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도이 바자르
Dordoy Bazaar좌표:42°56°00°N 74°37°15°E/42.93333°N 74.62083°E
도르도이 바자르(키르기스어: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에 있는 대형 도소매시장입니다.방콕의 차투차크 위크엔드 마켓이나 테헤란의 그랜드 바자에 버금가는 아시아 최대의 공공 시장 중 하나입니다.그것은 서양 기자에 의해 "원시 [1]상거래의 힘을 보여주는 현대 기념물"로 묘사되었다.
도도이 바자는 비슈케크 대도시 지역과 추이 리버 밸리 지역의 주요 쇼핑 및 고용 센터입니다.또한 카자흐스탄, 러시아,[2] 우즈베키스탄의 상점 및 시장에 중국 소비재가 도착하는 주요 매장 중 하나이다.일부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이 재수출(우즈베키스탄을 겨냥한 또 다른 중심지는 오쉬 지역 카라수 지역의 카라수 바자르)은 키르기스스탄의 [3]두 가지 경제활동 중 하나이다.
장소 및 조직
도도이 시장은 비슈케크의 북동쪽 외곽에 1킬로미터 이상 뻗어 있으며, 비슈케크의 북쪽을 가로지르는 우회도로 근처에 있습니다.법적으로, 그것은 서로 인접한 여러 독립 시장들의 집합체이다.울타리가 없기 때문에, 시장간의 경계는 특별히 눈에 띄지 않는다.2007년 시판 [4]지도에 따르면 컴포넌트 시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악수
- 보스토크('동쪽')
- 서버('북쪽')
- 무라스 스포츠
- Alkanov i K ('Alkanov & Co')
- 에브로파('유럽')
- 케루벤
- 키타이('중국')
- 중하이(정식적으로는 도도이와는 별개의 시장으로 간주됨)
시장의 대부분은 이중 적재 컨테이너로 이루어져 있다.일반적으로 아래쪽 컨테이너는 상점이고 위쪽 컨테이너는 보관을 제공합니다.2005년 신문 보도에 따르면, 바자회에는 6천에서 7천 개의 컨테이너가 있었다.약 20,000명의 사람들이 그곳에서 일했습니다(벤더, 보안 또는 서비스 담당).[5]
수십 줄로 늘어선 컨테이너들은 거리와 광장을 형성하고 있다.컨테이너 블록 사이에 있는 작은 건물에는 식당, 행정실, 화장실, 호텔 및 기타 부대 구조물이 있습니다.
역사
이 시장은 1992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 2007년에 15주년을 맞았다.이웃 우즈베키스탄 기자들이 볼 때, 비슈케크의 도르도이 바자가 상승한 원인 중 하나는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도매 시장의 하락이었다.1998년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타슈켄트의 거대한 히포드롬 시장을 내무부 관할로 이관한 후, 이 무역업자에 대한 경찰의 괴롭힘이 늘어나면서 히포드롬은 이 지역에서 지배적인 지위를 잃게 되었다.2002-2003년 재건 후, 한때 8,600개의 거래처와 18,000개의 거래처를 가지고 있던 Hippodrome은 2,540개의 판매처를 가진 훨씬 작은 Chilanzar 상품 시장에 의해 승계되었다.지자크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는데, 2006년 당국은 두뇨 보조리(중국 상인들이 세운 "세계시장"을 아부 사히 누르 쇼핑 센터로 대체하기 위해 문을 닫았다.우즈베키스탄 시장이 하락하면서 우즈베키스탄 바이어들의 구매는 키르기스스탄의 비슈케크나 [2]카라슈로 옮겨갔다.
소유 및 관리
대부분의 시장(Dordoy 본연의, 즉 중하이를 제외한 모든 시장)은 OsOO "Dordoy Bazari"(키르기스어:도르도이 협회라고 하는 「기업 그룹」의 멤버인 「도르도이 협회」.[6]중하이 구역은 같은 그룹의 [7]또 다른 멤버인 Dordoi Asia가 운영한다.
도도이 시장 외에도 도르도이 협회는 비슈케크 중심가에 가까운 작은 알라메디 시장(OsOO "Alamudun Bazari"(키르기스어:비슈케크 시내의 도르도이 플라자 쇼핑몰, 비슈케크 등의 제조·서비스 회사, 이시크쿨 [8]호수의 코쉬콜 해변 리조트, 축구팀 도르다리노다이나믹스.[5][9]
트레이더

의류, 신발, 가구, 전기전자기기, 완구, 자동차용품, 건축자재 등 다양한 종류의 소비재를 전문으로 취급하고 있다.도도이에서는 일부 식료품(예: 공장에서 포장된 통조림이나 과자)이 판매되지만, 농산물 시장은 아닙니다.때때로 생산품 벤더는 단지 벤더와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존재합니다.
도도이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상품은 중국에서 [1]수입되며, 두 번째로 큰 수입처는 [2][10]터키이다.태국과 유럽의 의류, 러시아의 음악 CD, 유라시아의 여러 나라의 상품과 현지 상품도 볼 수 있다.
바자르에서 일하고 쇼핑하는 많은 사람들이 키르기스어를 사용하지만, 무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러시아어이다.
교통.
모든 상품은 트럭이나 자동차로 바자를 드나들 수 있습니다.
시장의 북쪽 끝과 남쪽 끝 근처에 있는 두 개의 큰 광장은 비슈케크 중심부와 빈번한 미니 버스 운행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북쪽 광장에서부터 미니버스는 소쿨룩, 칸트, 토크목, 코르데이 국경 횡단(카자흐스탄 국경)을 포함한 취이 지역 전역의 다양한 지점까지 운행됩니다."셔틀 트레이더"의 편의를 위해, 도르도이에서 카자흐스탄의 몇몇 주요 도시와 러시아의 우랄 및 서부 시베리아까지 전세 버스가 운행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메이드 인 차이나' 러시아 뒷마당 입주다니엘 서센의 작품."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7-04년 1월
- ^ a b c d 우즈베키스탄 비슈케크 시장 발화 2011-07-24 Wayback Machine 아카이브(uznews.com, 2008-04-09)
- ^ Sebastien Peyrouse, 중국-중앙아시아의 경제적 측면 2009-02-07년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중앙아시아 - 코카서스 연구소, 실크로드 연구 프로그램.2007년, 페이지 18
- ^ "Modern Bishkek" Atlas, 2007-2008", OsOO "SMIK", 2007.ISBN 없음
- ^ a b 레지네 A.스펙터, "시장 소유자는 누구인가?현대 키르기스스탄의 재산을 둘러싼 갈등.2007년 5월 2일 정치학부 대학원생회의 준비.미국, 버클리 (2007년 6월 10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된 초안 버전)
- ^ 도르도이 바자리(러시아어)
- ^ 도르도이 아시아 (러시아어)
- ^ 【도도이 마린 클럽 리조트】(러시아어)
- ^ 도르도이 다이너모 (러시아어)
- ^ 키르기스스탄에서 터키의 문화적, 경제적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유라시아 데일리 모니터 제4권 145호2007년 7월 26일작성자: Erica Marat]
외부 링크

- 아이작 로스차일드, "투르 드 도르도이" - 도르도이 바자회 사진과 에세이.Spektator 매거진, 제3호, 2008년 12월/2009년 1월), 페이지 20-22.
- (러시아어) 도르도이(도르도이) 지도
- 현대 실크로드의 철제 카라반세라이 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