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스의 두리스
Duris of Samos사모스의 두리스 | |
---|---|
사미안 명예령이 새겨진 구호비 | |
태어난 | c. 기원전 350년 |
죽은 | 기원전 281년 이후 사모스 |
직업 | 폭군 역사학자 |
로 알려져 있다. | 지배 사모스 기록 작성 |
주목할 만한 작품 | 그리스의 이야기 역사 |
Duris of Samos (or Douris) (Greek: Δοῦρις ὁ Σάμιος; c. 350 BC – after 281 BC) was a Greek historian and was at some period tyrant of Samos. 두리스는 기원전 371년부터 기원전 281년까지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에서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서술적 역사를 쓴 저자로, 이 이야기는 잃어버린 것이다. 다른 작품들에는 시라큐스의 아가토클레스의 생애와 문예 주제에 관한 많은 서적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개인 및 정치 생활
듀리스는 알시비아데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 그는 아들 스카이우스가 있었는데, 그는 "사미인들이 망명하고 있는 동안" 올림피아 게임에서 남자 복싱에서 우승했다.[2] 즉 기원전 324년 이전에. 352년부터 324년까지 사모스는 원주민인 사미안을 추방한 아테네의 성직자들에 의해 점령되었다.[3] 따라서 듀리스는 기원전 350년 가까운 어느 날에 태어났을지도 모르며, 기원전 281년 리시마코스의 죽음과 함께 그의 주요 역사적 작업이 끝났기 때문에, 그 이후의 알려지지 않은 날짜에 죽었을 것이다. 일부 현대 소식통들은 올림픽 우승자인 스카에우스가 역사학자 듀리스의 아들이 아닌 아버지였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적어도 두 백과사전에서 "스카에우스의 아들"[4]로 묘사되고 있다. 고대의 정보원은, 분명히 빈약하지만, 이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듀리스는 사모스의 린체스의 동생으로 희극, 편지, 에세이 '식량을 위한 쇼핑'을 저술했다.[5][6]
많은 20세기 작품들은 듀리스가 아테네의 테오프라스토스의 제자였다고 말한다.[7] 이 주장에 대한 증거는 아테네의 디프노소피스타의 본문에 있는 아르테니오스 코라리스의 추측외에는 없다. 에멘데이션은 1802년 J. Schweigheuser에 의해 출판되었고 이후 아테네에우스의 모든 편집자들이 받아들였다.[8] 원고 본문에는 뒤리스가 테오프라스토스 밑에서 공부한 것이 아니라 동생 린체스와 린체스 특파원 히폴로쿠스가 공부했다고 적혀 있다.[9]
두리스의 공적인 삶에 대해 기록된 유일한 사실은 그가 사모스의 폭군, 즉 유일한 통치자였다는 것이다.[10] 그가 어떻게, 얼마나 오랫동안 이 자리를 지켰는지, 그리고 그의 통치하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하젤은 "그의 통치는 별일 아니었다"고 추측한다.[4]
글
두리스는 레클레라 전투(기원전 371년)부터 리시마코스(기원전 281년)의 죽음까지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에서 일어난 사건들의 서술적 역사를 쓴 작가였다. 이 작품은 그의 다른 모든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없어지고, 플루타르크를 포함한 다른 작가들의 인용구를 통해 30개 이상의 단편들이 알려져 있다. 그것은 필라르쿠스의 역사에서 계속되었다. 두리스의 다른 작품으로는 시라큐스의 아가토클레스(Agathocles of Syracus)의 삶이 있는데, 이 작품은 디오도로스 시슐루스 역사도서관 19-21권의 출처였다. 두리스는 또한 헤라의 제사장들의 명단과 문예 주제에 대한 많은 논문들에 따라 배열된 사모스의 역사적 연보를 썼다.[11][12]
작품 목록
33개의 그의 역사 조각에서부터 그의 온 조각상의 작은 조각에 이르기까지, 듀리스의 작품 8개의 일부가 살아남았다. 전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11][12]
- 역사 (마케도니카 및 헬레니카로도 표기됨, 33개 조각)
- 아가토클레스(리비아카로도 표기됨; 13조각)에 대하여
- 사모스 연보 (22조각)
- 법률(2개 조각)
- On Games (4 조각)
- 비극에 대해(그리고 Eulipides와 Sophocles, 2조각)
- Paints에 대해(2개)
- 조각상 (1조각)
나중의 의견
듀리스의 작품을 알고 있던 후기 작가들 중에서 칭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키케로는 그에게 근면한 작가로서의 적절한 칭찬을 해주었다.[13] 플루타르크는 그의 작품을 사용했지만 그의 신뢰성에 대해 거듭 의심을 표시했다.[14] 할리카르나수스의 디오니시오스는 그의 스타일을 폄하하는 말을 한다.[15] Photius는 그의 작품의 배열을 완전히 잘못된 것으로 여긴다.[16] 에포루스 같은 최근 전임자들과는 대조적으로 듀리스는 사실 보도보다 오락과 흥분을 더 중요시하는 "비극적 역사"[17]의 새로운 패션의 모범이 되었다. 플루타르크의 "페리클레스의 삶"에서 대표적인 예가 페리클레스가 이끄는 아테네 군대가 섬을 진압했을 때 사모스의 잔인함과 광범위한 파괴에 대한 두리스의 정교한 (그리고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과장된) 묘사다.[18]
최근의 비평가들은 듀리스가 테오프라스토스의 제자였다고 믿으면서, '비극적인 역사'가 페리파티틱스 학교의[19] 가르침에 동의한다는 것을 증명하거나, 혹은 그가 추정하는 스승들과 다른 노선을 취하는 두리스의 동기를 분석하려고 시도했다.[20] 그 토론은 필연적으로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21]
참조
- ^ 플루타르크, 알키비아데스의 생애 32
- ^ Pausanias, Guide to Grees 6.13.5.
-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8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11. .
- ^ a b Hazel, John (2000). Who's who in the Greek world. London: Routledge. ISBN 0203159713. OCLC 49414903.
- ^ 아테나에우스, 데이프노소피스트 4.128
- ^ 아테나에우스, 데이프노소피스트, 제4권.
- ^ 예: 바론(1962년), 브링크(1960년), 케브릭(1974년), (1977년), 헤이즐(1999년)만큼 늦었지만 J. G. Frazer (Pausanias의 그리스 설명 제4권 [1898] 페이지 41년), 폰 알브레히트(1975)가 아니다.
- ^ 달비(1991년).
- ^ 아테나에우스 128a; 린체스는 또한 아테나에우스 100e와 수다 s.v. 린케우스의 테오프라스토스의 학생으로도 이름이 지어진다.
- ^ 아테나이우스 337d; 수다 에스브이 린케우스.
- ^ a b C. 뮐러, 파르탈라 히스토리오룸 그라코룸 제2권 (파리, 1848) 페이지 466–488. [그리스어, 라틴어 번역 및 해설]
- ^ a b F. Jacoby, Die Pragmente der Griechischen Historyker vol. 2A 페이지 1136–1158 [그리스어 텍스트]; vol. 2C 페이지 115–131 [독일어 주석]
- ^ 키케로, 애티커스 6.1.
- ^ 플루타르크, 알키비아데스의 삶 32, 데모스테네스의 삶 23, 플루타르크, 에우메네스의 삶 1.
- ^ 디오니시오스 온 컴포지션 4번지
- ^ Photius, Library 176.
- ^ 마이클 그랜트, 고대사학자 (뉴욕,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 1970) 페이지 142.
- ^ 플루타르크, 라이프 오브 페리클레스 28.
- ^ 벼랑 끝(1960), 옥인(1974), (1980).
- ^ 케브릭(1974년), (1977년), 월뱅크(1960년), 월뱅크스의 폴리비우스(Berkeley, 1972년) 페이지 35를 참조한다.
- ^ A. 레스키, 그리스 문학의 역사 (제2편, Eng. trans, London, 1966) 페이지 765; 달비 (1991)
참고 문헌 목록
조각의 에디션
- C. 뮐러, 파르탈라 히스토리오룸 그라코룸 제2권 (파리, 1848) 페이지 466–488. [그리스어, 라틴어 번역 및 해설]
- F. Jacoby, Die Pragmente der Griechischen Historyker vol. 2A 페이지 1136–1158 [그리스어 텍스트]; vol. 2C 페이지 115–131 [독일어 주석]
현대 장학금
- J. P. 바론, 고전 리뷰 새 시리즈 제12권 (1962) 페이지 189–192의 "사모스의 두리스의 횡포"
- C. O. 브링크, 케임브리지 언어학회의 절차서 제186권 (1960) 페이지 14–19에 수록된 "비극적 역사와 아리스토텔레스 학교.
- A. 달비, 고전 분기별 신작 시리즈 제41권 (1991) 페이지 539–541의 "사모스의 두리스 교육과정 비타에"
- R. B. 케브릭, 마케도니아의 그늘에서: 사모스의 두리스. 비즈바덴, 1977년
- R. B. 케브릭, 고전적 문헌학 제69권 (1974년) 페이지 286–287의 "아테네에서 두리스에 관한 노트"
- F. 란두치 가티노니, 듀리데 디 사모. 1997년 로마.
- L. 옥인, 사모스의 두리스에 관한 연구. 1974년 미시간 대학 논문.
- L. 옥인, 판헬레니차(Lawrence, Kansas, 1980년)의 "신화를 보는 헬레니즘 역사학자"
- P. 페데흐, 트로이스 역사학 메콘누스: 테오폼페, 듀리스, 피라르케 1989년 파리.
- E. Schwartz, Paly's Realencyclopédie der classischen Attumswisenschaft: Neue Bearbeitung (Stuttgart: J. B)의 "Duris(3)" Metzler, 1894-1980) vol. 5 pt 2 cols 1853-1856.
- F. W. 월뱅크, 역사학 제9권 (1960) 216-234페이지의 "역사와 비극"
- C. 남작, 타우로메니움 및 헬레니즘 역사학 (2012) 페이지 247–255.
기타 백과사전
- M. 폰 알브레히트, 더클레인 파울리 에드의 "두리스(1)" 콘라트 지글러, 발터 손티머(Munich: Artemis, 1975)
- D. Bowder, Who Was in the Great World(이타카, NY: Cornell UP, 1982년)의 "사모스의 두리스" 페이지 101–102.
- 컬럼비아 백과사전 제6편(2008)의 "사모스의 두리스"
- J. 헤이즐, J. 헤이즐의 "두리스(2)", Who's in the Great World (런던, 1999) 페이지 89.
- R. Schmitt, "사모스의 두리스" 이란 백과사전 OCLC 311688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