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피부 질환
Dog skin disorders피부 질환은 개에게 가장 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며, 많은 원인이 있다. 개의 피부와 외투의 상태 또한 개들의 전반적인 건강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개의 피부 질환은 급성, 자기 한계성 문제부터 평생 치료가 필요한 만성 또는 장기간 지속되는 문제까지 다양하다. 피부 질환은 선천적으로 1차적 또는 2차적일 수 있으며( 긁힘, 가려움으로 인해) 진단이 복잡하다.[1]
면역 매개 피부 질환
피부병은 면역반응의 결핍이나 과잉행동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면역반응이 미흡한 경우 보통 발병하는 2차 질환으로 병명을 기술한다. 예를 들면, 말라세지아 감염이나 박테리아 감염과 같은 격변성 관리 및 재발성 피부 감염에 대한 민감성 증가가 있다. 증가하지만 유해한 면역반응은 아토피피부염 등 과민성 질환과 자가면역 장애(자율면역 장애)와 펨피거스, 디스코이드 루푸스 에리테마토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2][3]
아토피성 피부염
아토피는 유전적이고[4] 만성적인 (평생)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이다. 기호는 보통 생후 6개월에서 3년 사이에 시작되는데, 황금 리트리버와 같은 일부 품종의 개가 더 이른 나이에 기호를 보인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개들은 특히 눈 주위와 주둥아리, 귀와 발 주변이 가려워진다. 심한 경우에는 자극이 일반화된다. 알레르겐이 계절적인 것이라면, 자극의 징후는 유사하게 계절적인 것이다.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가 있는 많은 개들은 다년생 질병을 가지고 있다.[5] 개의 아토피와 관련된 알레르겐으로는 나무, 풀, 잡초뿐만 아니라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등이 있다. 박테리아인 포도상구균 가성중간염과 효모인 말라세지아 파키데르마티스에 의한 귀와 피부 감염은 아토피 피부염에 흔히 부차적이다.
식품 알레르기는 동일한 징후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일부 당국은 식품 알레르기를 아토피 피부염의 한 종류로 간주하고 있다.[6] 식품 알레르기는 최소 6주 동안 소설이나 가수 분해 단백질 식단을 사용하는 제거 다이어트 실험의 사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진단은 벼룩, 진드기, 샤이레티엘라, 이 등 기타 기생충을 제거하는 것이다. 에어로알레겐에 대한 알레르기는 피부 내 알레르기 테스트 및/또는 혈액 테스트(알레겐 특이 IgE ELISA)를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치료에는 가능한 한 불쾌감을 주는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이 포함되지만, 대부분의 개들에게 이것은 실용적이거나 효과적이지 않다. 다른 치료법으로는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반응을 조절하며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 시클로스포린, 면역요법(알레르겐이 주입되어 내성을 유도하는 과정)이 있다.[7] 많은 경우에, 감염의 재발을 막기 위해 샴푸, 약용 물티슈, 귀 청소기가 필요하다.
자가면역 피부병
Pemphigus foliaceus는 개의 가장 흔한 자가면역질환이다.[2] 표피의 물집은 빠르게 부서져 지각과 에로스를 형성하는데, 대부분 처음에는 얼굴과 귀에 영향을 주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전신을 포함하도록 퍼진다. 발바닥 패드에 영향을 주어 과부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스케일링으로 패드가 가려짐). 다른 자가면역 질환으로는 황소 펨피고이드와 표백분해 황소개열증이 있다.
자가면역 피부 치료는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줄이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스테로이드, 아자티오프린, 그리고 다른 약들은 면역억제제로 사용된다.[2]
신체적, 환경적 피부질환
핫 스팟
뜨거운 부분, 즉 급성 습기성 피부염은 개가 자신을 핥고 물어뜯으면서 생기는 피부 자극의 급성 염증 및 감염 부위다. 2차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인해 피부의 윗층이 부서지고 고름이 모발에 갇히게 되므로 뜨거운 점이 몇 시간 만에 발현되고 빠르게 퍼질 수 있다. 핫 스팟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과 경구 또는 국소 항생제 도포와 함께 병변 주변의 털을 잘라낼 수 있다.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벼룩 알레르기 피부염이나 다른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등이 있다. 두꺼운 언더코트를 입은 개들은 핫스팟이 생기기 가장 쉽다.[8]
아크랄 핥 그라눌로마스
핥기 그라눌로마는 기르는데, 대개는 개의 사지에 궤양이 있는 부위가 개 자신의 끊임없는, 강박적인 핥기로 인해 생긴다. 강박 핥기는 표준적인 몸치장이나 탐사에 필요한 것을 초과하여 핥는 것으로 정의되며, 동물의 전형적인 행동의 변화를 나타내며, 다른 활동이나 기능(예: 먹는 것, 마시는 것, 노는 것, 사람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고 쉽게 방해를 받을 수 없다.[9]
전염성 피부병

개들의 전염성 피부질환은 전염성 및 비쟁점성 감염이나 전염성이 있다. 전염성 감염에는 기생충,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성 피부병이 포함된다.
가장 흔한 전염성 기생 피부 질환 중 하나는 사랍성 망지(흉부)이다. 또 다른 것은 데모덱스 진드기에 의한 망지인데, 이러한 형태의 망지는 전염되지 않는다. 또 다른 전염성 전염병은 미트인 샤이레티엘라에 의해 발생한다. 개들은 전염성이 있는 이빨로 들끓을 수 있다.
벼룩과 진드기 충동을 포함한 다른 엑토파라사이트는 직접 전염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다른 감염 호스트들이 기생충의 수명을 확립한 환경에서 획득된다.
요충은 곰팡이 감염으로 사람뿐만 아니라 다른 개에게도 전염될 수 있다.[10] 그것은 가장 빈번한 피부병 중 하나이다.[11] 개는 감염된 다른 개와 직접 접촉하여 감염될 수 있으며,[12] 감염된 개가 만진 표면을 스치는 것은 물론, 토양에 사는 요충 종과도 접촉하게 된다.[13] 회충은 둥글거나,[14] 모양이 고리[15] 모양으로 되어 있다. 요충의 증상은 감염 부위의 탈모,[16] 가려움증(발생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음)[17]은 물론, 감염 부위의 피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18] 요충은 어른 개보다 강아지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19] 요충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보통 수의사 방문이 필요한데 진단을 확인하고 요충에 대한 국소적 또는 구강적 약물 처방을 받기 위해서다.[20]
일반 박테리아나 곰팡이성 피부균이 증식되어 피부질환을 유발할 때 피부염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개들의 일반적인 예로는 포도상구균 매개체 표데르마, 말라세지아 파키데르마티스의 과성장에 의한 말라세지아 피부염이 있다.
대장균 독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앨라배마 부패도 25%의 경우 피부병변과 궁극적인 신부전을 유발한다.[citation needed]
벼룩 알레르기 피부염
유전성 및 발달성 피부질환
어떤 질병은 피부 구조나 기능의 선천적인 이상이다. 여기에는 지루성 피부염, 어혈증, 피부 파괴한도 증후군(Ehlers-Danlos), 유전성 개낭성 이상증, 색 희석 탈모증 같은 저농축성 등이 포함된다.
강아지가 목을 조르는 것으로도 알려진 소아 셀룰리염은 면역체계와 관련된 유전성 성분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미지의 식인종 강아지들의 피부병이다.[21]
내과 질환의 피부발현상
일부 전신 질환은 피부 질환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는 갑상선기능저하증, 쿠싱증후군(고혈압증), 난소나 고환의 종양 등 많은 내분비(호르몬) 이상이 포함된다.
피부질환의 영양기준
필수 지방산
많은 송곳니 피부 질환은 영양 부족에 기초를 둘 수 있다. 오메가 지방산 3과 6을 모두 보충하여 만성 질환에서 보이는 염증성 피부 반응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오메가 3 지방산은 점점 더 프루아틱하고 자극적인 피부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오메가 3 지방산(660mg/kg [300mg/lb]의 체중/d)을 보충한 한 무리의 개들이 프리리투스의 상태를 개선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피부 상태 개선을 보였다.[22] 게다가, 필수 지방산이 부족한 식단은 대개 결핍의 첫 번째 징후로 매트와 다듬지 않은 털로 나타난다.[22] 잘 알려진 오메가 3인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은 아라키돈산으로 알려진 또 다른 오메가 대사물의 합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23] 아라크디돈산은 오메가 6로 프로염증제다.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오메가 6 지방산은 피부의 염증을 촉진시켜 전체적인 외모와 건강을 감소시킨다.[23] 오메가 6의 결핍은 치유 능력을 떨어뜨리고 감염의 위험이 높아져 피부 건강도 저하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지질의 피부 이점이 있다.[22] 일반적으로 지질은 표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수분을 유지하여 건조하고 날렵한 피부를 예방하기 때문에 개의 피부 건강에 유익하다.[24]
비타민
비타민은 개의 외모를 바꾸는 많은 영양적 요인 중 하나이다. 지방 수용성 비타민 A와 E는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베타 카로틴으로도 보충할 수 있는 비타민A는 만성 피부질환과 노화와 관련된 상피조직의 악화를 막아준다.[25] 비타민 A의 결핍은 피부염과 탈모증 같은 다른 피부염 관련 문제들을 비늘로 이끌 수 있다.[26] 비타민 E는 항산화 물질이다.[27] 비타민E는 피부처럼 증식성이 높은 세포에 축적되는 활성산소를 중화시켜 이러한 이온화 분자에 의한 섬유조직의 악화를 방지한다.[28] 피부 건강에 기여하는 수용성 비타민도 두어 가지 있다. 리보플라빈(B2)은 탄수화물의 신진대사의 공작용제로 식이 부족하면 갈라지고 부서지기 쉬운 피부로 이어진다.[29] 비오틴(B7)은 부족하면 탈모증을 유발하는 또 다른 비타민 B이다.[29]
광물
미네랄은 몸에 많은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는 유익한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것도 포함된다.[28] 셀레늄은 필수 영양소로서 식단에 미량 함유되어야 한다.[28] 다른 산화방지제와 마찬가지로 셀레늄도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는 공작용제 역할을 한다.[28] 다른 미네랄들은 피부 건강과 관련된 생물학적 과정에 필수적인 공동 인자 역할을 한다. 아연은 피부의 탄력 유지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아연을 식단에 포함시킴으로써 콜라겐과 상처 치유의 발달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피부가 건조해지고 벗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30] 구리는 여러 효소 경로에 관여한다.[31] 개의 경우 구리가 결핍되면 각질화가 불완전해져 피부가 건조해지고 과대포화된다.[31] 식단에서 미량 미네랄의 복잡한 결합은 피부 건강의 핵심 요소인 동시에 완전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한 부분이다.
참조
- ^ 개 건강 가이드, 질병 및 상태 캐닌 스킨 2011
- ^ a b c "Autoimmune Skin Disease in Dogs". vca_corporate. Retrieved 2019-11-17.
- ^ "Immune-Mediated Skin Disorders of Dogs". Today's Veterinary Nurse. Retrieved 2019-11-17.
- ^ Shaw, Stephen; Wood, J.L.; Freeman, J.; Littlewood, J.D.; Hannant, D. (2004). "Estimation of heritability of atopic dermatitis in Labrador and Golden Retrievers". Americ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65 (7): 1014–1020. doi:10.2460/ajvr.2004.65.1014.
- ^ Favrot, Claude; Steffan, J.; Seewald, W.; Picco, F. (2010). "A p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features of chronic canine atopic dermatitis and its diagnosis". Veterinary Dermatology. 21 (1): 23–31. doi:10.1111/j.1365-3164.2009.00758.x. PMID 20187911.
- ^ Picco, F; Zini, E.; Nett, C.; Naegeli, C.; Bigler, B.; Rufenacht, S.; Roosje, P.; Gutzwiller, M.E.; Wilhelm, S.; Pfister, J.; Meng, E.; Favrot, C. (2008). "A prospective study on canine atopic dermatitis and food-induced allergic dermatitis in Switzerland" (PDF). Veterinary Dermatology. 19 (3): 150–155. doi:10.1111/j.1365-3164.2008.00669.x. PMID 18477331.
- ^ Olivry, Thiery; Foster, A.P.; Mueller, R.S.; McEwan, N.A.; Chesney, C.; Williams, H.C. (2010). "Interventions for atopic dermatitis in dog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Veterinary Dermatology. 21 (1): 4–22. doi:10.1111/j.1365-3164.2009.00784.x. PMID 20187910.
- ^ "Hot Spots in Dogs". Pet Health Network. Retrieved 2019-11-17.
- ^ "Treatment of other Canine Behavioral Problems". The Merck Veterinary Manual. 2008. Retrieved 2009-01-28.
- ^ "Disease risks for dogs in social settings".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Retrieved 2021-09-19.
- ^ "Dermatophytoses in Animals - ProQuest". www.proquest.com. Retrieved 2021-09-30.
- ^ May 24, Anna Burke; May 24, 2021 5 Minutes; Minutes, 2021 5. "Ringworm in Dogs — Symptoms, Treatment, and Prevention". American Kennel Club. Retrieved 2021-09-30.
{{cite web}}
: 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Ringworm in Dogs". www.petmd.com. Retrieved 2021-09-30.
- ^ "Disease risks for dogs in social settings".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Retrieved 2021-09-30.
- ^ "Remedies for Dog Ringworm". WebMD. Retrieved 2021-09-30.
- ^ "Ringworm in Dogs". www.petmd.com. Retrieved 2021-09-30.
- ^ "Ringworm in Dogs". www.petmd.com. Retrieved 2021-09-30.
- ^ May 24, Anna Burke; May 24, 2021 5 Minutes; Minutes, 2021 5. "Ringworm in Dogs — Symptoms, Treatment, and Prevention". American Kennel Club. Retrieved 2021-09-30.
{{cite web}}
: 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Remedies for Dog Ringworm". WebMD. Retrieved 2021-09-30.
- ^ May 24, Anna Burke; May 24, 2021 5 Minutes; Minutes, 2021 5. "Ringworm in Dogs — Symptoms, Treatment, and Prevention". American Kennel Club. Retrieved 2021-09-30.
{{cite web}}
: CS1 maint: 숫자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Martens, S.M. (February 2016). "Juvenile cellulitis in a 7-week-old golden retriever dog". The Canadian Veterinary Journal. 57 (2): 202–3. PMC 4713003. PMID 26834274.
- ^ a b c d Kirby, Naomi A.; Hester, Shaleah L.; Bauer, John E. (2007). "Dietary fats and the skin and coat of dog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30 (11): 1641–1644. doi:10.2460/javma.230.11.1641. PMID 17542730.
- ^ a b Lee, Je Min; Lee, Hyungjae; Kang, SeokBeom; Park, Woo Jung (2016-01-04). "Fatty Acid Desaturases, Polyunsaturated Fatty Acid Regulation, and Biotechnological Advances". Nutrients. 8 (1): 23. doi:10.3390/nu8010023. PMC 4728637. PMID 26742061.
- ^ Bellows, Jan; Colitz, Carmen M. H.; Daristotle, Leighann; Ingram, Donald K.; Lepine, Allan; Marks, Stanley L.; Sanderson, Sherry Lynn; Tomlinson, Julia; Zhang, Jin (2014-12-17). "Common physical and function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in dog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46 (1): 67–75. doi:10.2460/javma.246.1.67. ISSN 0003-1488. PMID 25517328.
- ^ Watson, Tim D. G. (1998). "Diet and Skin Disease in Dogs and Cats". The Journal of Nutrition. 128 (12): 2783–2789. doi:10.1093/jn/128.12.2783s.
- ^ Baviskar, S; Jayanthy, C; Nagarajan, B (2013). "Vitamin A responsive dermatosis in a dog". Intras Polivet. 14 (2): 210.
- ^ Debier, C.; Larondelle, Y. (February 2005). "Vitamins A and E: metabolism, roles and transfer to offspring".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93 (2): 153–174. doi:10.1079/bjn20041308. ISSN 0007-1145. PMID 15788108.
- ^ a b c d Canine and feline nutrition : a resource for companion animal professionals. Case, Linda P. (3rd ed.). Maryland Heights, Mo.: Mosby. 2011. ISBN 9780323066198. OCLC 664112342.
{{cite book}}
: CS1 maint : 기타(링크) - ^ a b Last, John M. (2007). A dictionary of public heal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60901. OCLC 63176655.
- ^ Marsh, K.a.; Ruedisueli, F.l.; Coe, S.l.; Watson, T.g.d. (2000-12-01). "Effects of zinc an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skin and coat quality of dogs receiving a complete and balanced diet". Veterinary Dermatology. 11 (4): 277–284. doi:10.1046/j.1365-3164.2000.00202.x. ISSN 1365-3164.
- ^ a b Tewari, D.; Singh, V. K.; Gautam, S.; Dwivedi, V. (2013). "Nutritional dermatosis - a review". Intras Polivet. 14 (2): 199–202.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개 피부 질환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