서 터져나오는 물의 통로를 뜻하는 푼자비어(Punjabi)에서 유래한 것으로, 과거 시로왈(Sirowal)에서 튜브웰의 과다한 사용이 물 테이블을 무너뜨리기 전까지만 해도 시로왈(Sirowal)이라는 명칭은 시로왈(Sirowal)에서 유래되었다.
시로왈은 베트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호시아르푸르 지구에서 내려오는 수많은 언덕 하천은 일년 내내 토양을 촉촉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 하천들 중 일부는 실트 로딩되어 있고, 처음에는 비옥한 토양을 침전시키고 있지만, 나중에 침전물은 점점 더 모래가 많다. 이러한 배수 통로 패치 및 경질 점토의 층도 또한 발견될 것이다.[5] 이에 따라 계절 하천이 흐르는 지역은 시로왈로 분류된다. 이러한 하천은 푼자비에서는 초(chees)라고 불리며 백색(chitti) 베인과 합쳐진 나스랄라 최루(Nasrala cheo)를 포함한다.
칸디
산 아래에 놓여 있는 지역은 칸디라고 불리며 호시아르푸르 동쪽 지역과 나완샤르의 발라차우르 테실, 히마찰프라데시 주의 우나 구를 가로지른다.루파나가르의 누르푸르 베디.
칼라상히안
잘란다르와 카푸르탈라의 경계에 있는 도바에 있는 작은 마을.
장소
파그와라
Pagwara는 Shah Jahan에 의해 시장 마을로 지어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파그와라의 몇몇 사람들은 농사를 짓기 시작했고 파그와라는 시골의 성격을 띠었다. 파그와라 샤키는 원래의 시골 파그와라를 커버하고 있는데, 지금은 일부 사람들이 계속 농사를 짓고 있는 수크체니아나 구드라와라(수크체인 나가르) 주변 지역만 커버하고 있다. 파그와라는 공업도시로 의류쇼핑으로 인기가 많다. 또한 러블리 프로페셔널 대학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잘란다르 시
잘란다르(Jalandhar)는 이전에 줄룬두르(Jullundur)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 펀자브 주의 잘란다르 구에 있는 도시다. 도시 인구는 거의 100만 명에 이르며, 또 다른 백만 명은 도시 외곽의 농촌 지역에 살고 있다.
잘란다르 시는 잘란다르 타운과 12개의 바스티와 12개의 코츠(모할라스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져 있다. 잘란다르도 12개의 관문을 가지고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보루와 곶, 성문의 정체와 위치는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현지 사람들에 따르면 알려진 바스티스는 다음과 같다.
- 바스티 덴마크만단(Basti Denishmandan)은 원래 이브라힘푸르(Ibrahimpur)로 서기 1606년 카니 쿠람 출신의 안사리 셰이크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 바스티 셰이크 다르베시(Basti Sheikh Darvesh)라고 통칭되는 바스티 셰이크 다베시(Basti Seikh)는 원래 수라자바드(Surajabad)로, 서기 1614년 카니 쿠람 출신의 안사리 셰이크와 안사리 셰이크가 설립하였다.
- 바스티 구잔(Basti Guzan)은 샤 자한(Shah Jahan) 통치 때 구즈(Ghuz) 구역의 부르키 파슈툰(Burki Pashtuns)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셰이크 다르베시의 훈육이다. 그들은 처음에는 잘란다르에 정착했고, 다음에는 바스티 셰이크에 정착했다. 이어 로디 아프간스, 사이야드, 셰이크스에서 토지를 매입하고, 그들만의 바자르를 건설한다.
- 바스티 바와 켈(Basti Bawa Khel)은 원래 바바 켈(Baba Khel) 섹션의 부르키 파슈툰(Burki Pashtuns)에 의해 서기 1620-21년에 설립되었다.
- 바스티 피르다드는 바스티 바바 켈의 산물이다.
- 바스티 샤 쿨리와 바스티 샤 이브라힘도 샤 자한 치세의 부르키 파슈툰 정착지다.
- 바스티 미투 시브는 페샤와르 근교의 칼릴 마테자이 파탄에 의해 바스티 셰이크 다르베시보다 조금 늦게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 바스티나우(Basti Nau)는 바스티 샤 쿨리(Basti Shah Kulli)와 인접해 있으며, 1759년 시크(Sikh)가 이 지역을 정복한 후 설립되었다.
알려진 코트는 다음과 같다.
- 코트 키산 찬드
- Kot Lakhpat Rai, 일찍이 Kot Daulat Khan으로 알려진 Kot Lakpat Rai.
- 코트 사다트 칸
- 아치 고트
- 코트 심비안
- 코트 팍쉬안
- 코트 바하두르 칸
- 코트 모하마드 아민은 현재 시브라즈 가르로 알려져 있다.
- 코트 사디크
- 코트 바달 칸
- 코트 파잘 카림
- 코트 아스만 칸
원래의 문은: 발미키 문, 넬라 마할 문, 자우라 문, 키흐란 문, 사이단 문, 파그와라 문, 시틀라 문, 호디안 문, 데할비 문, 샤 쿨리 문, 라호르 문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바스티스와 코트의 많은 수가 잘란다르 시를 형성하도록 개발되었다. 1947년 이후 바르가브 캠프, 모델 타운, 모델 하우스, 센트럴 타운, 프레엣 나가르, 올드 자와하르 나가르, 수바쉬 나가르, 라즈팟 라이 나가르, 샤크티 나가르, 뉴 자와하르, 아다르쉬 나가르와 그 외 여러 소규모 주거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차하르 바그와 뿌까 바그는 1947년 이전에 존재했지만 그 날짜 이후 광범위하게 개발되었다.
최근 이웃 마을에 새로운 토지가 개발되었다.
잘란다르 구
잘란다르 구에는 필라루스 요새, 구르드와라 탈한 사이브, 데비 탈라브 만디르가 자리잡고 있다. 원더랜드 테마파크는 잘란다르에서 람브라 근처의 나코다르 도로까지 있다.
나코다르
나코다르는 역사가 풍부한 도시로서, 다음의 고향이다.
종교적인 장소
- 구루 라비다스 구루드와라 후랄가르
- 구루 라비다스 구루드와라 차크 하키마
- 데라 구루 라비다스 셰르푸르 닥콘
- 바바몰지말리
- 나와나낙사르 테헤, 발란다
- 자그담비 담 (데비 탈랍 만디르)
- 데라 삭칸드 발란
- 스리 수다르산 만디르
- 말리 사이브 구루드와라
- 나나카르 사이브 구루드와라
- 마타 잠바 자인 만디르
- 마타 차카르슈바리 다비 자인 만디르
- 아디나트 자인 만디르
- 나낙사르 사이브, (발란 왈라)
- 프라첸 시발라야 만디르 2913 카트라 미스란, 나코다르
- 자간 나트 만디르 (바바 차렌 다스)
- 조기퍼 샤할*
인기 있는 역사적 장소
- 모하메드 맘민의 무덤
- 하지 자말의 무덤
- 구가 자하르 비르 만디르
- 바바 사하스 찬드 보파라이 칼란
카르타르푸르
카르타르푸르(Kartarpur)는 제5대 시크 구루 아르잔 데브 지(Sikh Guru Arjan Dev Ji)가 도바에서 보낸 기간 동안 설립하였다. 초기 구루 그란트 그란트 사히브 지 중 하나는 카르타르푸르에 보관되어 있다. 그 도시는 목공예 산업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많은 예정 카스트들이 그곳에 살고 있고 가구 산업에서 일한다. 그것은 또한 예약된 조립 좌석이다.
누르말
누르마할은 이 마을의 흙 아래에서 발견된 벽돌과 많은 동전들에 의해 증명된, Kot Kahlur라고 불리는 고대 마을이 위치한 곳에 지어졌다. 1300년경 알 수 없는 이유로 고대 도시가 버려지거나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누르마할은 무굴 황제 자한기르(1605~1627)의 부인 누르 자한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으로 여기서 어린 시절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이 마을은 동인도 회사가 장악하기 전에 탈완 라즈푸츠와 랑하르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누르마할의 주요 관광지로는 누어 자한이 건설한 무굴세라이가 있다. 이 역사적인 기념비는 고고학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사라이의 전체 구조는 140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4각형의 형태로, 구조물의 4면에 걸쳐 퍼져 있다.
필라우스
라이 샤흐르가 보낸 나루 라즈푸츠는 샤흐르의 아들 라탄팔이 마우를 떠나 필라우스에 정착할 때 이 마을을 점령했다. 옛 세라이는 마하라자 란지트 싱에 의해 요새로 개조되어 현재 경찰 훈련 아카데미(PTA)로 사용되고 있다.
힌두교의 유명한 찬송가인 자이 자그디시어 하레는 1870년대 필라우스의 지역 학자 샤르다 람 필라우리에 의해 작곡되었다. 정확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 샤르다 람 필라우리도 일반적으로 힌디어의 첫 소설로 여겨지는 것을 썼다. 그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다.
호시아르푸르
호시아르푸르는 장마철에 홍수를 일으키는 '초'의 땅, 약 39개의 '초'(계절 리불렛)로 불린다. 이 지역은 목공예와 상아공예로 유명하다. 상아는 이제 합성 대안으로 대체되었다. 히말라야 산맥의 기슭에 있는 시발릭 힐즈에 위치해 있다. 호시아르푸르(Hoshiarpur)는 히마찰(Himachal)과 히말라야의 문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호시아르푸르(Hoshiarpur)를 통해 잠무&카슈미르(Jammu & Kashmir)로 가기 위한 가장 좋은 지름길로 연료는 물론 시간도 많이 절약된다. 타크니 레마푸르 성역은 호시아르푸르 지역에 위치해 있다. Dholbaha에는 중요한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
다수야
이 마을은 고대 인도의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 비라타 왕의 자리라고 일컬어진다. 이를 인정받아 다수야는 오늘날에도 비라트 기 나기리(Virat Ki Nagri)라고 일컬어진다.[17]
카푸르탈라
카푸르탈라(펀자비: ਕਪਰਥ))는 인도의 펀자브 주에 있는 도시다. 카푸르탈라 구의 행정 본부다. 영국 인도의 왕자성 국가인 카푸르탈라 주의 수도였다. 프랑스와 인도-사라시아 건축에 기반을 둔 유명한 건물들과 도시의 세속적이고 심미적인 혼합은 왕자의 과거를 스스로 좁힌다. 궁전 & 정원 도시로도 알려져 있으며 자갓집 궁전이 있는 곳이다.
샤히드 바가트 싱 나가르 구
샤히드 바가트 싱 나가르 지구는 1995년 11월 7일 펀자브 주의 호시아르푸르와 잘란다르 지구에서 나완샤르 본부의 도시로부터 명명된 펀자브 주의 16번째 지구로 조각되었다. 나완샤르 마을은 나우셰르 칸 아프간 군 최고 책임자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한다. 이전에는 "나우사르"라고 불렸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 마을은 "나와안샤르"로 알려지게 되었다. 나완샤르는 친족 관계를 통해 아크바르 왕과 연합한 무슬림 고레와하 라즈푸츠와 수많은 사이니스와 자이트 일족의 거점이 되어왔다.
이 지역은 카트카르 칼란이 있는 곳으로, 방가 근처에 위치한 샤히드 바가트 싱의 박물관을 찾을 수 있다.
음악과 춤
고전적인
샴 차우라시아 가라나는 힌두스탄 고전음악의 가라나(뮤지컬 유산)로 성악 듀엣의 노래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대에 가장 두드러지게 살라마트 알리 칸과 나자카트 알리 칸 형제가 대표하고 있다. 가라나는 펀자브(인도) 호시아르푸르 지구의 동명 마을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변종 철자에는 샴처라시가 있다.
춤
도아바 전역에서 인기 있는 전통 민속 춤은 기다 춤이다. 남자 민속춤은 없지만 1947년 칸막이 이후 방그라(Bangra)가 이 지역에 뿌리를 내렸다. '도헤이'라 불리는 남성들의 전통민요풍은 그 스타일을 결정하고 그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도아바의 '도하이'는 남자들이 밭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로 볼얀과 비슷했다.
박람회와 축제
페어
카푸르탈라에서 열리는 바산트 박람회는 매년 샬라마 바그에서 열린다. 라흐푸르에서는 매년 두세라 멜라가 열린다. 판흐하트와 탈한은 매년 바이사키 멜라를 개최한다.
바바 소달 멜라는 펀자브의 뛰어난 성격이었던 바바 소달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조직된다. 바돈 달에는 수클라 박시 14일(음력 반절)에 박람회를 개최하고 수천 명의 신자들이 참석한다. 바바 소달의 전설에 따르면 잘란다르의 카스트 카스트에서 태어나 유명한 성자가 되었다. 바바족과 관련된 다양한 의식들이 있고 사람들은 그의 사마디의 장소인 잘란다르에 있는 연못을 방문한다. 사람들은 연못에서, 특히 그들의 가족을 보호하고 번창하게 하기 위해 바바의 축복을 구하기를 기도하는 아가씨들, 특히 그 아가씨들을 한 모금 마신다.[18]
축제
도아비스(Doabis)는 로리, 바산트 연 축제(펀자브), 마기, 바이사키, 홀리, 홀라 모할라, 디왈리, 락샤 반단, 뒤세라, 테얀의 푼자비 축제를 기념한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Grover, Parminder Singh; Grewal, Davinderjit Singh (2011). Discover Punjab: Attractions of Punjab. self-published. p. 179.
- ^ "GAZETTEER OF IN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3 April 2014.
- ^ Gurharpal Singh; Darsham Singh Tatla (2006). Sikhs in Britain: The Making of a Community. London: Zed Books Ltd. p. 40. ISBN 978-1-84277-717-6.
big villages doaba.
- ^ a b c d 펀자브 & 노스웨스트 프론티어 주, H.A. 로즈, 이베스턴, 맥클라간 부족과 카스트의 용어집 [1]
- ^ a b c d e f "History of Jalandhar" (PDF). Jalandhar On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0 October 2013. Retrieved 13 May 2017.
- ^ 구 가제터즈: 입베톤 시리즈, 1883-1884
- ^ "FAQ Arian Council UK". araincounciluk.com. Retrieved 26 September 2019.
- ^ 아디나 베그
- ^ 무하마드 지아울하크
- ^ 파즐이후세인
- ^ "Full text of "Panjab castes"". archive.org. Retrieved 26 September 2019.
- ^ "Demography of the Punjab (1849-1947)"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8 July 2014.
- ^ "Horrors of Partition". www.frontlineonnet.com. 25 Febr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13.
- ^ "Pak residents still approach MC for birth certificates". The Times of India. 11 August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13.
- ^ "Remembering Partition, One Story at a Time". thelangarhall.com. 6 December 2011.
- ^ a b c "Normal Soils of the Flat Plains and Old Flood Plai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17. Retrieved 3 April 2014.
- ^ Sharma, Baldev Raj, ed. (1979). "Punjab Gazetteer: Hoshiarpu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12. Retrieved 21 February 2012.
- ^ "Fairs in Punjab". discoveredind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November 2018. Retrieved 26 Septem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