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민첩성

Dog agility
민첩성 경쟁에 참가한 털 없는 중국 왕관.

민첩성은 핸들러가 시간과 정확성을 모두 위해 장애물 코스를 통해 개를 지도하는 개 스포츠이다.개들은 먹이나 장난감도 없이 목줄을 매고 다니며, 조련사는 개도 장애물도 만질 수 없다.핸들러의 제어는 음성, 움직임 및 다양한 신체 신호로 제한되므로 특별한 동물 훈련과 핸들러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민첩성 코스는 특정 크기의 영역에서 심판 자신이 선택한 설계로 배치된 일련의 표준 장애물로 구성됩니다.표면은 잔디, 먼지, 고무 또는 특수 매트일 수 있습니다.경기 유형에 따라, 장애물은 완료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코스는 개도 사람의 지시 없이는 제대로 이수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다.경기에서 핸들러는 코스를 평가하고, 핸들링 전략을 결정하며, 정확성과 속도를 똑같이 중요시하며, 개를 코스 끝까지 인도해야 한다.인간과 개의 속도 차이와 다양한 개와 조련사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전략이 존재한다.

경쟁의 기본

각 코스가 다르기 때문에 핸들러는 경기 시작 전에 짧은 연습 시간(평균 5~25분)이 허용된다.이 시간 동안, 특정 클래스에서 경쟁하는 모든 핸들러는 자신의 개 없이 코스를 걸어 다닐 수 있으며, 어떻게 그들이 가장 잘 위치를 정하고 번호가 매겨진 장애물을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우회할 수 있도록 개를 안내할 수 있다.핸들러는 개의 경로와 크게 다른 경로를 실행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핸들러는 보통 빠른 실행을 계획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습니다.

코스의 패스가 다양한 턴(U턴 또는 270° 턴)을 하고, 스스로 교차할 수 있고, 동일한 장애물을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개와 핸들러가 어느 쪽을 택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어야 하며, 핸들러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워크스루는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레이어링이라고 불리는 그와 개 사이에 장애물을 사용하거나 개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작업한다.

코스 맵이라고 불리는 민첩성 코스의 인쇄된 맵은 실행 전에 핸들러가 코스 전략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종종 제공됩니다.코스 맵에는 모든 장애물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장애물이 설치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코스 지도는 원래 손으로 그린 것이지만, 요즘은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스를 만듭니다.

각 도그와 핸들러 팀은 코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기회를 1개씩 갖게 됩니다.개는 출발선 뒤에서 출발하고 핸들러의 지시에 따라 코스를 돌아간다.핸들러는 일반적으로 개 가까이에서 말을 하는 명령과 몸짓(팔, 어깨, 발의 위치)으로 개를 지시합니다.

정확도만큼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특히 더 높은 수준의 경기에서는, 이 모든 것이 개 측과 핸들러 측에서도 전면적으로 실행됩니다.

주행 점수는 발생한 결함 에 따라 결정됩니다.벌칙에는 점프에서 바를 넘어뜨리는 것과 같은 코스 오류뿐만 아니라, 계산된 표준 코스 시간(초)을 초과하는 시간 오류도 포함될 수 있다. 시간 오류는 경기 수준, 코스 복잡도 및 기타 요인에 [1][2][3]따라 결정된다.

민첩성 장애

각 조직의 규정은 장애물의 건설에 대해 다소 다른 규칙과 치수를 명시하고 있다.그러나 대부분의 장애물의 기본 형태는 어디에 사용되든 동일합니다.장애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애물과 접촉하다

A프레임 장애물
도그워크 장애물
크로스오버 장애물
시소 장애물

접촉 장애물은 판자와 경사로로 만들어진 장애물로, 개가 장애물을 오르내리고 다른 색으로 [4]칠해진 영역인 "접촉 구역"에 발을 올려야 합니다.플랭크와 램프의 높이, 폭, 각도는 [4]경기를 운영하는 기관에 따라 달라진다.

A프레임

A 프레임은 가운데 A자 형태로 만나는 2개의 램프로 구성됩니다.램프의 길이는 6피트 8인치(2.03m)에서 9피트(2.7m) 사이, [5]정점 높이는 4피트 11인치(1.50m)에서 6피트 3인치(1.91m) 사이입니다.

개 산책

도그워크는 양 끝에 오르막과 내리막 경사로가 있는 높은 널빤지로,[6] 경사로의 길이는 8~12피트(2.4~3.7m), 높이는 36~50인치(91~127cm)이다.

크로스오버

크로스오버는 각각 중앙의 높은 플랫폼에서 올라가는 4개의 별도 램프로 구성된다. 개는 심판의 코스 계획에 따라 올바른 램프를 오르내려야 한다. 램프의 길이는 12피트(3.7m), 플랫폼의 [7]높이는 48~54인치(120~140cm) 사이이다.

시소

때때로 티터토터라고 불리는 시소는 개들이 걷는 시소이며, 시소의 길이는 8에서 12피트 (2.4에서 3.7미터) 사이, 꼭대기는 [8]16에서 27인치 (41에서 69센티미터) 사이이다.

타워

이 탑은 판자,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 세트, 그리고 개가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는 미끄럼틀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크로스오버와 유사하며, 크로스오버는 심판의 코스 [9]계획에 따라 오르내려야 한다.

터널

오픈 터널
폐쇄 터널

터널 장애물은 개들이 달리거나 [10]기어가는 다양한 디자인의 터널을 포함한다.

오픈 터널 또는 파이프 터널

개방된 터널 또는 관이 있는 터널은 개방된 유연한 튜브로, 보통 직경이 24인치(61cm), 길이가 10~[10][11]20피트(3.0~6.1m) 사이입니다.

폐쇄, 접힘 또는 슛 터널

폐쇄, 붕괴 또는 슛 터널은 개가 들어갈 수 있는 단단한 끝을 가진 가벼운 천으로 된 튜브입니다. 입구는 직경이 22에서 36인치(56에서 91cm), 길이가 [12][13]8에서 15피트(2.4에서 4.6m) 사이입니다.

후프 터널

후프 터널은 약 30인치(76cm) 직경의 8개의 PVC 후프를 프레임에 배치하여 약 10피트(3.0m)[14] 길이의 터널을 형성한 터널입니다.

크롤 터널

크롤 터널은 6피트(72인치) 길이의 터널을 형성하는 일련의 낮은 장애물로, 장애물은 8~20인치(2051cm)[15] 높이 사이에서 설치된다.

점프

이 날개가 달린 싱글 점프는 펨브로크 웰시 코기스와 같은 작은 개들이 비슷한 크기의 개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한다.
점프(허들)
개가 점프하는 철봉을 지탱하는 두 개의 직립선.키는 다른 키를 가진 개에 맞게 조정됩니다.직립대는 단순한 기둥일 수도 있고 다양한 모양, 크기, 색깔의 날개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더블 점프와 트리플 점프(확대 점프)
두 개 또는 세 개의 수평 막대를 지탱하는 두 개의 직립대가 서로 앞뒤로 펼쳐집니다.이중에는 평행 또는 상승 수평 막대가 있을 수 있으며, 삼중에는 항상 상승 막대가 있습니다.철봉 사이의 간격은 개의 키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패널 점프
수평 막대 대신, 점프는 지면에서 점프 높이까지 단단한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짧은 패널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도그 높이에 맞게 높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점프를 통해 점프하는 호주산 셰퍼드.
멀리뛰기(멀리뛰기)
개가 어떤 플랫폼에도 발을 디디지 않고 뛰어 넘어야 하는 넓은 영역을 형성하는 네다섯 개의 약간 높은 플랫폼 세트.점프 길이는 개의 키에 맞춰 조정된다.
타이어 점프
타이어 크기(내경 18인치(46cm~24인치(61cm)) 정도의 토러스 형상으로, 프레임에 매달린 형태입니다.개는 "타이어" 구멍으로 점프해야 한다. 다른 점프와 마찬가지로, 높이는 다른 크기의 개에 맞게 조정된다.타이어는 보통 시야를 확보하고 개가 잡을 수 있는 개구부나 울퉁불퉁한 곳을 덮기 위해 테이프로 감싼다.현재 많은 단체들이 개가 타이어를 [16]세게 부딪히면 타이어가 어떤 식으로든 산산조각 나는 이른바 교체식 또는 분리식 타이어를 허용하거나 요구합니다.
기타 장애물
UKC 민첩성은 다른 민첩성 조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장애물을 허용합니다. 부시 허들, 하이 허들, 통나무 허들, 피켓 펜스 허들, 레일 펜스 허들, 롱 허들, 윈도우 허들 및 워터 허들입니다.

여러가지 종류의

포즈 테이블 위의 암컷 치누크
보더 콜리가 빠른 직조 기둥을 시연합니다.
표(일시정지 표)
개가 지정된 시간(보통 5초) 동안 점프하고 멈춰야 하는 가로 3피트, 세로 1피트(1m, 세로 1m) 크기의 고가 사각 플랫폼.키는 개의 키와 후원 단체에 따라 약 8~30인치(2076cm)이다.
일시 중지 상자
일시 중지 테이블의 변형입니다.포즈 박스는 보통 플라스틱 파이프나 건설 테이프로 바닥에 표시된 정사각형으로, 개는 높은 테이블에서처럼 "일시정지" 행동을 해야 한다.
장대를 짜다
회전과 유사하게, 이것은 각각 높이가 약 3피트(0.91m)이고 간격이 약 24인치(61cm)이다(AKC의 간격은 2010년 1월에 변경될 때까지 21인치(53cm)였다).3인치가 더해진 것은 개의 등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개는 항상 첫 번째 폴을 왼쪽에 두고 입장해야 하며 폴을 건너뛰면 안 된다.개는 직조 폴 장애물을 완성할 때 5가지 뚜렷한 걸음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17] 많은 개들에게, 직조 기둥은 정복하기 가장 어려운 장애물 중 하나이다.
기타 장애
UKC 민첩성은 다른 민첩성 조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음과 같은 장애물을 허용합니다. 스윙 플랭크, 스윙 브리지 및 플랫폼 점프입니다.NADAC는 후프 장애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후퍼스 코스는 전적으로 후프로 구성되지만, 다른 코스에서도 후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룹 구성

민첩성 테스트에서 경쟁하는 호주 쿨리 스무스 코트.

비록 각 기관이 그들만의 규칙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우승자를 계산하고 점수를 [18][19][20]따기 위한 목적과 경험에서 서로 가까운 작은 그룹으로 개들을 나눕니다.

역사

개의 민첩성의 역사는 19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열린 크루프트 도그쇼에서 보여준 시위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관중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중간 휴식 시간 동안 말뛰기 코스와 비슷하게 설계된 코스를 개들이 뛰어다녔다.이후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주요 대회가 전 세계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국제적인 스포츠로서의 민첩성

세계적으로, 개의 민첩성 경기는 FCI와 그 회원 조직, 다수의 국가 개 사육 클럽과 스포츠 연맹에 의해 규제되고 운영된다.각 조직의 규정, 타이틀, 그리고 국가 대표 선발 과정은 명망 있는 국제 이벤트에서 조금씩 다르다.FCI 조직에 대한 대안이 생겨나기 시작한 이유 중 하나는 FCI가 국제적인 순수 교배견 연맹이고 대부분의 회원들은 혈통이 없는 개에 대한 제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USDAA, UKI, IFCS와 같은 조직과 그 회원들은 이에 반대하여 혈통 없이 개의 참가를 제한하지 않는 그들만의 국제 대회를 만들었다.

국제 대회

  • 가장 오래되고 잘 알려진 페데이션 시놀로지크 국제 민첩성 세계 선수권 대회가 매년 열린다.그것은 2013년까지 매년 유럽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주최할 예정이다.이 대회는 1995년까지 유럽선수권대회로 열렸고 1996년부터는 세계선수권대회로 열렸으며 등록된 혈통견만 [21]출전할 수 있다.
  • ICA(International Mix & Breed Championship in Agility)는 FCI 혈통 챔피언십에 대한 응답으로 2000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개최되었습니다.이 대회는 유럽 이외의 [22]팀을 포함한 약 18개국이 참가하는 가운데 매년 개최되고 있다.
  • 국제신학스포츠연맹(IFCS)은 2002년부터 혈통에 관계없이 모든 품종과 잡종 개에게 2년에 한 번 열리는 세계 민첩성 대회를 조직해 왔다.2013년부터는 점점 더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23]매년 개최되고 있다.
  • 2003년에 공식 명칭이 붙여진 Cynosport World Games는 USDAA의 3개 토너먼트 시리즈인 Grand Prix of Dog Agility, 10,000달러 Dog Agility StraffletchaseDog Agility Masters Three-Dog Team Championship의 통합 개최지이며, 기타 인기 있는 개 스포츠의 전시 및 대회입니다.USDAA 토너먼트는 2001년 처음으로 해외 참가자를 초청하여 개최되었으며, 그 결과 USDAA 계열사가 매년 [24]예선을 실시하고 있는 다른 나라에 설립되었습니다.
  • 유러피언 오픈.2002년 창립 이래 매년 열리는 비공식 선수권 대회로, 출신에 관계없이 모든 개에게 개방된다.2006년 대회에는 25개국이 참가하여 세계 각국에서 경쟁자를 끌어모으고 있지만, 중부 유럽에서는 소수의 국가를 중심으로 순환하고 있습니다.2007년부터는 국제연맹(국제연맹) 규정에 따라 대회가 열리지만 혈통이 [25]없는 개는 여전히 허용된다.
  • WAO(World Agility Open Championships)는 UKI 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벤트로 전 세계 우수한 경쟁사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2019년에는 39개국에서 참가했습니다.[26]
  • 주니어 오픈 어질리티 월드 챔피언십 - 여러 연령대로 나누어진 18세 미만의 핸들러를 위한 최대 규모의 국제 이벤트입니다.2019년 이전에는 유럽 오픈 주니어 선수권 대회라고 불렸다.매년 개최되며 전 세계 경쟁사들 사이에서 매우 권위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유럽 오픈 챔피언십과 함께 FCI 위원회가 [21]감독한다.

트레이닝

잡종 개가 민첩성 수업에서 비틀거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개들은 어떤 나이에도 민첩성을 위해 훈련을 시작할 수 있지만, 발달하는 [27]관절에 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1살 미만의 개를 훈련시킬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개들은 일반적으로 (키가) 단순하거나 작거나 낮아진 민첩성 장비와 훈련 보조 기구(예: 조심스러운 [28]발판을 훈련하기 위한 사다리, 흔들림판)에 대한 훈련을 시작하지만, 빨리 배우는 강아지들은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준 높이에서 훈련하기 전에 성장을 마쳐야 합니다.

민첩성 장애물에 새로운 개를 도입하는 것은 대응에 따라 다릅니다.각각의 개들은 그들만의 속도로 배운다; 자신감 있는 개들은 격려가 거의 없이 장비를 돌격할 수 있는 반면, 더 많은 소심한 개들은 그들의 망설임을 많은 격려로 극복하는데 몇 주가 걸릴 수 있다.두 시나리오 모두 개들이 심각한 사고를 당할 정도로 자신감이 넘치고 허술할 수 있고 개에게 자제력을 가르치는 것이 [27][29]훈련사의 목표 중 하나가 되기 때문에 그들만의 도전을 제시한다.소심한 개들은 [29]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올바른 격려가 주어진다면, 소심한 개는 스포츠를 [27][29]배우면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개의 크기는 특히 작은 개들이 안에 [28]갇히거나 엉키기 쉬운 슛과 같은 장애물 훈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트레이너는 개가 항상 안전하도록 노력하고 장애물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민첩성을 위한 좋은 훈련 경험을 가지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28]대신 기꺼이 열정적으로 훈련시킵니다.

티터토터와 짜임새 장대는 전형적으로 [27]개에게 가르쳐야 할 가장 어려운 장애물이다.많은 개들이 시소의 움직임을 경계하고 있으며, 짜임새는 개에게 자연적으로 [27][28]일어나지 않는 행동을 수반한다.일반적으로 접촉 장애물은 개가 속도를 희생하지 않고 접촉 구역에 닿을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어렵다.경쟁이든 레크리에이션이든 민첩성 팀이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은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28]협력하는 방법입니다.개들은 코스를 완주하는 속도와 정확도, 장애물에 대한 선호도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따라서 핸들러는 개에게 적합하고 지지하기 위해 핸들링 스타일을 조정해야 합니다.

각 기기의 트레이닝 기술은 다릅니다.직물을 짜는 기둥을 훈련시키는 기술들은 점차적으로 서로 일직선으로 움직이는 오프셋 기둥, 바닥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점차 직립하는 기둥, 기둥 주변의 철사 또는 문, 그리고 개의 목줄에 손을 넣고 개를 이끄는 것을 포함한다.장려책.또한 개에게 두 개의 극 사이에서 전속력으로 달리도록 가르치고 접근 각도와 [28]극 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민첩성은 개별적으로(예: 집에서) 교육하거나 수업을 제공하는 강사 또는 동아리와 함께 교육할 수 있습니다.특히 경험이 풍부한 핸들러와 경쟁자들은 구조화된 클래스가 일반적으로 [27]초보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훈련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숙련된 핸들러는 고급 핸들링 기술을 가르치는 세미나나 워크샵을 찾은 후 스스로 연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민첩성 클래스에 참여하는 일반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민첩성 장비, 특히 비용이 많이 들고 구축이 어려우며 [29]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접점 장애물에 대한 액세스.
  • 경험이 풍부한 핸들러의 [29]지도와 전문지식을 구합니다.
  • 많은 클래스가 제공하는 [29]소셜 장소를 즐깁니다.
  • 더욱 산만한 환경에서 훈련하는 것은 [29]경쟁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기술 및 교육 훈련 외에 신체 훈련도 [29]실시해야 합니다.개는 몸에 스트레스나 부상을 입히지 않고 뛰고 뛸 수 있을 정도로 건강해야 한다.핸들러는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일부 핸들링 스타일에서는 개를 따라잡을 필요가 없습니다(또한 매우 빠른 [29]개에게는 가능하지 않습니다).멀리 있는 개를 다룰 수 있다는 것은 거동이 불편한 핸들러가 모바일 핸들러와 동등하게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연구는 또한 개의 [30]민첩성에 종사하는 조련사에게 건강상의 이점을 증명했다.

경쟁 프로세스

잉글리시 스프링거 스패니얼

경기(트라이얼, 경기, 라고도 )는 보통 특정 지역 클럽이 주최한다.이 클럽은 오로지 개의 민첩성에만 전념할 수도 있고, 주로 그 종의 업무 능력을 증진시키고 싶은 품종 클럽이거나, 다양한 종류의 개 스포츠를 주최하는 클럽일 수도 있다.클럽은 제재 기관의 허가를 받은 심판들과 계약을 맺고 특정 날짜나 주말에 재판을 열 수 있도록 기관에 허가를 신청합니다. 대부분의 재판은 이틀간의 주말 행사입니다.

주요 평가 작업

클럽은 회원을 회장 또는 쇼 매니저로 지명하고, 다른 회원은 선수에게 쇼 프리미엄 또는 일정을 제공하는 책임을 진다. 즉, 특정 경기, 룰, 트라이얼 사이트, 및에는 엔트리 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완료된 엔트리 폼의 작성, 실행 오더의 송신, 경기 당일의 실행 오더 리스트의 작성, 및 시험 결과를 정리해 제재 기관에 송신합니다.

지정된 수석 링 관리인 또는 링 매니저는 거의 항상 자원 봉사자인 근로자를 찾아 시험 시행에 관련된 무수한 작업을 수행할 책임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전자 계시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각 클래스는 개의 달리기 시간을 기록하는 타이머, 심판 호출을 개로 기록하는 서사, 점프 바를 떨어뜨렸을 때 재설정하고 크기가 다른 개의 점프 높이를 변경하는 폴 세터(또는 링 스튜어드)가 필요하다.

경기 장소

민첩성 경쟁에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합니다.각 링은 보통 최소 5,000평방피트(즉, 465평방미터)이지만 정확한 치수는 조직에 따라 다릅니다.경기에는 링이 1개에서 12개까지 있을 수 있습니다.지면은 미끄러지지 않고 평평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흙, 잔디, 카펫 또는 패딩 [31]매트로 포장해야 한다.

경쟁자들은 개와 장비를 위한 숙소를 마련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다.공간이 허락되면, 경쟁자들은 종종 그늘을 위해 카노피나 스크린룸 차양 텐트를 가지고 온다.경기에 참가하지 않을 때, 개는 보통 연습용 펜, 상자, 또는 달리기를 할 때 편안하고 회복할 수 있는 밀폐된 환경에서 휴식을 취한다.또한 조련사들은 개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고 진정시키기 위해 반사되는 천을 가지고 옵니다.또한 개를 끈에 묶은 많은 핸들러들이 붐비지 않고 링 주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개를 따뜻하게 하고 운동시키고 대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경기장과 인접하여, 모든 선수가 주차할 수 있어야 한다.캠핑을 제공하는 주말이나 일주일간의 쇼에서는 경쟁자들의 캐러밴과 텐트, 그리고 그들이 그들 주변에 울타리를 두른 작은 울타리나 정원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민첩성을 전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보통 주말 동안 사이트를 임대합니다.더 많은 시골 지역에서도 민첩성 전용 사이트는 흔하지 않습니다.인기 있는 장소로는 큰 공원, 덮인 승마 경기장, 추운 겨울 지역에서는 매트나 카펫을 [32][33]깔 수 있는 크고 텅 빈 창고 등이 있습니다.

코스 설계

재판 전에 각 심판은 경기에서 심판할 코스를 설계한다.제재 기관은 보통 과정을 검토하고 승인하여 해당 과정이 조직의 지침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가이드라인에는 장애물이 얼마나 떨어져 있어야 하는지, 코스에서 몇 번의 턴이 허용되는지(또는 필수), 어떤 장애물이 코스에 나타나야 하는지 등의 문제가 포함됩니다.규칙은 경쟁 수준과 조직에 따라 다릅니다.

과정 구축 및 시간 계산

민첩성 경쟁의 골든 리트리버.

각 수업 전이나 첫 수업 전날 저녁 코스 건설자는 심판들이 제공한 코스 지도를 사용하여 코스에 장비를 배치합니다.코스 건설 책임자는 일반적으로 어떤 장비가 합법적인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각 장비가 다른 장애물과 비교하여 어떻게 정렬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하고 여러 코스 구축 지원자에게 장비를 효율적으로 제자리로 옮기도록 지시할 수 있는 경험이 풍부한 경쟁사입니다.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코스는 그리드에 대응하도록 마킹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코스 맵이 가로세로 10피트 세로 10피트의 그리드에 인쇄되어 있는 경우, 코스의 4면을 표시하는 링 로프를 고정하고 있는 기둥은 10피트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스 건설자가 완공되면, 심판은 코스를 통과하여 장애물이 합법적인지, 심판이 의도한 곳에 설치되었는지, 코스를 조정해야 하는 의도하지 않은 위험(예: 구덩이, 울퉁불퉁한 지면 또는 진흙 웅덩이)이 없는지 이중 점검한다.많은 수업에서 심판은 코스를 통과하는 경로를 측정하여 일반적인 개의 최적의 달리기 거리를 결정합니다.심판은 표준 코스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규칙에 의해 결정된 속도 요건을 사용하여 이 측정을 사용한다. 표준 코스 시간은 개가 시간 오류를 피하기 위해 코스를 완료해야 하는 시간이다.예를 들어, 코스의 길이가 150야드(또는 미터)이고, 개는 1초에 최소 3야드(또는 미터)의 속도로 코스를 뛰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면, 표준 코스 시간은 50초이다.그러나 다른 기관들은 코스 시간 결정을 심판의 재량에 맡긴다.

과정 실행 및 결과 결정

상승하는 트리플 바 스프레드 점프를 점프하는 바이마란 선수

심판은 종종 각 수업 전에 선수들에게 브리핑을 열어 규칙을 검토하고 특정 코스의 특정 요건을 설명한다.경험이 많은 선수를 위한 표준 코스의 경우, 심판의 브리핑이 최소화되거나 아예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복잡한 규칙을 가진 클래스의 초보 핸들러의 경우 브리핑 시간이 훨씬 길어질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선수가 코스를 걷는다(앞에서 설명한 대로).견학이 끝나면 게이트 스튜어드 또는 호출자는 개가 이전에 심판 비서가 결정한 실행 순서에 따라 링에 들어가도록 하고 다른 경기 링과 충돌할 수 있는 핸들러의 실행 순서 변경을 관리한다.각 개·핸들러 팀이 코스를 달릴 때, 개는 스톱워치 또는 전자 타이머로 시간을 재고, 서기는 심판의 호출과 개의 마지막 시간을 스크라이브 시트 또는 티켓에 적어 점수표에 기록한다.

스코어 테이블에서는, 스코어 키퍼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과를 집계합니다.컴퓨터 스코어 키핑을 요구하거나 권장하는 조직도 있고, 특정 유형의 수동 스코어 시트를 작성해야 하는 조직도 있습니다.주어진 키 그룹, 레벨, 클래스의 모든 개가 달리면, 점수표는 주행 시간, 결함 및 기타 요건을 비교하여 배치를 결정한다(타이틀에 대한 예선 점수를 제공하는 클래스의 경우, 예선 점수를 획득한 개).

각 링은 경기 하루 동안 여러 개의 클래스를 실행할 수 있으며, 여러 코스 빌드, 워크스루 및 브리핑이 필요합니다.

수상 및 타이틀

애견 민첩성 경연대회 각종 로제트상 리본.

상은 보통 포지션과 예선 점수에 대해 수여됩니다.이러한 상은 종종 평평한 리본, 로제트, 기념 명패, 트로피, 메달 또는 핀입니다.일부 클럽은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된 높은 수준의 상을 수여하거나 다른 특별 상을 시상합니다.민첩성 챔피언이 되기 위해 최종 예선 점수를 마친 개들은 종종 특별한 상을 받는다.

많은 케널 클럽은 또한 특정 레벨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자격을 획득한 사람들에게 타이틀을 수여합니다.대부분의 클럽은 해당 타이틀을 획득하기 위해 어느 레벨에서든 3개의 예선 점수를 필요로 하지만, 다른 클럽들은 그 정도 혹은 그 이하를 요구할 수 있다.

미국의 대부분의 제재 기관에서는 개와 핸들러가 충분한 예선 주행(다리라고도 함)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타이틀이 있습니다.즉, 특정 수 이하의 폴트(일반적으로 없음)가 있고 최대 표준 코스 시간(SCT)보다 빠른 주행입니다.

예를 들어 USDAA 규칙에 따르면 개는 Standard, Jumper, Gamblers, Snooker 및 Pairs Relay 클래스에서 각 클래스에서 3번의 예선 주행을 획득하여 초보 수준의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이 개는 또한 같은 반에서 중급 수준의 타이틀과 석사 수준의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다.마스터 레벨 타이틀을 모두 획득한 후(각각 예선 5회 주행, 각 시련에서 상위 15%에 들어야 하는 개도 있음) 개는 챔피언십을 [34]획득합니다.

다른 조직도 비슷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AKC에서 챔피언십을 획득하려면 개의 예선 주행을 같은 날 2회 획득해야 한다.NADAC에서는 예선 주행의 양이 훨씬 더 많습니다.대부분의 챔피언 타이틀은 NACH(NADAC Agility Trial Champion), ADCH(Agility Dog Champion for USDAA), CATCH(CPE Agility Trial Champion), MACH(AKC 마스터 어질리티 챔피언), TACH(Teacup Agility Champion of AKA), CHAS(CHASH)입니다.

부상

조련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개의 32%에서 41.7%가 민첩성과 관련된 활동으로 부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장 흔한 유형의 부상은 (순서대로) 긴장, 염좌 및 타박상이었다.가장 일반적으로 부상을 입은 부위는 어깨, 장골근육, 손가락, 요추/요골부위였다.보더 콜리는 다른 품종보다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부상률은 국가에 따라 다르며, 호주가 가장 높은 부상률을, 미국이 가장 낮은 부상률을 보고하고 있다.부상은 일반적으로 막대 점프(접촉), A-프레임 및 개 산책 장애물(접촉 및/또는 추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워밍업과 쿨다운 운동 및 [36][37][38]부상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인용문

  1. ^ "Agility: Get Started". American Kennel Club. Retrieved November 17, 2020.
  2. ^ "Judging agility Events and Activities The Kennel Club". www.thekennelclub.org.uk. Retrieved November 17, 2020.
  3. ^ "New FCI Agility regulations per 2018". AGILITYnews.eu. March 20, 2017. Retrieved November 17, 2020.
  4. ^ a b O'Neil(1999),
  5. ^ 본햄(2000), 페이지 64~65.
  6. ^ 본함(2000), 페이지 68.
  7. ^ 본햄(2000), 페이지 70
  8. ^ 본함(2000), 페이지 71.
  9. ^ 본햄(2000), 75~76페이지.
  10. ^ a b O'Neil(1999),
  11. ^ 본햄(2000), 페이지 90.
  12. ^ 오닐(1999), 페이지 42
  13. ^ 본함(2000), 93쪽.
  14. ^ 본햄(2000), 페이지 92.
  15. ^ 본햄(2000), 페이지 98.
  16. ^ "USDAA news release about tire specifications". Retrieved December 7, 2011.
  17. ^ Eicher, LD; Markley, AP; Shoben, A; Sundby, AE; Kieves, NR (2021). "Evaluation of Variability in Gait Styles Used by Dogs Completing Weave Poles in Agility Competition and Its Effect on Completion of the Obstacle". Front Vet Sci. 8: 761493. doi:10.3389/fvets.2021.761493. PMC 8635700. PMID 34869735.
  18. ^ "AKC Rules" (PDF). AKC.org. American Kennel Club. Classes, Titles, and Height Divisions. Retrieved December 7, 2011.
  19. ^ "ASCA Rules" (PDF). ASCA. Australian Shepherd Club of America. "Measuring a Dog's Height" and "ASCA Sanctioned Classes, Divisions & Level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December 29, 2009. Retrieved December 7, 2011.
  20. ^ "CPE Rules" (PDF). K9CPE.com. Canine Performance Events. "Rules", 4, 5, 10. Retrieved December 7, 2011.
  21. ^ a b "Agility". www.fci.be. Retrieved December 25, 2020.
  22. ^ "IMCA / PAWC". www.agilitynet.co.uk. Retrieved December 25, 2020.
  23. ^ "IFCS World Agility Championships". IFCS World Agility Championships. Retrieved December 25, 2020.
  24. ^ "Dog Agility Competitions". Cynosport World Games. July 15, 2014. Retrieved December 25, 2020.
  25. ^ "European Open Agility 2021 - Abrantes". agility (in Portuguese). Retrieved December 25, 2020.
  26. ^ Derrett, Greg. "2019 Round Up". World Agility Open. Retrieved December 25, 2020.
  27. ^ a b c d e f Bonham 2000, 페이지.
  28. ^ a b c d e f Daniels, Julie (1991). Enjoying Dog Agility: From Backyard to Competition. Doral Publishing. ISBN 0-944875-16-5.
  29. ^ a b c d e f g h i O'Neil, Jacqueline (1998). All About Agility. Howell Books. ISBN 0-87605-412-2.
  30. ^ Freedson, P.; Kozey, S.; Keadle, J. (April 2010). "Dog Agility Exercise Stud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ept. of Kinesiology – via ZoomRoom.com. (추상만)
  31. ^ "Regulations for Agility Trials" (PDF). AKC.org. American Kennel Club. February 1, 2016. Retrieved November 22, 2016.
  32. ^ Graham, Bryan Armen (February 19, 2020). "The queens of agility: America's most famous canine athletes race for glory".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November 18, 2020.
  33. ^ AKC Regulations for Agility Trials (PDF). AKC. 2020. pp. 43–46.
  34. ^ a b "USDAA National Titling Championship USDAA". www.usdaa.com. Retrieved December 25, 2020.
  35. ^ "Titles & Abbreviations". American Kennel Club. Retrieved December 25, 2020.
  36. ^ Cullen, K. L.; Dickey, J. P.; Bent, L. R.; Thomason, J. J.; Moëns, N. M. M. (2013). "Survey-based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injury among dogs participating in agility training and competition event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43 (7): 1019–1024. doi:10.2460/javma.243.7.1019. PMID 24050569.
  37. ^ Cullen, K. L.; Dickey, J. P.; Bent, L. R.; Thomason, J. J.; Moëns, N. M. M. (2013). "Internet-based survey of the nature and perceived causes of injury to dogs participating in agility training and competition event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43 (7): 1010–1018. doi:10.2460/javma.243.7.1010. PMID 24050568.
  38. ^ Pechette Markley, A; Shoben, AB; Kieves, NR (2021). "Internet-based survey of the frequency and types of orthopedic conditions and injuries experienced by dogs competing in agility".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59 (9): 1001–1008. doi:10.2460/javma.259.9.1001. PMID 34647477. S2CID 238858514.

참고 문헌

  • Bonham, Margaret H. (2000). Introduction to dog agility. New York: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ISBN 0-7641-1439-5.
  • Daniels, Julie (1991). Enjoying dog agility: from backyard to competition. Wilsonville, OR: Doral Publishing. ISBN 0-944875-16-5.
  • Fogle, Bruce (2009). The encyclopedia of the dog. New York: DK Publishing. ISBN 978-0-7566-6004-8.
  • Holden, Patrick (2001). Agility: a step-by-step guide. Lynden, Gloucestershire: Ringpress Books Limited. ISBN 1-86054-044-9.
  • O'Neil, Jacqueline (1999). All about agility. Foster City, CA: Howell Book House. ISBN 1-582-45123-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