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아(가족)
Doria (family)도리아 | |
---|---|
![]() | |
나라 | ![]() ![]() ![]() ![]() 원글리아 공국 돌체아쿠아 영주 돌체아쿠아 후작 |
설립됨 | 10세기 |
제목 | |
좌우명 | 알티오라 페토 |
생도 분기 | 도리아팜필리란디 |
도리아(리구리아어: 도이아[1][ˈdɔːja])는 원래 '오리아의 아들들'이라는 뜻의 드 오리아(de filiis auriae에서 유래한 것으로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제노바 공화국과 이탈리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늙고 극히 부유한 제노아 가문의 이름이다. 수많은 왕조의 구성원들이 처음에는 카피타노 델 포폴로로, 나중에는 도게로 공화국을 통치했다.
오리진스
전설에 따르면, 오리아나 오리아 델라 볼타라는 고귀한 제노스의 부인은 제1차 십자군 원정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가려던 고귀한 순례자와 사랑에 빠졌다. 그의 이름은 아르뒤노 디 나르본이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오리아의 자녀인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다. 아두이노는 피에몬테의 아두이니치 가문의 전형적인 이름이었는데, 그 중 일부는 아우리테 백작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었다. 그렇다면 11세기 후반에 갑자기 리구리아 지방의 주요 강국으로 역사에 등장하는 아두리네이트의 아두이니치 중 한 명이 이 가문의 출신이라고 추측할 수도 있을 것이다.
1110년 마르티노와 제누아르도라는 그 가문의 두 사람을 가리켜, 그들은 필리 아우리에(오리아 아들 또는 자식)라고 부른다. 도리아는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사르디니아에, 제노바 서쪽에 있는 리비에라 강에 있는 돌체아쿠아, 원글리아, 포르토피노에도 도르시아가 있었다.
저명인원
시몬 도리아는 12세기 후반에 살았으며, 십자군들이 세인트 진 다크레에 대한 공격에서 제노스의 제독이었다. 1275년 사망한 페르시발레 도리아는 악명 높은 군벌이자 프로벤살 시인으로 그 가문의 일원이 될 것이다. 또한 시인 사이먼 도리아는 사보나와 알벤가의 포데스타였다. 오베르토 도리아와 람바 도리아 형제는 해군 지휘관이자 정치인이었는데, 오베르토는 제노바에서 인민의 함장이 되어 1284년 라 멜로리아를 피사에 대파하여 해군군을 지휘했고, 람바는 1298년 쿠르졸라에서 베네치아 안드레아 단돌로와의 대전에서 승리하였다. 테디시오 도리아(또는 테오도시오)는 1291년 바디노와 우골리노 비발디의 탐험에 자금을 조달했다. 브랑카 도리아는 1275년 그의 장인 미셸 잰치를 살해했다는 배반적인 이유로 신성한 코미디에서 단테에 의해 언급된다. 브란칼레오네 도리아는 아르보레아의 지우디카토를 지배했고 14세기 후반 사르디니아 전역을 거의 정복했다.
오톤 도리아는 1346년 8월 프랑스가 영국과의 크레시 전투를 위해 고용한 5000명 이상의 제노 석궁병들을 지휘했다. 그의 많은 부대들과 마찬가지로 제노스도 양쪽의 공격을 받아 결전하는 전투에서 전사했다. 폭우로 활끈이 젖고 쓸모없게 되었으므로(영국 장궁과는 달리 쉽게 제거할 수 없었다) 오톤은 퇴각을 명령했다. 프랑스 기병대는 이것을 비겁한 것으로 보고 공격했고, 다른 기병들은 영국 보우맨들에게 살해당했다.
이 가문의 주목할 만한 일원은 제노아 공화국을 재창립한 멜피 공(1466~1560) 안드레아 도리아 제독이다. 1528년 제노바의 영구 검열관, 1555년 멜피 왕자(1531년)와 투르시 후작( 나폴리 왕국)이 탄생한 황제 찰스 5세의 제독이었다.[2] 이 칭호들은 지아네티노 도리아의 아들 지오반니 안드레아 도리아가 물려받았는데, 그는 제2의 사촌이자 안드레아 도리아의 양자였다. 지아네티노 도리아는 1547년 제노바에 대한 안드레아 도리아의 권력에 대항한 피에스키 음모로 살해되었고, 그의 후손들은 대제독에게 부여된 작위를 물려받았다.
조반니 안드레아의 아들은 가톨릭 교회의 추기경인 조반니 도리아였다. 이 시대의 다른 유명한 도리아로는 카를로 도리아 제독과 미술 수집가 지오반니 카를로 도리아 등이 있다.
그 가족은 유럽 안팎에서 정치적 실체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몽골 일카나이트 통치자 아바카가 프랑코-몽골 동맹을 맺으려는 시도 중에 그의 전략에는 제노스와 유대 강화를 포함시켰다. 도리아 가문의 많은 남자아이들은 외국 통치자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붙여졌는데, 아바가(아바카 칸), 카사노(가잔 칸), 에이톤(아리톤)은 헤이튼(헤이톤)의 이름을 따서, 또는 질리시아 아르메니아의 왕 헤툼 1세의 이름을 딴 것이다.[3]
제노바의 도시
그 가족의 몇몇 구성원들은 제노바의 도지가 되었다.
- 1537-1538: 조반니 바티스타 도리아
- 1579-1581: 니콜로 도리아
- 1601-1603: 아고스티노 도리아
- 1621: 암브로지오 도리아
- 1633-1635: 조반니 스테파노 도리아
- 1793-1795: 주세페 마리아 도리아
제목이 붙은 분지
도리아 가문에는 멜피 왕자(도리아 펨필리 지부), 센톨라 왕자(도리아 단그리 지부), 몬탈데오 백작, 시리 에 델 마로의 마르퀘스, 산콜롬바노의 마르케스, 오글리아 영주 등의 칭호가 있었다. 가족 구성원은 마르체시 알 코냑으로, 즉 예의 호칭으로 가명에 딸린 마르케스라는 호칭을 가지고 있다.
콜론나 도리아 같은 비애그니티 왕자의 가지가 여전히 번창하고 있다. 스페인 포라타 도리아 가문처럼 이탈리아 밖에도 마퀘스로 분류되는 지부들이 있다.
위대한 탐험에서의 역할
도리아 씨족은 15세기 후반과 16세기에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항해에 자금을 대는 데 도움을 주었다. 세비야의 은행원인 프란체스코 도리아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탐험에 자금을 대었고, 그의 아들 알레라모 도리아는 1556년까지 포르투갈의 존 3세의 은행원이었다. 마침내 알레라모의 딸 클레멘자 도리아는 16세기 포르투갈의 브라질 식민지 개척 초기 정착민 중 한 명이었다. Clemenza Doria married twice; her second husband was Fernão Vaz da Costa (c. 1520–1567), son of Portuguese Chief Justice Cristóvão da Costa and a great-grandson of the legendary navigator Soeiro da Costa; they originated the Costa Doria family which is still thriving today as one of their members, José Carlos Aleluia [da Costa Doria], is a represe브라질 의회에서는 경제인 주앙 도리아 주니어 또는 주앙 아그리피노 다 코스타 도리아 3세가 브라질의 호세 사르니 행정부에서 각료급 직책을 맡아(1985–1989) 현재 상파울루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그리스도의 훈장 기사 로디시오 도리아는 마데이라 섬에 정착했다. 그들의 후손은 테헤이라 도리아, 페나다구아의 영주, 프랑수아 도리아 가문이며 포르투갈의 항해사 트리스탕 바즈(Tristang Vaz)도 직계 조상이다. 프랑수아 도리아 지부는 칼사다 백작이 이끌고 있으며, 토레 벨라의 비스카운트가 이끄는 젊은 지부가 있다.
문학에서.
도리아라는 이름은 결국 10대 여주인공과 사랑에 빠진 준주연을 위해 코넬리아 펑크의 '잉크하트' 시리즈(특히 책 '잉크데스트')에서 사용됐다.
참고 항목
- 도리아 팸플릿지 갤러리
- 도리아팜필리란디
- 암브로시오 스피놀라, 마르퀴 드 로스 발바스, 암브로시오 스피놀라 도리아
- 제노바 공화국
- 제노바 도게
메모들
- ^ "TIG - Risultati". www.zeneize.net. Retrieved 2020-10-12.
- ^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이 현재
- ^ 필립스, 페이지 102
참조
- 테레사 루자토 게리니, 이 도리아, 노비시마 엔시클로피디아 모노그라피카 일러스트라타, 플로렌스 (1937년)
- 클레멘테 푸세로, 이도리아, 달링올리오(1973년).
- 리스본 아르키보 나시오날 다 토레 도 톰보(포르투갈)의 문서 출처
- Phillips, J. R. S. (1998).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seco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20740-9.
- "Doria Family".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Retrieved 2008-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