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크 만디치
Dominik Mandić도미니크 만디치(, 1889년 12월 2일 ~ 1973년 8월 23일)는 헤르체고비나계 크로아티아인이자 역사가이다.
전기
만디치는 헤르체고비나의 시로키 브리예그 근처의 리세에서 태어났다. 그는 시로키 브리예그에서 초등교육을 마쳤고, 그곳에서 그는 유명한 프란치스코 고등학교를 다녔지만, 모스타르에서 마지막 2년을 졸업했습니다. 그는 프리부르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교회사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가 모스타르로 돌아왔을 때, 그는 모스타르 주립 고등학교의 종교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프란치스코회 헤르체고비나 지방은 그를 그들의 우두머리로 선출했습니다.[citation needed]
1918년에 설립된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왕국에서 만디치는 친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 인민당(HPS)의 당원이자 지지자였습니다. 그러나 당시 헤르체고비나의 지배적인 정당은 슈테판 라디치의 크로아티아 농민당(HSS)이었습니다. 헤르체고비나계 프란치스코회인들의 대다수는 HSS를 지지했고, 소수는 HPS를 지지했습니다. 1927년 총선 당시 국민당은 단 한 자리의 의석(슈체판 바리치가 차지)을 차지했습니다. 베오그라드 국회에서 슈테판 라디치와 HSS의 지도자들이 암살된 이후, 그리고 암살 이후 안톤 코로셰크의 베오그라드 정부에 대한 바리치의 지지는 HPS의 해체로 이어졌습니다. 만디치는 다른 HPS 회원들과 달리 바리치의 정부 잔류를 지지했고, 이를 위해 알렉산더 1세에 의해 성 사바 2등 훈장을 받았습니다. 1929년 1월 6일 알렉산더 1세가 독재정권을 선포한 이유는 암살로 인한 정치적 위기 때문이었습니다. 만디치는 알렉산드르를 거듭 축하하며 다시 한번 유고슬라비아 왕관 4등급 훈장을 받았습니다.[1]
1930년대에 만디치는 유고슬라비아를 지지하는 고위 프란치스코회인들 중 한 명이었고, 젊은 사람들은 크로아티아 독립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현재 블라드코 마체크가 이끄는 HSS도 친유고슬라프가 되었지만 크로아티아의 자치권을 지지했습니다. 만디치는 크레시미르 판 ž치, 레오 페트로비치와 함께 강력한 지지자가 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에 로마 프란치스코 수도회 중앙 행정부의 일원으로 임명되었으며, 슬라브 국가의 모든 프란치스코 지방의 대표이자 수석 경제학자로 임명되었습니다. 1941년 4월 발칸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났을 때 그는 로마에 있었습니다.
1941년 4월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직후,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정부가 런던으로 망명을 떠난 직후, 만디치는 스위스에서의 그의 접촉을 통해 런던과 접촉을 맺었고, 영국 비밀정보국과 협력에 들어갔습니다. 다른 헤르체고비나 프란치스코의 도움을 받아 레오 페트로비치, 보니셰 룹치치 등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페타르 촐레는 모스타로부터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그는 또한 유고슬라비아 빨치산들을 도왔습니다.[3]
크로아티아 독립국(NDH)에서 세르비아계와 슬로베니아인의 추방에 대한 소문을 들은 만디치는 크로아티아 독립국 정부가 추방을 중단하고 성직자들이 그러한 일에 참여하는 것을 막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했습니다. NDH의 외교 공관과의 관계는 냉랭했고, 공관이 주관하는 NDH 설립 기념일에는 한 번도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만디치는 유고슬라비아를 크로아티아 문제의 해결책으로 보고 우스타셰 정부에 반대했습니다.[4]
만디치는 산 지롤라모라트라인의 재정을 통제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프란치스코회의 바티칸 은행 계좌를 통해 우스타샤 돈세탁을 주선했고, 우스타샤의 처분에 따라 프란치스코회 인쇄기를 배치하여 쥐줄을 이용한 홀로코스트 탈출 후 전범들이 사법부를 탈출할 수 있도록 허위 신원 정보를 인쇄했습니다. 산 지롤라모의 다른 성직자들은 크루노슬라프 드라가노비치, 드라구틴 캄버, 빌림 세셀하 (오스트리아에 본거지를 둔), 카를로 페트라노비치 (제노아에 본거지를 둔)를 포함했습니다.[5]
작동하다
- 흐르바티시 스르비, 드바 스타라 라즐리치타 나로다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고대와 다른 두 민족)
- 보구밀스카 crkva bosanskih krstjana (보스니아 기독교인들의 보구밀 교회)
- 크르베나 흐르바츠카(붉은 크로아티아)
- ž브나 이예르스카 프리파드노스트 레도브예체네 보스네이 헤르체고바인 박사 (중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가와 종교)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족사(Etnigoka povijest Bosnei Hercegovine)
참고 항목
메모들
참고문헌
책들
- Aarons, Mark; Loftus, John (1998). Unholy Trinity: the Vatican, the Nazis, and the Swiss Bank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ISBN 9780312181994.
- Mandić, Hrvoje (2020). Hercegovačka franjevačka provincija u Drugom svjetskom ratu i poraću [Franciscan Province of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Postwar period] (in Croatian). Zagreb: Sveučilište u Zagrebu.
저널
- Miletić, Karlo (1990). "Italijanska reokupacija Mostara" [Italian reocupation of Mostar]. Hercegovina (in Serbo-Croatian) (7–8): 119–155.
외부 링크
- 도미닉 만디치의 소장품 2006-06-26 웨이백 머신에 보관, fram.ba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