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하지 마세요, 자기.
Don't Worry Baby돈 워리 베이비 | ||||
---|---|---|---|---|
![]() | ||||
싱글 바이 더 비치 보이즈 | ||||
Shut Down Volume 2 앨범에서 | ||||
A면 | 아이 어라운드 | |||
방출된 | 1964년 5월 11일 | |||
녹음된 | 1964년 1월 | |||
스튜디오 | 서부, 할리우드 | |||
장르. | ||||
길이 | 2:47 | |||
라벨. | 의사당 | |||
작곡가 | ||||
제작자 | 브라이언 윌슨 | |||
비치 보이스 싱글 연표 | ||||
| ||||
라이선스 오디오 | ||||
YouTube에 있는 걱정마 아기 (모노) | ||||
오디오샘플 | ||||
"Don't Worry Baby"는 1964년 3월 앨범 Shut Down Volume 2에 수록된 미국 록 밴드 비치 보이스의 노래입니다. 브라이언 윌슨(Brian Wilson)과 로저 크리스찬(Roger Christian)이 작곡한 이 곡에서 윌슨의 리드 보컬은 그의 결정적인 공연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는 나중에 "Don't Worry Baby"를 비치 보이스의 최고 음반으로 언급했습니다. 1964년 5월 《I Get Around》의 B면으로 발행되었으며, 24위로 별도로 차트에 올랐습니다.
1963년 로넷 부부의 히트곡 '비 마이 베이비(Be My Baby)'에 대한 윌슨의 집착에서 비롯된 '돈 워리 베이비(Don't Worry Baby)'는 비슷한 음악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주제와 제작 방식이 다릅니다. 가사는 유감스럽게도 드래그 레이스에 동의하고, 그 후 여자친구에게 노래의 제목 문구와 함께 위로를 받는 허풍쟁이 남자를 묘사합니다. 이 곡은 원래 로네츠에게 제공되었지만, 그들의 프로듀서인 필 스펙터에 의해 거절되었고, 윌슨은 자신의 밴드를 위해 이 곡을 제작하도록 남겨두었습니다. 녹화에서 비치 보이즈 멤버들은 모두 각자의 악기를 연주했습니다.
〈Don't Worry Baby〉는 스핀의 〈역대 가장 위대한 싱글 100곡〉, 롤링 스톤의 〈역대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피치포크의 〈1960년대 가장 위대한 노래 200곡〉 등 여러 비평가들의 순위 목록에 올랐습니다. 커버 버전은 베이 시티 롤러즈, B.J. 토마스, 로니 스펙터를 포함한 많은 액트들에 의해 녹음되었습니다. Thomas 버전은 미국에서 17위, 캐나다에서 1위에 오르며 오리지널 음반 판매량을 앞질렀습니다. 비치 보이즈는 1996년 앨범 성조기 Vol. 1을 위해 로리 모건과 함께 이 노래를 다시 녹음했습니다.
배경
"Don't Worry Baby"는 캘리포니아 호손에 있는 그의 집에서 브라이언 윌슨에 의해 작곡되었습니다.[4] 그것은 윌슨을 놀라게 하고 영감을 준 로네트 부부의 최근 히트작인 "Be My Baby"에 대한 반응으로 생각되었습니다.[4] 1991년 그의 회고록에서, 멋지지 않을까요? 나만의 이야기, 윌슨은 "Be My Baby"를 처음 들은 직후 당시 여자친구였던 마릴린 로벨의 노래 제목 문구를 채택했다고 합니다.[5][6] 2009년 인터뷰에서 그는 이틀에 걸쳐 "Don't Worry Baby"를 작곡했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구절 아이디어로 시작해서 합창곡을 썼습니다. 아주 단순하고 아름다운 노래였습니다. 정말 심혈을 기울인 노래입니다. 정말 마음속으로 느꼈습니다."[7]
이 회고록은 "저는 제 작사가 로저 크리스찬에게 전화해서 제가 생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어느 날 오후 부모님 댁에서 저를 만났는데, 우리의 마지막 협업 중 하나에서 제목과 후렴구가 마릴린의 위로가 되는 말에서 직접 나온 풍성한 발라드를 썼습니다. 우리가 곡을 다 쓰기도 전에 이 곡이 대성공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6] 윌슨은 "제가 KFWB 주차장에서 [Roger]를 만났는데 그가 저를 위해 가사를 제시해 주었습니다. 집에 가서 한 시간 반 정도 만에 곡을 썼어요."[8]
윌슨은 비치 보이스 대신 로네트 부부와 그들의 프로듀서인 필 스펙터가 녹음하는 것을 고려했습니다. 회고록에는 윌슨이 크리스찬과 이 아이디어를 논의한 뒤 마음을 바꿨다고 나와 있습니다.[6] 그러나 스펙터는 자신이 작곡하지 않은 곡을 녹음하는 것에 반대하는 일반적인 방침을 가지고 있었습니다.[9] 1994년 윌슨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헌정 콘서트에서 로니 스펙터는 그녀와 윌슨이 1963년에 만난 유일한 이전의 자리에서 "Don't Worry Baby"에 대해 논의했다고 회상했습니다. 그녀는 "'비 마이 베이비'의 후속작이었고, [브라이언]은 골드 스타 스튜디오로 달려와 '당신을 위해 멋진 노래를 썼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필은 당연히 그 위에 쓴 글을 하지 않았으므로 [우리는 녹음하지 않았습니다."[10]
가사
윌슨과 크리스찬이 작곡한 이전 곡들처럼, "Don't Worry Baby"는 핫 로드를 주제로 한 설정을 묘사하고 있지만, "Shut Down"이나 "Little Duce Coupe"와 달리, 이 곡은 더 우울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3] 가사는 드래그 레이스에 참여한 것을 후회하는 남자의 관점에서 전달됩니다. 그가 여자친구에게 수치심을 고백할 때, 그녀는 노래의 제목 문구로 그를 위로합니다.[4] 전기 작가 티모시 라이트는 이 곡이 "Be My Baby"의 "더 어두운 냉랭함"을 피한다고 관찰했습니다. 오히려 "윌슨은 겸손함을 뛰어넘어 갑자기 힘을 발휘하는 불행한 사랑 토큰을 작곡했습니다."[4] 파도를 잡아라 피터 에임스 칼린(Peter Ames Carlin)은 크리스찬이 윌슨(Wilson)의 "무대 공포와 낭만적인 불안정"을 이용해 가사를 썼다고 썼습니다. 칼린은 덧붙입니다.
앞의 구절들은 그의 여자에 대한 서술자의 욕망을 대조적으로 나타냈습니다.""그녀는 나를 살아나게 해줘요." - "내 차에 대해 자랑하기 시작했을 때 입을 다물고 있어야 했나 봐요. ..." 하지만 그의 연인이 그에게 계속해서 걱정하지 말라고 말하는 동안, 그녀의 확신은 마지막 구절에서 성적인 만남과 그것을 묘사하는 과도적인 동사의 흥미로운 반전으로 이어집니다. 그녀는 그에게 사랑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내레이터가 스스로 주장하지 않거나 할 수 없는 성적인 주장(매우 적극적이지는 않더라도)을 의미합니다.[11]
전기 작가 마크 딜런(Mark Dillon)은 서정적인 주제를 "이유 없는 반항아의 음악과 같은 것"에 비교했습니다.[3] 데이비드 하워드는 그의 책 '소닉 연금술'에서 "Don't Worry Baby"는 "캘리포니아 사운드 내에서 증가하는 이분법에 대한 미묘한 전조"라고 썼습니다. 'I Get Around'는 햇살이 주는 이상적인 모습을 모든 자유로운 화려함으로 상징했지만, 'Don't Worry Baby'는 자연 그대로의 정면 아래에 완전히 더 값싸고 심지어 약간 어두운 것을 제안했습니다."[12]
구성.
음악적으로 '돈 워리 베이비(Don't Worry Baby)'는 '비 마이 베이비(Be My Baby)'와 매우 비슷합니다.[13] 두 곡 모두 독립형 드럼 비트로 시작한 다음 다른 악기와 함께 연결됩니다.[9] "Don't Worry Baby"의 구절은 "Be My Baby"와 같은 키인 E장조로 I-를 따라갑니다.4-5화음 진행.[14][8] 코러스는 "Be My Baby" (I–ii–V)의 구절과 같은 변화를 가지고 있으며,[8][9] 두 코러스 모두 리듬은 다르지만 멜로디에서 같은 음계의 톤을 가지고 있습니다.[9]
이 곡이 "Be My Baby"와 차별화되는 방법 중 하나는 코러스 앞에 중요한 변화를 사용하는 것입니다.[13] 절의 마지막에, 이 노래는 한 단계 위에서 ii7–V 시퀀스를 반복함으로써 E에서 F ♯장조로 바뀝니다. 음악학자 필립 램버트(Philip Lambert)는 "핵심 전환은 구절의 남자에서 합창의 여자로 관점의 변화를 초월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16]라고 언급합니다.
녹음

비치 보이즈는 1964년 1월 7일, 할리우드의 유나이티드 웨스턴 레코더에서 8시간 동안 진행된 2회의 세션 중 일부로 "Don't Worry Baby"를 녹음했습니다.[17][8] 모든 밴드 멤버들은 녹음에서 각자의 악기를 연주했습니다.[17][18] 보컬과 기타는 1월 8일이나 9일에 오버더빙되었습니다. Take 12는 마스터에게 사용되었습니다.[17] 몇 달 전에 그룹을 떠났던 전 멤버 데이비드 마크가 이번 오버더빙 세션에서 연주했을 수도 있습니다.[19]
윌슨의 노래에 대해 언급하면서, 화이트는 "브라이언은 로넷의 리드 싱어 로니 베넷의 표준 소닉 슬로프였던 바그너 미니 마우스 요들을 수용하기 위해 그의 에뮬레이트 편곡에서 보컬 천장을 높였습니다."[4]라고 썼습니다. 윌슨의 노래를 대체한 것이 2013년 박스 세트 메이드 인 캘리포니아에 포함되었습니다.[20]
"Be My Baby"를 많이 본떠서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Don't Worry Baby"는 필 스펙터의 월 오브 사운드 제작 기법을 모방하지 않습니다.[8]
풀어주다
1964년 3월 2일, "Don't Worry Baby"가 두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면서 Shut Down Volume 2가 발매되었습니다. 3월 14일, 이 밴드는 아메리칸 밴드 스탠드에 출연하여 "Don't Worry Baby" 공연을 립싱크했습니다. 이 코너는 4월 18일 ABC에서 방송되었습니다.[21]
5월 11일, "Don't Worry Baby"는 그들의 싱글 "I Get Around"의 B-side로 발매되었습니다.[21] B-side는 라디오 재생의 차이로 인해 A-side와 별도로 차트에 올랐으며, 7월 4일 24위로 정점을 찍었습니다.[22] 캐시 박스(Cash Box)는 이 곡을 "대히트 상품을 보유한" "관심을 끄는 셔플 비트 차" 곡이라고 설명했습니다.[23]
레거시 및 인식
좋아요, 아마도 이것의 매력은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과는 상관이 없을지도 모르지만, 우리 모두는 지지의 아이디어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든 상관없이 누군가가 당신을 돌본다는 것을 아는 것이 당신에게 위대한 일을 할 수 있는 힘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음악은 이 주제에 완벽한 반주입니다. 아주 아늑하고 따뜻하고, 주요 이야기의 스트레스 많은 현실에서 오는 부드러운 휴식이죠.
전기 작가 데이비드 리프(David Leaf)는 "Don't Worry Baby"가 윌슨의 첫 번째 팝 표준이 되었다고 선언했고,[1] 딜런은 "그의 가장 위대한 음반 중 하나에 그의 결정적인 [보컬] 공연 중 하나"라고 선언했습니다.[3] 1970년 인터뷰에서 윌슨은 "아마도 우리가 한 최고의 기록은 '돈 워리 베이비(Don't Worry Baby)'였을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목소리와 범위에서 가장 좋은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25] 윌슨은 이후 "제 목소리에서 사랑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감미롭게 부른 것 같아요"라고 언급하며 이 노래에 자신의 보컬을 밴드를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습니다.[26]
1988년, "Don't Worry Baby"는 스핀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싱글 목록에서 11위에 올랐습니다.[3] 2010년,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목록에서 178위에 올랐습니다.[27] 2010년에는 피치포크가 선정한 1960년대 최고의 노래 목록에서 14위에 올랐습니다.[24]
'돈 워리 베이비'는 2006년 덴젤 워싱턴 주연의 영화 '데자뷰'에 등장했습니다.
표지 버전 및 이미지
테리 멜처([28][29]Terry Melcher)는 버드(Birds)의 1965년 공연 "미스터 탬버린 맨(Mr. Tambourine Man)"의 제작과 편곡으로 "돈 워리 베이비(Don't Worry Baby)"를 많이 만들었습니다. 두 트랙은 같은 드럼 비트와 리듬 기타 패턴뿐만 아니라 비슷한 템포를 공유합니다.[29] 버드의 멤버 로저 맥긴은 "Don't Worry Baby"를 매우 존경했고, 한때 그는 거의 매일 아침 ("God Only Knows"와 함께) 음반을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일어나서 그 노래들을 들려주겠어요. 정말 감동적이었어요. 거의 교회에 가는 것 같았어요."[30] 딜런은 버드의 후속 성공의 일부가 "미스터 탬버린 맨"과 같은 노래에서 "어떻게 그들이 비치 보이스 스타일의 하모니를 성공적으로 적응시켰는지에 기인할 수 있다"고 썼습니다.[31]
돈 워리 베이비 | ||||
---|---|---|---|---|
![]() | ||||
B.J.의 싱글. 토마스 | ||||
B.J 앨범에서. 토마스 | ||||
B면 | 마이 러브 | |||
방출된 | 1977년 6월 | |||
라벨. | MCA | |||
작곡가 | 브라이언 윌슨, 로저 크리스찬 | |||
제작자 | 크리스 크리스찬 | |||
B.J. Thomas 싱글 연표 | ||||
|
이 곡은 Keith Moon이 가장 좋아하는 Beach Boys 트랙이었고, 그는 그의 유일한 솔로 앨범인 Two Sides of the Moon (1975)을 위해 두 가지 버전의 곡을 녹음했습니다.[32] 베이 시티 롤러즈의 또 다른 커버는 호주에서 40위 안에 들었습니다.[33] B. J. Thomas는 1977년 싱글로 "Don't Worry Baby"를 발매하여 가장 성공적인 커버곡이 되었고, 비치 보이스 버전의 판매량을 능가했습니다. 토마스는 나중에 "저는 항상 비치 보이즈의 모든 레코드를 사랑했습니다. 그들은 내 책에서 잘못을 저지를 수 없습니다. 브라이언 윌슨은 놀라웠습니다. 제 최대 히트곡은 아니었지만 80만 장 정도 팔렸고 지금도 콘서트에서 라이브 공연을 하고 있습니다."[34]
1980년대에 랜디 바흐만과 칼 윌슨은 "Don't Worry Baby"에 대한 오마주를 썼는데, 이 오마주는 바흐만의 밴드 아이언호스에 의해 녹음된 "What's Your Hurry, Darlin'?"입니다. 1988년 비치 보이즈는 에벌리 브라더스가 피처링한 곡을 다시 녹음하여 싱글로 발매했습니다. [35] 로리 모건은 비치 보이스의 1996년 앨범 "Stars and Stripes Vol. 1"의 "Don't Worry Baby"의 녹음에 피처링 게스트로 참여했습니다.[36] 가비지의 1998년 싱글 "Push It"은 "Don't Worry Baby" 코러스의 보간을 포함했고, 윌슨과 크리스찬은 그 후 "Push It"의 작사 크레딧을 받았습니다.[37]
인사
크레이그 슬로우인스키 씨.[17]
비치 보이즈
- Al Jardine – 백 보컬, 일렉트릭 베이스 기타
- 마이크 러브 – 백 보컬
- 브라이언 윌슨 – 리드 및 백 보컬, 피아노
- Carl Wilson – 백 보컬, 일렉트릭 리듬 기타
- 데니스 윌슨 – 백 보컬, 드럼
추가 뮤지션 및 제작진
- Chuck Britz – 엔지니어
데이비드 마크스가 오버더빙된 리드 기타 솔로를 연주했을 수도 있지만, 슬로우린스키는 이것을 완전히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19]
차트
주간 싱글 차트
차트(1977) | 절정 위치 |
---|---|
캐나다 RPM 톱 싱글[38] | 12 |
캐나다 RPM 어덜트 컨템포러리[39] | 1 |
미국 빌보드 핫 100[34] | 17 |
미국 빌보드 어덜트 컨템포러리[40] | 2 |
US캐시박스 탑100[41] | 13 |
연말 차트
차트(1977) | 순위 |
---|---|
캐나다 RPM 톱 싱글[43] | 118 |
미국 빌보드 핫 100[44] | 96 |
U.S. Cash Box[45] | 83 |
참고 항목
- 1977년에 발매된 〈Mona〉는 1977년에 윌슨이 작곡한 비치 보이즈의 노래로, 그가 가장 좋아하는 스펙터의 노래들 중 일부를 논의한 곡으로, 〈Da Doo Ron Ron〉과 〈Be My Baby〉가 있습니다.[46]
참고문헌
- ^ a b Leaf 1978, p. 52.
- ^ 산체스 2014, 54쪽.
- ^ a b c d e 딜런 2012, 29쪽.
- ^ a b c d e 화이트 1996, 186쪽.
- ^ 딜런 2012, 28-29쪽.
- ^ a b c 윌슨 & 골드 1991, 페이지 82.
- ^ Sharp, Ken (January 2, 2009). "Brian Wilson: God's Messenger". American Songwriter.
- ^ a b c d e Rooks by 2001, pp. 27–28.
- ^ a b c d 램버트 2007, 페이지 135.
- ^ 화이트 1996, 352쪽.
- ^ Carlin 2006, 40쪽.
- ^ 하워드 2004, 57쪽.
- ^ a b 램버트 2016, 69쪽.
- ^ Lambert 2007, 페이지 135–137.
- ^ 램버트 2016, 페이지 71.
- ^ 램버트 2007, 136쪽.
- ^ a b c d Slowinski, Craig (2014). Keep an Eye On Summer 1964 (Digital Liner).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2016년 3월 4일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거울
- ^ 딜런 2012, 25쪽.
- ^ a b Slowinki, Craig (January 18, 2016). "Re: The Recording of Fun, Fun, Fun and Don't Worry Baby". smileysmile.net. Retrieved September 3, 2021.
- ^ Sharp, Ken (September 4, 2013). "Beach Boys Producers Alan Boyd, Dennis Wolfe, Mark Linett Discuss 'Made in California' (Q&A)". Rock Cellar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13.
- ^ a b Badman 2004, 53쪽.
- ^ 배드맨 2004, 53, 61쪽.
- ^ "CashBox Record Reviews" (PDF). Cash Box. May 16, 1964. p. 10. Retrieved 2022-01-12.
- ^ a b "The 200 Greatest Songs of the 1960s". Pitchfork. 2010. Retrieved September 18, 2021.
- ^ Badman 2004, 273쪽.
- ^ Sharp, Ken (2 March 2011). "Best Individual Artist: Brian Wilson". Goldmine Magazine: Record Collector & Music Memorabilia. Retrieved 23 July 2022.
- ^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Don't Worry Baby". Rolling Stone. 2004. Retrieved September 18, 2021.
- ^ 화이트 1996, 246쪽.
- ^ a b 딜런 2012, 페이지 31.
- ^ 딜런 2012, 29-30쪽.
- ^ 딜런 2012, 32쪽.
- ^ Badman 2004, 페이지 342.
- ^ a b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ISBN 0-646-11917-6.
- ^ a b c Leszczak, Bob (2014). Who did it first? : great pop cover songs and their original artists. Lanham, Maryland. p. 60. ISBN 9781442230682.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딜런 2012, 페이지 243.
- ^ "Remembering the Beach Boys' Crossover into '90s Country, 'Stars and Stripes Vol. 1'". 26 June 2018.
- ^ Eden, Dawn (1998-05-01). Short Takes; Garbage Version 2.0. Record Collector. pp. 136, 137.
- ^ "Item Display - RPM - Library and Archives Canada". Collectionscanada.gc.ca. 1977-10-22. Retrieved 2021-09-26.
- ^ "Item Display - RPM - Library and Archives Canada". Collectionscanada.gc.ca. 1977-09-10. Retrieved 2021-09-22.
- ^ Whitburn, Joel (2002). Top Adult Contemporary: 1961-2001. Record Research. p. 242.
- ^ 1977년 10월 15일 Cash Box Top 100 Singles
- ^ "Lorrie Morgan". Billboard.
- ^ "Top 200 Singles of '77 – Volume 28, No. 11, December 31 1977". RPM. Library and Archives Canada. 17 July 2013. Retrieved June 25, 2016.
- ^ "Top 100 Hits of 1977/Top 100 Songs of 1977". Musicoutfitters.com. Retrieved 2016-09-27.
- ^ "Top 100 Year End Charts: 1977". Cashbox Magazine. Retrieved 2016-07-26.
- ^ Carlin 2006, 213쪽.
서지학
- Badman, Keith (2004). The Beach Boys: The Definitive Diary of America's Greatest Band, on Stage and in the Studio.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818-6.
- Carlin, Peter Ames (2006). Catch a Wave: The Rise, Fall, and Redemption of the Beach Boys' Brian Wilson. Rodale. ISBN 978-1-59486-320-2.
- Dillon, Mark (2012). Fifty Sides of the Beach Boys: The Songs That Tell Their Story. ECW Press. ISBN 978-1-77090-198-8.
- Howard, David N. (2004). Sonic Alchemy: Visionary Music Producers and Their Maverick Recordings. Hal Leonard Corporation. ISBN 978-0-634-05560-7.
- Lambert, Philip (2007). Inside the Music of Brian Wilson: The Songs, Sounds, and Influences of the Beach Boys' Founding Genius. Bloomsbury Publishing. ISBN 978-1-4411-0748-0.
- Lambert, Philip (2016). "Brian Wilson's Harmonic Language". In Lambert, Philip (ed.). Good Vibrations: Brian Wilson and the Beach Boys in Crit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978-0-472-11995-0.
- Leaf, David (1978). The Beach Boys and the California Myth. New York: Grosset & Dunlap. ISBN 978-0-448-14626-3.
- Rooksby, Rikky (2001). Inside Classic Rock Tracks: Songwriting and Recording Secrets of 100 Great Songs from 1960 to the Present Day (1st ed.).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6540.
- Sanchez, Luis (2014). The Beach Boys' Smile. Bloomsbury Academic. ISBN 9781623562588.
- White, Timothy (1996). The Nearest Faraway Place: Brian Wilson, the Beach Boys, and the Southern Californian Experience. Macmillan. ISBN 0333649370.
- Wilson, Brian; Gold, Todd (1991). Wouldn't It Be Nice: My Own Story. New York: HarperCollins. ISBN 978-0-06018-313-4.
외부 링크
- YouTube에서 Don't Worry Baby (세션 하이라이트 / 백 보컬과 함께하는 인스트루멘탈 믹스)
- YouTube에서 Don't Worry Baby(대체 리드 보컬과 함께하는 스테레오 세션 아웃테이크)
- YouTube의 Don't Worry Baby (2009 스테레오 믹스)
- YouTube에서 Don't Worry Baby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믹스)
- B.J. Thomas - Don't Worry Baby on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