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사 맥더프
Dusa McDuff두사 맥더프 | |
---|---|
![]() | |
태어난 | 마거릿 두사 워딩턴 1945년 10월 18일 영국 런던 |
국적 | 영어 |
모교 | 에든버러 대학교 케임브리지 기튼 칼리지 |
배우자 | (m. 1968; div. 1978) (m. 1984) |
수상 | BMS 모닝 스피커[1] 새터상(1991) 왕립학회 회원 해당 에든버러 왕립학회 회원(2008) 국제수학자대회 연사 BMC 전체 의장 실베스터 메달(2018년) |
과학 경력 | |
필드 | 수학 |
기관 | 케임브리지 대학교 요크 대학교 워릭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고등연구연구소 스토니 브룩 대학교 바르나드 대학교 |
박사학위 자문위원 | 조지 A.리드[3] |
박사과정 학생 | 카트린 베하임 |
두사 맥더프 FRS CorrFRSE (Dusa McDuff FRS CorrFRSE, 1945년 10월 18일 출생)는 영국의 수학자로, 공감 기하학을 연구한다.그녀는 수학에서 루스 리틀 사터 상을 받은 첫 번째 수상자였고,[4] 노에더 강사로 있었으며, 왕립 학회의 펠로우였다.
조기생활과 교육
마거릿 두사 워딩턴은 1945년 10월 18일 영국 런던에서 에든버러 건축가 마거릿 저스틴 블랑코 화이트와 함께 아버지 콘래드 할 워딩턴의 둘째 부인으로 태어났다.[5]여동생은 인류학자 캐롤라인 험프리(Caroline Humphrey)이며, 아버지의 첫 결혼으로 큰형제인 C. 제이크 와딩턴(Jake Waddington)이 있다.그녀의 어머니는 유명한 페미니스트, 작가, 그리고 H. G. 웰스의 연인인 앰버 리브스의 딸이었다.맥더프는 그녀의 아버지가 에든버러 대학의 유전학 교수였던 스코틀랜드에서 자랐다.맥더프는 에든버러에 있는 세인트조지스 여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해당 남학생학교인 에든버러 아카데미에서보다 표준이 낮았지만, 맥더프에게는 유난히 훌륭한 수학 선생님이 있었다.[6]그녀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나는 항상 수학자가 되고 싶었고(농부의 아내가 되고 싶었던 11살 때와는 별개로), 직업을 갖게 될 것이라고 가정했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교육에 대해 한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고, 또 다시 진정한 어려움과 갈등을 겪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여자로서의 삶으로 직업의 요구를 회유하는 [7]것
스코틀랜드에 있는 남자친구와 함께 지내려고 캠브리지 대학에 장학금을 거절한 그녀는 에든버러 대학에 등록했다.[6]그녀는 1967년에 BSc Hons와 함께 졸업했고, 박사 과정 학생으로 캠브리지의 기튼 대학에 진학했다.여기, 수학자 조지 A의 지도 아래.리드, 맥더프는 기능 분석의 문제점에 대해 연구했어그녀는 폰 노이만 알헤브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여 2타입의1 무한히 많은 다른 요소들을 구성하였고, 이 작품을 수학 연보에 발표하였다.
1971년 박사학위를 마친 맥더프는 케임브리지에서 2년간 과학연구위원회 박사후 펠로우십에 임명되었다.그녀의 남편인 문학 번역가 데이비드 맥더프에 이어 그녀는 6개월간의 모스크바 방문을 위해 떠났다.그녀의 남편은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 이노켄티 아넨스키를 연구하고 있었다.맥더프는 특별한 계획이[8] 없었지만 수학적으로 그녀에게 유익한 방문으로 판명되었다.그곳에서 그녀는 수학에 대해 더 깊은 감상을 준 이스라엘 겔판드를 모스크바에서 만났다.[6][7]맥더프는 나중에 다음과 같이 썼다.
[그와의 협업]...계획되어 있지 않았다. 마침 그의 이름이 내가 이노델 사무실에서 양식을 작성해야 할 때 생각난 유일한 이름이었다.겔판드가 제일 먼저 내게 말한 것은 내가 무한히 많은 타입 II-sub-one 요인을 찾아냈다는 사실보다 내 남편이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 이노켄티 아넨스키를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에 훨씬 더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이었지만, 그는 계속해서 수학의 세계에 눈을 뜨게 되었다.푸시킨, 모차르트, 살리에리를 읽는 것이 리 그룹에 대해 배우거나 카르탄, 에일렌베르크 등을 읽는 것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훌륭한 교육이었다.겔판드는 수학에 대해 마치 시처럼 말해 나를 놀라게 했다.그는 한때 그가 암시할 수 밖에 없는, 그리고 그가 더 명확하게 꺼낼 수 없었던, 막연한 생각의 시작들을 담고 있다는 공식들로 가득 차 있는 긴 종이에 대해 말했다.나는 항상 수학이 훨씬 더 간단하다고 생각했었다: 공식은 공식이고 대수학은 대수학이다. 하지만 겔판드는 그의 스펙트럼 서열의 줄에 숨어있는 고슴도치를 발견했다!
캠브리지로 돌아오자 맥더프는 프랭크 아담스의 토폴로지 강의에 참석하기 시작했고 곧 요크 대학에서 강의하도록 초대되었다.1975년 그녀는 남편과 별거했고 1978년에 이혼했다.[5][9]요크 대학에서, 그녀는 Graeme Segal과 함께 일하면서 "본질적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8]를 썼다.이때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한 직책이 그녀를 위해 열렸으며, 방문 여성 수학자들을 위한 자리였다.수학자로서 그녀의 경력은 MIT에 있는 동안 더욱 발전했고, 곧 고등 연구소에 받아들여졌고, 그곳에서 그녀는 시걸과 함께 아티야-세갈 완성 정리 작업을 했다.그 후 그녀는 영국으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워릭 대학에서 강연을 시작했다.[10]
이 무렵 그녀는 당시 프린스턴 대학에 기반을 두고 있던 수학자 존 밀너를 만났다.그와 더 가까이 살기 위해 그녀는 스토니 브룩 대학에서 무능력한 조교수직을 맡았다.[8]이제 독립적인 수학자가 된 그녀는 차이점 유형과 분열을 위한 분류 공간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그녀는 그 이후로 공통 위상에 대해 연구해 왔다.1985년 봄, 맥더프는 파리의 하우테스 에투데스 사이언티픽스 연구소에 참석하여 미카엘 그로모프의 타원법 연구를 연구하였다.2007년부터, 그녀는 Barnard College에서 헬렌 리틀트 킴멜의 강좌를 열었다.
1984년 맥더프는 스토니 브룩 대학의 수학자인 존 밀너와 필즈 메달리스트, 울프상 수상자, 아벨상 수상자와 결혼했다.[5][9][11]
일과 연구
지난 30년 동안 McDuff는 공통 기하학 및 위상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그녀는 밀폐된 다지관에 있는 동족이지만 차이점이 없는 동족 형태에 대한 첫 번째 사례를 제시했고 프랑수아 랄롱드와 함께 완성된 이성적이고 지배적인 4마니폴드를 분류하기도 했다.[12]좀 더 최근에, 부분적으로는 수잔 톨먼과 협력하여,[13] 그녀는 해밀턴 토러스 작용 이론에 대한 동정적 위상의 방법의 응용을 연구했다.그녀는 또한 Felix Schlenk와 함께 4차원 공감 타원체들을 내장하는 일을 해왔는데,[14] 이것은 매우 흥미로운 숫자 이론적인 문제를 야기한다.또한 투영 평면의 블로업에서 J-홀로모픽 곡선의 결합체와 내장된 접촉 호몰로학에서 지수로 나타나는 숫자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9][11]카트린 웨어하임과 함께, 그녀는 공감 기하학에서 고전적인 증거의 기초적 엄격함에 도전했다.[15]
그녀는 디트마르 살라몬과 함께 '소셜렉틱 토폴로지[16] 소개'와 'J-홀로모르픽 커브'와 '소셜렉틱 위상' 두 권의 교과서를 공동 집필했다.[17][18]
명예와 인정
맥더프는 1991년 영국 왕립학회(1994년), 노에더 강사(1998년),[19] 미국 국립과학원(1999년)과 미국철학협회(2013년)의 회원이다.2008년에 그녀는 에든버러 왕립 협회의 해당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0]1998년 국제수학자대회(ICM)[21] 총강사, 1990년 국제수학자대회 초청연주자로 활동했다.[22]2012년에 그녀는 미국수학협회의 회원이 되었다.[23]1999년 런던수학협회의 상인 최초의 여성 하디 강사였다.[24]그녀는 또한 학계 유로파아 회원이며,[25] 2019년 수학 여성 협회 펠로우 반에 속해 있다.[26]
2010년, 그녀는 런던수학협회의 시니어 베르윅 상을 받았다.[27]2017년 그녀는 디트마르 살라몬, AMS 레로이 P와 공동으로 받았다. 스틸 수학적 박람회상.[28]2018년에 그녀는 왕립 협회의 실베스터 메달을 받았다.[29]
참조
- ^ "BMS Morning Speakers −2012". Retrieved 30 November 2012.
- ^ "BMC Plenary Speaker". Retrieved 30 November 2012.
- ^ 수학계보 프로젝트 두사 맥더프
- ^ "Browse Prizes and Award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Retrieved 6 November 2020.
- ^ a b c McDuff, Prof. (Margaret) Dusa. Who's who.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ww/9780199540884.013.U25578. ISBN 978-0-19-954088-4.
- ^ a b c "Biographies of Women Mathematicians: Dusa McDuff". Retrieved 5 December 2012.
- ^ a b "University of St. Andrews: Dusa McDu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September 2011. Retrieved 30 November 2012.
- ^ a b c "Dusa McDuff: Some Autobiographical Notes". Stony Brook University. Retrieved 5 December 2012.
- ^ a b c 도널드 J. 앨버스 & 제럴드 L. 알렉산더슨(2011) 매혹적인 수학자들: 인터뷰와 회고록, "두사 맥더프", 페이지 215–39,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691-14829-8
- ^ McDuff, Dusa. "Symplectic Structures – A New Approach to Geometry". Association of Women Mathematicians. Retrieved 5 December 2012.
- ^ a b L. 폴테로비치 "과학자에게 집중하라:두사 맥더프"
- ^ "Université de Montréal Département de mathématiques et de statistique: Lalonde, Francois". Université de MontréalDépartement de mathématiques et de statistique. Retrieved 5 December 2012.
- ^ "Susan Tolman". UIUC. Retrieved 5 December 2012.
- ^ "Felix Schlenk".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Retrieved 5 December 2012.
- ^ Hartnett, Kevin (9 February 2017), "A Fight to Fix Geometry's Foundations: When two mathematicians raised pointed questions about a classic proof that no one really understood, they ignited a years-long debate about how much could be trusted in a new kind of geometry", Quanta.
- ^ Oxford U. Press 2판 Simplexic Topology 소개
- ^ Eliashberg, Yakov (2007). "Review: J-holomorphic curves and symplectic topology by Dusa McDuff and Dietmar Salamon" (PDF). Bull. Amer. Math. Soc. (N.S.). 44 (2): 309–315. doi:10.1090/s0273-0979-06-01132-3.
- ^ Lalond, François (1996). "Review: J-holomorphic curves and quantum cohomology by Dusa McDuff and Dietmar Salamon" (PDF). Bull. Amer. Math. Soc. (N.S.). 33 (3): 385–394. doi:10.1090/S0273-0979-96-00668-4. J-홀로모픽 곡선 및 동시선택 위상은 1994년 책 J-홀로모픽 곡선과 양자 코호몰리를 크게 확장한 것이다.
- ^ "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Retrieved 17 March 2021.
- ^ "Professor Dusa Margaret McDuff FRS CorrFRSE FAAAS -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Retrieved 28 January 2018.
- ^ McDuff, Dusa (1998). "Fibrations in symplectic topology". Doc. Math. (Bielefeld) Extra Vol. ICM Berlin, 1998, vol. I. pp. 339–357.
- ^ McDuff, Dusa (1990). "Symplectic 4-manifolds". Proceedings of the ICM, 1990, Kyoto.
- ^ 2013년 2월 4일 회수된 미국수학협회의 동료 목록
- ^ "List of recent Hardy Lecturer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Retrieved 17 January 2018.
- ^ Member profile: Dusa McDuff, Academia Europaea, retrieved 22 September 2015.
- ^ 2019 Class of AWM Fellows, Association for Women in Mathematics, retrieved 8 January 2019
- ^ "List of LMS prize winner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Retrieved 17 January 2018.
- ^ AMS 레로이 P.스틸 수학적 박람회상
- ^ 실베스터 메달 2018
추가 읽기
외부 링크
- 아그네스 스콧 칼리지 여성 수학자의 전기 "두사 맥더프"
- 홈페이지 및 Vita – Dusa McDuff, Stony Brooks 수학부
- Centre International de Rencontres Mathématique에서 McDuff와 비디오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