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플랫 마이너

E-flat minor
E-플랫 마이너
{ \new Staff \with{ \magnifyStaff #3/2 } << \time 2/16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 \clef treble \key es \minor s16 \clef bass \key es \minor s16 } >> }
상대키G플랫장조
병렬키E-플랫장조
우성키B-플랫 단조
하위 도미니언트A-플랫 마이너
EnharmonicD-샤프 단조
구성 요소 피치
E, F, G, A, B, C, D

E-플랫 마이너(E-flat minor)는 E을 기준으로 한 마이너 스케일로, 투구 E♭, F, G♭, A♭, B♭, C♭, D로 구성된다.그것의 주요 서명은 6개의 플랫으로 이루어져 있다.상대 키G-플랫 장조(또는 무기명 F-sharp 장조)이며 병렬 키E-플랫 장조(E-flat major)이다.E-flat minor의 직접 조영학적 등가는 D-sharp minor로, 6개의 샤프(sharp)의 핵심 시그니처다.

E-플랫 자연 부차 척도는 다음과 같다.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clef treble \key es \minor \time 7/4 es4^\markup { Natural minor scale } f ges aes bes ces des es des ces bes aes ges f es2
  \clef bass \key es \minor
} }

음계의 멜로디 버전과 조화 버전에 필요한 변화는 필요에 따라 사고와 함께 기록된다.E-플랫 조화 부음멜로디 부음계는 다음과 같다.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clef treble \key es \minor \time 7/4
  es4^\markup { Harmonic minor scale } f ges aes bes ces d es d ces bes aes ges f es2
} }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clef treble \key es \minor \time 7/4
  es4^\markup { Melodic minor scale (ascending and descending) } f ges aes bes c d es des! ces! bes aes ges f es2
} }

E-플랫 단조 음악

24개의 카노닉 키에서 대부분의 작곡가들이 E-플랫 마이너를 선호했고, 바흐, 랴푸노프, 폰스는 D-샤프 마이너를 선호했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성질이 좋은 클라비어> 제1권에는 E플랫 단조로 전주곡 8번을, D-샤프 단조로 다음과 같은 푸가를 쓴다.제2권에서는 두 동작 모두 D-sharp 단조로 되어 있다.

하이든피아노 트리오 41번, H. XV.31 2악장은 '런던 트리오스'의 하나인 1794/95년에 작곡된 것으로 E플랫 마이너의 열쇠에 있다.[1]

베토벤E-플랫 장조(3플랫)의 핵심 서명을 받으면서도 사고를 가미하여 자신의 Septet Op. 20의 여섯 번째(마지막) 동작에서 느린 소개에 E-플랫 마이너를 적용했다.올리브 의 그의 오라토리오 그리스도 또한 이 열쇠에 들어 있지만, 완전한 육플랫 표식이 붙어 있다.

브람스클라비에르슈투케, Op. 118, No. 6의 마지막 작품은 E플랫 단조로 되어 있다.이 곡은, 이 열쇠의 많은 조각들과 마찬가지로, 어둡고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다이의 성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슈베르트는 E플랫 소령의 평행키인 E플랫 마이너에서 임프롬프투스 2번 D. 899를 끝냈고, Rhapsody 4번 Op. 119에서도 브람스가 끝냈다.슈만맨프레드 서곡은 E플랫 단조로 되어 있지만, 끈 부분은 사고와 함께 3플랫으로 쓰여 있다.쇼팽에뛰드 6번, Op. 10번, 폴로네즈 2번, Op. 26번, 그리고 E-flat 단조로 전주곡 14번, Op. 28번을 썼다.

차이코프스키1812년 서곡은 E플랫 장조로 확장된 도입부와 긴 코다로 액자화된 E플랫 단조로 된 소나타 형식이다.

자나체크피아노 소나타, 1. X 1905년, 그의 피아노로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E플랫 단조로 되어 있다.

알칸은 E-플랫 단조로 Symphony for Solo Piano의 마지막 악장을 작곡했다.

이 열쇠로 쓰인 몇 안 되는 교향곡 중 하나가 프로코피예프교향곡 6번인데, 이 세 악장 중 E플랫 단조로 끝나는 것은 하나도 없다.잘 알려지지 않은 몇몇 다른 작곡가들도 이 열쇠로 안드레이 에스파이야니스 이바노프스(4번 교향곡 신포니아 아틀란티다, 1941년), 오브친니코프, 니콜라이 마이스카프스키 등 교향곡을 작곡했다.아람 하차투리안은 마이스코프스키 밑에서 공부하면서 E플랫 단조로 토카타를 썼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5번째이자 마지막 현악 사중주를 작곡한 열쇠는 E플랫 마이너다.

그의 24개의 서곡, Op. 11번, 그리고 Op. 3번에서 나온 10번째 Mazurka의 전주곡 14번은 E-flat 단조로, 요하네스 브람스의 유일한 독립작 Scherzo, Op. 4번이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Elegie, Op. 3, 1번은 E-flat 단조로, 그의 에뛰드 타블로, Op. 39, 5번이다.

러일전쟁에서 러시아의 패전을 다룬 일리아 알렉세비치 샤트로프의 왈츠 '만주의 언덕에서'는 E플랫 단조로 쓰여 있다.언급했듯이 E-플랫 마이너는 러시아 작품에서 흔히 볼 수 있다."만주의 언덕에서"가 가장 눈에 띄는 예일 것이다.

구스타프 말러8번 교향곡 2부에 대한 확대 관현악 서론은 E플랫 단조로 베토벤의 유일한 오라토리오인 올리브 위의 그리스도에 대한 어두운 관현악 서론이 그러하다.

기타리스트 Yngwie Malmsteen은 E-flat 단조로 다수의 곡을 작곡했는데, 여기에는 전기 기타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스위트가 포함된다.

재즈 작곡 「테이크 파이브」도 이 열쇠에 있다.

참조

  • A. Morris, 2006년 3월 3일자 Bob's Poiety Magazine에 실린 "심포니, 숫자와 열쇠"
  1. ^ "Piano Trio in E-flat minor, Hob XV:31 (Haydn) – from CDA67757 – Hyperion Records – MP3 and Lossless downloads". www.hyperion-records.co.uk. Retrieved 2018-02-2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