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사우스웨일스 주 던사이드

Doonside, New South Wales
둔사이드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1)Kildare Road Doonside.jpg
길다레길, 둔사이드 2767 NSW
지도
인구13,451 (2016년 인구조사)[1]
확립된1929
우편번호2767
표고43m(제곱 피트)
위치시드니 CBD에서 서쪽으로 40km(25mi)
LGA블랙타운의 도시
주 선거인단블랙타운
연방 부서치플리
던사이드 주변 교외:
글렌덴닝 퀘이커스 힐 우드크로프트
루티 힐 둔사이드 블랙타운
이스턴 크리크 헌팅우드 아른델 파크

던사이드(Donside)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에 있는 시드니교외다.던사이드(Donside)는 시드니 중앙 상권으로부터 서쪽으로 40킬로미터 떨어진 블랙타운 시의 지방 정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레이트 웨스턴 시드니 지역에 속해 있다.페더데일 야생동물 공원누르라기 자연 보호구역은 지역 관광 명소로 인기가 높다.

역사

전통 소유자와 조기 정착

두루크족은 한때 지방 토지의 소유주였다.현재 던사이드로 알려진 이 지역은 '붕가리비'(Bung은 'creek'를 의미하고, 가리비는 '코카투'를 의미함)라고 명명되었다.

1802년 필립 기들리 킹 주지사는 상당수의 토지를 정부 비축금으로 남겨 두었다.그 후 20년 동안 그 땅은 죄수 목동들에 의해 소와 양의 목초지로 사용되었다.1822년 정부 주식 운용의 일부는 토마스 브리즈번 주지사에 의해 스코틀랜드 이민자인 로버트 크로포드에게 주어졌다.로버트는 처음에 1,000 에이커(4km²)의 이름을 "힐 엔드"라고 지었다.크로포드는 이 이름을 던사이드라고 지었을 겁니다.이 지역은 공식적으로 던사이드(Doonside)가 되기 전에 크로포드(Crawford)를 비롯한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2]

로버트 제임스 크로포드 (1799년-1848)는 메리 캠벨 (1832년 d. 1832년)과 함께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메리 크로포드(b. 1826), 로버트 크로포드(1827-1906), 조지 캐닝 크로포드(b. 1828), 아그네스 C.크로포드 (b. 1831년). (로버트 크로포드의 네 자녀 이름은 오늘날 크로포드 공립학교에서 스포츠 하우스 팀으로 사용된다.연장자인 로버트 크로포드는 1832년 시드니 블라이 가의 존스 양과 결혼했다.

로버트 크로포드(Robert Crawford, 1827~1906)는 1868년 빅토리아 마거릿 스미스와 결혼했다.같은 해에 태어난 그들의 아들 로버트(1868~1930)는 출판된 시인이 되었다.[3]

분가리비 하우스

분가리비 홈스테드, 1954년 둔사이드

1822년 힐엔드(Doonside) 남쪽 지역은 스코틀랜드 태생의 거주자 존 캠벨(1771년-1827년)에게 주어졌다.[4]

이 재산과 주택은 1949년 영연방해외통신위원회(OTC)가 인수하기 전까지 19세기와 20세기에 소유자와 세입자가 잇따랐다.

새로 결성된 내셔널 트러스트는 그동안 OTC로부터 임대차 계약을 확보하려 했으나 실행 불가능한 임대 조건을 이유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지역사학자 존 로슨은 그 집을 복원하겠다고 제안했지만 O.T.C.에 의해 거절당했다.

월카라

둔사이드 명칭은 1921년 원주민 이름인 '월카라'로 잠시 변경되었다. 새로운 철도역이 건설되고 있을 때, 월카라 역시 1921년 이곳에 개업한 우체국 명칭이었으나, 1929년 4월 지역 주민들이 명칭 변경에 항의하자 다시 둔사이드로 변경되었다.[5]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1916년 이전에, 던사이드의 유일한 발전은 크로포드 가문에 국한되었다.크로포드 홈스테드와 아크레이지 블록은 던사이드 로드를 마주보고 있는 철도의 남쪽에 있었다.켈번 크로포드의 딸들의 집은 홈스테드와 번가리비 사이에 있었다.힐렌드 로드와 던사이드 크레센트 모퉁이에 있는 줄의 북쪽은 이탈리아 가문인 루파르노가 소유한 벽돌 오두막집이었다.맞은편에는 작은 문지기 오두막집이 있었다.

또 다른 크로포드 딸이 소유한 벽돌집이 던사이드 크레센트에 있었다.부동산은 힐렌드 로드 앞쪽에 있으며 크로포드 아이들이 소유하고 있었다.힐렌드 로드에 있는 또 다른 오두막은 크로포드 아이들의 시댁인 해리슨이라는 가족이 소유하고 있었다.일꾼의 목조 오두막은 기와공장의 터 쪽으로 언덕 위에 있었다.

둔사이드로 들어가는 길은 서부간선도로에서 달리는 둔사이드 길뿐이었다.힐렌드 로드는 파워 스트리트까지만 갔고, 그 뒤로 리치몬드 로드는 게이트로 끝나는 트랙이 있었다.파워 스트리트는 이스턴 크릭을 건널 때 습한 날씨에 거칠고 위험해서 플럼프톤으로 갔다.

전쟁(1914-1918) 후, 포터와 갈브레이스의 회사는 크로포드로부터 부동산을 구입하여 현재 우드크로프트 교외인 지역에 기와공소(PGH)를 세웠다.철도와 분가리비 길 사이에 20여 마리의 양계장이 병사의 정착지로 조성되었다.1930년대 불황기에 이 땅의 일부는 여성의 정착지가 되었다.

얼리 던사이드

1929년까지 전기가 없었고 우물에서 물을 끌어냈다.말이 끄는 수레는 빵과 고기를 배달할 것이다.블랙타운은 버스나 학교가 없어 기차로 접근했다.ParramattaPenrith는 가장 가까운 고등학교였다.

가게와 우체국은 1926년 빌 프랜시스(Bill Francis)에 의해 힐렌드 로드(Hillend Road)와 크로스 스트리트(Cross Street) 모퉁이에 비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몇 년 동안 그의 조카인 잭 프랜치스는 철도의 반대편에서 우체국을 운영했지만 일단 그것이 공식화되면 1987년까지 원래의 장소로 되돌아갔다.

1955년 던사이드에 전동차가 왔고, 역시 최고령 주민인 건국가 출신의 에디스 크로포드는 '리본을 자르는' 특권을 받았다.그녀의 죽음은 1956년이었다.

유산 목록

던사이드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유산이 등재되어 있다.

사람

2016년 호주 인구조사에서 던사이드의 인구는 13,451명이었다.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은 인구의 5.3%를 차지한다.

교외에는 21.6퍼센트의 부동산을 소유했고, 30.6퍼센트는 매입, 43.6퍼센트는 임대했다.가구당 주당 중위소득 1340달러는 평균보다 약간 낮았고 중위임대료(주당 310달러)도 평균보다 낮았지만 월평균 1950달러의 주택담보대출 상환액은 더 높았다.고용의 가장 흔한 산업은 병원(4.3%)[1]이었다.

52.8%의 사람들이 호주에서 태어났다.다음으로 가장 많이 태어난 나라는 필리핀 9.3%, 인도 4.6%, 피지 3.3%, 뉴질랜드 2.9%, 영국 1.3% 순이었다.가장 흔한 조상은 호주인 18.2%, 영어 15.4%, 필리핀인 9.2%, 인도인 6.2%, 아일랜드인 4.0%로 52.8%가 집에서 영어만 말한다.그 외 가정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타갈로그 6.1%, 아랍어 4.1%, 힌디 3.9%, 필리핀어 2.6%, 푼자비 2.3% 등이었다.종교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응답은 가톨릭 31.4%, 종교가 없는 14.3%, 성공회 [1]10.1% 순이었다.

주목할 만한 거주자는 다음과 같다.

운송

둔사이드 철도역서부 간선 철도 노선에 있다.시드니 열차 노스 쇼어 & 웨스턴 라인 서비스에서 운행한다.그레이트 웨스턴 하이웨이는 남쪽 국경을 따라 달리고 M4(시드니)는 바로 남쪽이다.버스웨이는 교외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둔사이드 역 1880

1861년 12월 23일 블랙타운에서 루티 힐까지 한 노선이 개통되었다.블랙타운 투 킹스우드 구간의 건설 계약은 1859년 8월에 페토, 브래지어 & 베츠에게 수여되었다.이 노선은 1886년에 복제되었고 1880년 9월 27일에 개통되었다.역은 1921년 2월 1일에 월카라로 개칭되었고, 이후 1921년 2월 12일에 다시 도온사이드로 개칭되었다.그 노선은 1955년 10월 9일에 전기화되었다.

현재의 역은 1955년에 개량되어 원래의 건물을 대체하였다.역 건물의 디자인은 리드콤베와 세인트 사이의 다른 역에서 그랬던 것처럼 철도 벗겨짐 기능주의자 스타일을 적용했다.메리의이 역은 리드콤베와 세인트 사이의 4개의 주요 선로로 선로를 늘리는 훨씬 더 큰 계획의 일부였다.메리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로프 크릭에 세워진 미국 탄약과 일반 상점에 최대한의 선로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였다.4배는 1981년에 완성되었다.

신호 박스는 1955년 건물로 통합되었으나, 1980년에 스스로 제거된 인접 레벨 교차로에서 자동 붐 게이트가 제공되면서 1963년에 폐쇄되었다.신호 박스 장비가 제거되었다.

플랫폼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보행자 다리는 1958년에 건설되었다.그것의 쌍둥이 빔 구조는 1940년대의 서부 선에 있는 4중대의 발다리의 전형적인 형태다.1990년 이후 철골 구조물을 제외한 교량의 모든 부품들이 교체되었다.[8]

학교

던사이드에는 역 근처인 둔사이드 공립학교와 교외 북쪽의 파워 스트리트에 있는 크로포드 공립학교 등 두 개의 정부가 운영하는 초등학교가 있다.크로포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정부 운영 고등학교인 둔사이드 기술 고등학교가 있다.둔사이드에는 두 개의 비정부 학교가 있다.철도선 남쪽 둔사이드 도로변에 있는 마운틴뷰 어드벤티스트 칼리지(Mountain View Adventist College)는 제7일제 어드벤티스트 교회와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학생들을 위한 캐터들이 운영한다.세인트 존 비안니스 초등학교(St John Vianneys Social School)는 이웃 교회와 연관된 교구 가톨릭 학교로서, 세인트 존 비안니(St John Vianney)라고도 불린다.

던사이드 공립학교

'임시' 학교는 1903년에 개교했으나 지원 부족으로 문을 닫았다.1911년 다시 2년 동안 재개관하였다.1937년 던사이드 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이 학교의 첫 번째 신청은 1934년 5월 28일 블랙타운 샤이어 의회에 이루어졌다.의회는 블랙타운 학교가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고, 던사이드에서 블랙타운으로 가는 기차 서비스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1935년 3월과 11월에 다시 신청되었으나 같은 이유로 거절되었다.그러나 고심 끝에 마침내 1936년 7월 14일 공립학교에 대한 승인이 내려졌다.이를 위해 4에이커 3파리의 면적이 재개되었다.

정부 설계사는 학교 건축을 위한 계획과 입찰자들을 초대했다.Mr S W Brown은 1,850 파운드의 견적을 받고 수락되었다.이 건물은 오스카 스완슨 씨를 교사로 삼아 1937년 11월 22일 완공되어 개관하였다.

학기말까지 등록한 첫 주는 53주였고, 등록한 주는 58주였다.

1939년에는 학생 수가 94명으로 증가했다.1956년까지 202명이었고 1962년에는 600명이 되었다.새로운 사유지와 주택이 들어서면서 그 지역의 개발로 그 수는 계속 증가하였다.

던사이드 공업고등학교

고등학교는 1964년 둔사이드 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9]이 학교는 1989년에 기술 고등학교가 되었다.[10]

1977년[9] 개교한 크로포드 공립학교

1986년[9] 개교한 세인트비안니스 초등학교

레크리에이션

던사이드 서쪽 가장자리에는 서부 시드니 지역 파크랜드에 위치한 누라징리 보호구역이 있다.그 보호구역은 90ha의 공원으로 소풍장과 원래의 삼림지를 특징으로 한다.1981년에 자연보호구역이 설립되었고, 1819년 블랙타운 지역에 토지 보조금을 지급한 다루그인 누르라게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12][13]철도의 바로 남쪽에는 페더데일 야생동물 공원이 있는데, 이 공원은 1953년에 설립되어 오스트레일리아의 토착 동물과 새들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14]

누라징에서 철로 건너편에는 스포츠 콤플렉스인 카렐라 리저브(Karela Reserve)가 있는데, 이 곳에는 돈사이드 루스 [15]럭비 리그 팀, 돈사이드 크리켓 클럽[16], 돈사이드 리틀 애슬레틱스(Little A슬레틱스) 등 다수의 지역 스포츠 팀들이 입주해 있다.[17]전 축구팀 주장 크레이그 무어의 주니어 클럽인 던사이드 호크스 축구클럽은 인근 글렌딩[18] 글렌딩 예비구역에서, 던사이드 다이아몬드 넷볼클럽은 블랙타운의 블랙타운시티 넷볼협회 단지에서 모든 경기(홈 앤드 어웨이)를 치른다.[19]이 클럽들은 모두 마룬과 흰색을 색깔로 사용한다.

던사이드 주니어 럭비 리그 클럽

럭비 리그 클럽 던사이드 루스는 1967년에 창단되었으며, 최초의 위원회 회의가 던사이드 호텔에서 열렸다.마룬과 흰색의 색과 도약하는 캥거루의 상징은 클럽을 대표하기 위해 선택했다.첫 경기는 1968년 시즌 던사이드 고등학교 타원형에서 카렐라 리저브(카렐라 이스트 리저브)의 영구 홈그라운드가 완성될 때까지 열렸다.페헤데일 야생동물 공원 근처의 버트 샌더스 보호구역에서는 한 해 동안 화재로 카렐라의 편의시설이 파괴되어 게임이 진행되었다.

1971년 그 클럽은 첫 번째 프리미어 리그를 차지했다.[20]

던사이드 크리켓 클럽

던사이드 크리켓 클럽은 1975년에 설립되었다.게임은 카렐라 리저브(카렐라 이스트 리저브)에서 한다.[21]

던사이드 호크스 축구단

그 축구 클럽은 1981년에 설립되었다.클럽의 첫 홈그라운드는 카렐라 웨스트 리저브 던사이드(오늘날의 찰리 발리 리저브)가 될 예정이었으나 창단 시즌에 맞춰 마무리되지 않아 경기가 끝날 때까지 Mt 드루이트 스포츠 센터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오늘 클럽의 홈그라운드는 리치몬드 로드 글렌딩의 글렌딩 예비역이다.[22]

페더데일 야생동물 공원

페더데일 야생동물 공원은 둔사이드에 위치한 야생동물 및 동물원 시설이다.그것은 3.29 헥타르에 이르며 260여 종을 전시하고 있으며 상호작용을 위한 체험이 가능하다.[23][24]

참조

  1. ^ a b c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7 June 2017). "Doonside (State Suburb)". 2016 Census QuickStats. Retrieved 15 March 2018. Edit this at Wikidata
  2. ^ 시드니 교외 도서, 프랜시스 꽃가루 편집, 앵거스 & 로버트슨 출판사, 1990, 호주 ISBN 0-207-14495-8
  3. ^ Acms.sl.nsw.gov.au
  4. ^ Blacktownaustralia.com.au
  5. ^ Trove.nla.gov.au
  6. ^ "Bungarribee Homestead Complex - Archaeological Site". New South Wales State Heritage Register. Office of Environment & Heritage. H01428. Retrieved 18 May 2018.
  7. ^ "Blacktown Network Map" (PDF). Busway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March 2012. Retrieved 26 December 2011.
  8. ^ Environment.nsw.gov.au
  9. ^ a b c "Untitled Document".
  10. ^ "Our School – Doonside Technology High School". www.dths.com.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y 2018. Retrieved 19 May 2018.
  11. ^ "Nurragingy Reserve". Blacktown City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December 2011. Retrieved 26 December 2011.
  12. ^ "Nurragingy - History". Blacktown City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2. Retrieved 26 December 2011.
  13. ^ "Why Nurragingy?". Blacktown City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2. Retrieved 26 December 2011.
  14. ^ "About Featherdale". Featherdale Wildlife Park. Retrieved 26 December 2011.
  15. ^ "Doonside JRLC". Doonside JRLC. Retrieved 26 December 2011.
  16. ^ "Doonside Cricket Club". Westview Baptist Chu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12. Retrieved 26 December 2011.
  17. ^ "About Us". Doonside Little Athletics Centre. Retrieved 26 December 2011.
  18. ^ "Doonside Hawks Soccer Club". Blacktown District Soccer Football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April 2012. Retrieved 26 December 2011.
  19. ^ "Doonside Diamonds". Netball Australia. Retrieved 26 December 2011.[영구적 데드링크]
  20. ^ "History - Doonside Junior Rugby League Inc - SportsTG". SportsTG. Retrieved 19 May 2018.
  21. ^ "Home - Doonside Cricket Club". Home - Doonside Cricket Club. Retrieved 19 May 2018.
  22. ^ "Club History". Doonside Hawks Soccer Club. Retrieved 19 May 2018.
  23. ^ "Featherdale Wildlife Park - Elanor". www.elanorinvestors.com. Retrieved 24 May 2021.
  24. ^ "Featherdale beats Opera House to claim major tourism award - Events -…". archive.ph. 1 July 2012. Retrieved 24 May 2021.

외부 링크

좌표:33°46′10″S 150°52′00″E/33.7694°S 150.8666°E/ -33.7694; 150.8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