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P. 테일러

E. P. Taylor
E. P. 테일러
태어난
에드워드 플런켓 테일러

(1901-01-29)1901년 1월 29일
캐나다 온타리오오타와
죽은1989년 5월 14일 (1989-05-14) (88세)
교육애쉬베리 칼리지
모교맥길 대학교
직업사업가, 자선가 및 경주마 소유자/양육자
로 알려져 있다.아르고스 주식회사, 윈드필드 농장, 북부 댄서
이사회 구성원아구스 주식회사, 캐나다 맥주회사, 매시 퍼거슨 주식회사, B.C. 포레스트 프로덕츠 주식회사, 도미니언 & 화학 주식회사, 허니 듀 주식회사, 온타리오 조키 클럽, 바하마 신탁 회사, 리포드 케이 개발 주식회사.
배우자
윈니프레드 손턴 듀가이드
(m.1927; 1982년 사망)
아이들.주디스, 루이즈, 찰스
상위 항목플런켓 부르치어 테일러
플로렌스 마기
수상우수 사육사 소버린상(1976, 1985년)
Eclipse Award for Excellent Breader (1977, 1983)
명예캐나다의 스포츠 명예의 전당 (1974년)
캐나다 레이싱 명예의 전당 빌더 (1976년)
E. P. 테일러 스테이크
우드바인 경마장의 E. P. 테일러 잔디 코스
키넬랜드 마크 오브 디펜셔스 (1982년)
미국 레이싱 명예의 전당 잔디 기둥(2014년)

에드워드 플런켓 테일러(Edward Flunket Taylor, 1901년 1월 29일 ~ 1989년 5월 14일)는 캐나다의 재계 거물, 투자자, 자선가였다. 그는 Therverbred 경주마의 유명한 사육자였고, 캐나다 경마 산업의 진화를 이끈 주요 세력이었다. 친구들에게 "에디"로 알려진 그는 거의 보편적으로 "E. P. Taylor"로 기록되어 있다.

초년

테일러는 플런켓 부르치에 테일러와 플로렌스 마제 테일러의 첫째 아이였다.[1] 테일러는 애쉬베리 칼리지와 오타와 콜리지아테를 다녔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의 아버지는 입대했고 가족은 영국 런던으로 이주했다. 테일러가 영국 육군에 입대하려고 여러 번 시도한 후, 그의 아버지는 그를 오타와로 돌려보내 부유한 오타와 사업가였던 그의 할아버지 찰스 마지와 함께 살게 했다. 마지와 함께 보낸 시간은 테일러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는데, 테일러는 마제처럼 사업에 성공하고 싶다고 결심했다.[2] 1918년 테일러는 맥길 대학에 다니기 위해 몬트리올으로 이주하여, 그의 길을 걷기 위해 파트타임으로 일해야 했다.[3] 그 해 가을, 스페인 독감이 유행하는 동안 맥길이가 문을 닫았을 때 테일러의 연구는 중단되었다. 다음 겨울로 돌아온 테일러는 1922년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4]

맥길에서 공부하는 동안, 테일러는 빵의 양쪽을 동시에 갈색으로 만드는 전기 토스터 디자인에 특허를 얻었다. 그 때 토스터들은 빵의 한쪽 면만 구웠다. 테일러는 이 특허를 모든 토스터의 로열티 40센트에 몬트리올의 토마스 데이비드슨 제조회사에 팔았다.[5] 테일러는 대학 시절 자신이 경영과 경제에 더 관심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공학을 추구하고 싶지 않다고 결정했다.[6] 졸업 후 테일러는 오타와로 돌아왔고, 그곳에서 그와 로리 하트는 웨스트보로와 오타와 사이의 2량 버스 노선을 운행했다.[7] 테일러와 하트는 1년 만에 버스 노선을 매각했고, 테일러는 아버지가 일했던 맥레오드 영과 위어(현 스코티아 맥레오드)의 투자중개회사에 입사했다.[8]

1926년, 테일러는 Chaudieer Golf Club에서 열린 사교 행사에서 위니프레드 듀가드를 만났다. 그들은 1927년 6월 15일 오타와에 있는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에서 결혼하여 플라시드 호수에 신혼여행을 갔으며, 오타와 로리에 에비뉴에 있는 스트라스코나 아파트의 첫 거주지에 정착했다.[9]

비즈니스

테일러의 할아버지 찰스 마기는 오타와에서 양조, 건재, 운송에 관심을 가진 성공한 사업가였다.[10] 마기는 1918년 가업을 형과 딸 캐리, 테일러의 어머니에게 맡기고 세상을 떠났다. 1923년 테일러는 아버지가 사장으로 있던 가업 중 하나인 브레이딩 맥주의 이사가 되었다.[11] 증권 판매와 양조업의 측면에서, 테일러는 1923년에 레드라인 택시 회사를 조직했다. 버스 노선처럼 1년 만에 팔렸다. 이것은 테일러가 따를 사업 패턴을 확립하여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발전시킨 다음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들을 사도록 설득했다.[12] 테일러는 맥리드, 영, 위어와 함께 남아서 1928년에 파트너가 되었다.[13] 1928년 테일러와 위니프레드는 토론토로 이주하여 유니버시티 애버뉴에 아파트를 얻어 메트로폴리탄 빌딩의 맥리어드, 영, 위어 사무실과 편리하게 가까워졌다.

1920년대에 브레이드 맥주는 금주법에 의해 제한되었다. 온타리오에서 운영되는 동안 퀘벡에만 팔릴 수 있었다.[14] 이것은 온타리오 주의 보수당 정부가 금지를 끝냈던 1927년에 바뀌었다. 테일러의 제안으로 회사는 "자본을 거래"하고 공장을 다시 지으면서 현대화하고 용량을 50% [15]늘렸다. 테일러는 온타리오에서 양조업을 공부했다. 1928년에는 37개의 양조장이 있었다. 그들은 수용력 이하로 운영되었고 많은 사람들은 현대화가 필요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수익이 나지 않았고 2,400만 달러의 자산으로 1200만 달러의 매출만 올렸다.[16] 퀘벡은 세 개의 양조장이 지배하고 있었다. 그 중 하나인 국립 양조장이 제1차 세계대전 전에 운영했던 14개의 양조장을 통합했다. 테일러는 브레이딩의 이사회에도 비슷한 전략을 제안했다: 온타리오의 성공적인 양조장을 인수 합병하고, 온타리오에서 판매되는 맥주의 약 70%를 인수하여 다른 양조장을 인수하고 폐쇄하는 것이다.[17]

1929년의 주식시장 폭락은 테일러에게 두 가지 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한편으로, 인수 사업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테일러가 브레이딩 맥주의 인수 지분만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것은 테일러가 자유롭게 양조장 인수 계획을 추진할 수 있게 했다. 테일러는 같은 시기에 캐나다 양조장에 투자하는 데 관심이 있는 영국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던 클라크 제니슨을 우연히 만났고 50만 달러의 투자금을 가지고 있었다.[18] 두 회사는 온타리오주 브루잉 코퍼레이션(Brading)과 쿤츠 양조장과 영국의 지분을 합병해 공동주식과 우선주를 합병했다.[19] 또 다른 회사인 Canadian Brewge Corporation Limited도 온타리오에서 양조장을 인수하기 시작했다. 테일러는 그 회사에 접근하여 1930년에 성공적으로 합병 협상을 했다. 이후 1930년 테일러는 도미니언은행이 다수 소유하게 된 칼링맥주를 연 10만 달러에 60만 달러의 상환금으로 인수하는 데 성공했다.[19] 전체적으로, 테일러는 20개 이상의 다른 소규모 양조장을 캐나다 브루어리에 합병했고, 이 양조 회사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양조 회사로 성장했다. 테일러는 결국 지주회사의 운영권을 얻게 될 것이다.[19]

테일러는 자신의 통합 접근법을 "다른 종이 조각들을 위한 종이 조각들을 거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때때로, 그는 너무 현금이 부족해서, 전설은 그가 급여를 맞추기 위해 몬트리올과 토론토에 있는 두 개의 은행 계좌 사이를 왔다 갔다 하도록 했다. 그는 나중에 그것을 "재정이 정신없이 바쁜 시기"라고 회상했다. 그의 유동성 상황은 금지가 끝난 후 완화되었다. 1934년 이후, 테일러는 양조 판매와 마케팅을 존경할 만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변화를 시행했고, 구두닦이들에게 팔아 이득을 본 구식 '달리기사'들을 해고하고, 그들을 지역 사회 지도자들이 되도록 장려된 판매원으로 대체했다. 그는 또한 100개가 넘는 브랜드들의 수를 단지 6개로 통합했다.[20]

테일러는 금주 기간 동안 청량음료로 다변화했던 브루어스의 인수를 통해 청량음료 산업에 뛰어들게 되었다. 처음에는 청량음료를 스핀오프할 수 없었던 테일러는 우선 청량음료를 판매에 적합한 사업체로 만드는 데 힘썼다. 테일러는 캐나다 오렌지크러쉬사의 지배권을 매입한 뒤 자회사인 허니듀를 인수했다. 허니 듀는 여러 소매점을 갖고 있었는데, 테일러는 이를 리시브하고 이전하여 수익성을 높였다. 이것은 1950년까지 100개 이상의 점포를 포함하는 그의 "식품 제국"의 핵심을 형성했다(도미니언 식료품점에 대한 그의 이후의 관심은 포함하지 않는다). Taylor는 Honey Dew를 별개의 회사로 분리시켰고, 나중에 Canadian Food Products가 되었다.[2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테일러는 캐나다 정부의 전쟁 노력에 자원봉사를 했다. 는 C.D.에 의해 임명되었다. 군수물자부 장관인 하우는 군수품부 집행위원회에 임명되었고 윈스턴 처칠이 북아메리카에서 영국 공급 위원회를 운영하도록 임명할 것이다. 그는 1940년 12월 대서양을 건너던 중 자신이 타고 있던 배가 어뢰에 맞아 목숨을 잃을 뻔했다. 당시는 침몰사고 생존자를 구조하기 위해 호송차들이 멈추지 않을 정도의 규정이었다. 하우와 빌 우드워드 등 테일러 등은 호송차량을 잃은 상선에 의해 구조됐다. 구축함 한 척이 나타나 그들을 구할 수 있도록 허락을 해 주었고, 어떤 잠수함도 막아낼 수 있도록 구조를 빙빙 돌았다.[21]

1941년 테일러는 맥켄지 킹과 충돌했는데, 맥켄지 킹은 전시 맥주 음주와 광고의 축소를 요구했었다. 테일러는 오타와 저널에 이 입장을 "영국이 아니므로 비민주적"이라고 칭하는 편지를 보냈다.[20]

그의 전시 근무를 통해, 테일러는 캐나다 전역과 전 세계의 최고 기업가와 연결되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그는 아르고스 코퍼레이션을 설립하여 캐나다 브루어리의 주식을 새 법인에 굴려 투자 회사의 대주주가 되었다. 수년간 그는 캐나다 식품, 매시-해리스, 스탠더드 케미칼, 도미니언 스토어, 브리티시 컬럼비아산림 유한회사, 도미니언 타르&케미칼, 스탠더드 방송, 홀린저 광산 등 여러 나라의 대기업에서 지배권을 얻거나 상당한 지위를 차지했다. 그의 생애 최고의 전성기 동안, 그는 캐나다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1950년 테일러는 캐나다 산업에서 자신의 위치에 대해 "나는 단지 가장 큰 조각 중 가장 큰 조각을 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클레인 매거진에 따르면 그는 당시 아르고스사의 보통주 5/17을 소유하고 있어 회사를 효과적으로 장악할 수 있었다. 이에 아르고스는 스탠더드 케미칼(자벡스, 고데리히 솔트 등)의 10분의 3을 소유하고 있었다. 스탠더드 케미칼은 도미니언 타르 앤 케미칼(Sifto Salt, Ace-Tex, Fiberglas 등)의 지분 9/20을 보유했다. 테일러는 일련의 소유주식을 통해 의결권 주식에 대한 개인적 관심이 약 4%[20]에 불과했음에도 도미니언 타르를 효과적으로 지배했다.

테일러는 매달 미국 양조회사의 클리블랜드 본사로 비행기를 타고 자신의 무질서한 사업 이익을 관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여행을 했다. 그곳에서 그는 뉴욕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아르고스의 원형 역할을 한 투자 회사인 아틀라스사플로이드 오들럼과 제휴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 후 그는 몬트리올을 여행하고 다시 토론토로 돌아가곤 했다. 그의 간부들은 15분 간격으로 회의가 예정되어 있는 등 빠른 속도로 보고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는 한때 천재는 자신의 가치보다 더 큰 문제라며 에너지, 판단력, 타인과 잘 지내는 능력을 중시했다.[20]

테일러는 또한 이국적인 장소에서 동성애 공동체의 개념을 개척했다. 그는 1959년에 매우 독점적인 리포드 케이 게이트 커뮤니티와 그것의 '리포드 케이 클럽'을 바하마프로비던스 섬에 설립했다. 리포드 케이 클럽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의 고향이다.

1948년 테일러와 동료 동문들이 맥길대 모교기금을 설립하여 모든 졸업생을 초청하여 매년 기부금을 내도록 하여 "자신을 살아 있는 기부금으로 삼았다"[22]고 한다.

1975년 아르고스 코퍼레이션은 파워 코퍼레이션의 인수 대상이 되었다. 테일러는 자신의 투표권이 없는 주식을 파워코퍼레이션에 매각하고 1년 동안 투표권을 보유해 아르구스 파트너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그 파트너들은 그들을 데려가지 않았다. 1976년 테일러는 아르고스 코퍼레이션에서 은퇴하여 의결권 지분 10%를 파워 코퍼레이션에 매각하였다.[23]

러버브레드 레이스

1918년 몬트리올 맥길 대학교의 학생 시절, 테일러는 블루 보닛츠 레이스웨이에서 철저한 경마 스포츠를 소개받았다. 1930년대에 사업가로써 그는 코스그레이브 스테이블을 설립하여 말을 경마하는데, 이것은 특히 1938년 브리더스 스테이크메이플 리프 스테이크의 우승자인 캐나다의 경마 명예의 전당 필리 모나 벨을 소유하고 경마했다.[24]

2차 세계대전 이후 테일러는 주인, 사육자, 조직자로서 경마에 꾸준히 더 관여하게 되었다. 후자 역할에서, 그는 그가 이전에 양조 산업을 변화시켰던 방식대로 1950년대에 온타리오 경주 현장을 변화시켰다. 그는 "우리 스포츠가 다른 분야에서의 진보를 따라가지 못했다"고 말한 바 있다. "우린 트랙이 너무 많았어... 우리의 후원은 떨어지고 있었고, 지갑도 낮고 나쁜 말도 많았으며, 퀘벡에서처럼 이곳에서 경주가 죽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들었다." 그는 14일간의 경주 회의로 각각 14개의 경주용 트랙을 운영하는 대신 토론토와 포트 에리에 산업을 집중시켰다. 1956년에는 "구" 우드바인(그 다음으로 그린우드 경마장으로 개칭)을 개보수하면서 토론토 외곽에 "신형" 우드바인 경마장을 열었다.[25] 뉴우드바인은 특히 테일러가 1973년 페니 체너리에게 사무국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마지막 출발을 하도록 설득하면서 세계적인 장소로 발전했다.[26] 테일러는 캐나다 조키 클럽의 창립자였으며, 미국 러버브레드 레이싱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25]

테일러와 그의 아내는 1950년대에 완두콩을 키우기 시작했다. 그는 처음으로 토론토에서 Windfields Farm이라는 이름의 부동산을 구입했다. 그 후 그는 오샤와에 있는 파크우드 스테이블을 인수했는데, 처음에는 국립 스터드로 이름을 바꾸었고, 나중에는 윈드필드 농장이라고 불렸다. 캐나다 사육주의 수준을 높이기로 결심한 테일러는 미국에서 여러 종마를 수입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캐나다와 빅토리아 파크 등 테일러에게 퀸즈 플레이트 4개 우승자를 내준 찹 찹이었다.[27]

테일러의 철저한 말 사육 작전은 노던 댄서를 배출했고, 노던 댄서는 1964년 켄터키 더비에서 우승한 최초의 캐나다 출신 말이 되었다. 그리고 나서 Northern Dancer는 거의 틀림없이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시어, 시어들이 되었고, 그의 시어들은 여전히 전세계적으로 이 품종에 대한 영향을 느끼고 있다. 1970년, 테일러는 돈으로 환산한 세계 최고의 말 사육사였다. 1973년 러버브레드 레이싱의 올해의 선수로 뽑혔고, 이듬해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선출되었다. 1977년과 1983년에 그는 북미에서 우수 사육사로 Eclipse Award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테일러의 말들은 퀸즈 플레이트 경주에서 15번 우승했고 9번 올해의 캐나다 말로 선정되었다.[24][25][28]

레지던스

2000년 윈드필드 부동산

윈드필드 에스테이트는 테일러의 본거지로 토론토노스요크에 있는 베이뷰 2489번가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현재 캐나다 영화 센터의 현장이 되었다. 25에이커(10ha)의 토지는 유산으로 보존되어 있다. 캐나다 로열 패밀리는 토론토를 방문했을 때 윈드필즈에 자주 머물렀다. 그곳에 머문 마지막 왕족들은 1974년과 1981년 여름의 여왕인 엘리자베스 여왕찰스 왕세자다이애나 왕세자비였다. 그곳에는 많은 하녀와 정원사 두 명, 그리고 저택에서 일하는 집 매니저 한 명이 있었다.

1963년 테일러는 따뜻한 기후와 그 상속세법을 이용하여 바하마로 이주했다. 그는 Lyford Cay라고 불리는 그가 건설한 게이티드 커뮤니티에 살았다. 그는 1989년 88세의 나이로 그곳에서 사망했다. 미국 대통령 존 F의 친구. 케네디, 1962년 12월, 대통령은 영국 수상 해롤드 맥밀런과 회담을 하는 동안 리포드 케이에 있는 테일러의 집에 머물렀다.[29][30]

그의 아들, 기자, 작가 찰스 P. B. 테일러는 9년간의 암 투병 끝에 1997년 62세로 세상을 떠났다.

레거시

테일러의 유산은 지역 사회 내에서 다양한 기여로 살아가고 있다.

  • E.P.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온타리오 미술관테일러 연구 도서관과 기록관은 1957년부터 1959년까지 토론토 미술관의 (당시) 회장으로 재임한 것을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북요크 지역에는 E.P.가 있다. 테일러 플레이스, 노인 거주지.
    • 또한 요크 밀즈 로드에는 인기 있는 가족 시설인 윈드필드 레스토랑과 아파트 한 쌍인 윈드필드 플레이스가 있다.
  • 그는 E.P라고 불리는 학생 센터더럼 칼리지/온타리오 대학 기술 연구소의 캠퍼스에 온타리오 주 오샤와에 그의 이름을 딴 펍을 가지고 있다. 테일러스 펍과 레스토랑.[31]
  • E.P. 테일러는 1996년 온타리오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2]
  • E. P. 1994년 문을 연 우드바인의 테일러 잔디 코스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훌륭한 코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3]

참조

  1. ^ 로머 1978, 페이지 19.
  2. ^ 로머 1978, 페이지 24.
  3. ^ 로머 1978, 페이지 25.
  4. ^ 로머 1978, 페이지 31.
  5. ^ 로머 1978, 페이지 27.
  6. ^ 로머 1978, 페이지 28.
  7. ^ Rohmer 1978, 페이지 31–32.
  8. ^ Rohmer 1978, 페이지 34–35.
  9. ^ Rohmer 1978, 페이지 37–39.
  10. ^ 로머 1978, 페이지 20.
  11. ^ 로머 1978, 페이지 34.
  12. ^ 로머 1978, 페이지 35.
  13. ^ 로머 1978, 페이지 46.
  14. ^ 로머 1978, 페이지 39.
  15. ^ 로머 1978, 페이지 41.
  16. ^ Rohmer 1978, 페이지 47-48.
  17. ^ Rohmer 1978, 페이지 48–19.
  18. ^ 로머 1978, 페이지 52.
  19. ^ a b c 로머 1978, 페이지 53.
  20. ^ a b c d e Berton, Pierre (March 1, 1950). "E. P. TAYLOR AND HIS EMPIRE Maclean's March 1, 1950". Maclean's The Complete Archive. Retrieved October 12, 2019.
  21. ^ 로머 1978, 페이지 17–18.
  22. ^ "Whoops!". myalumni.mcgill.ca.
  23. ^ 로머 1978 페이지 339.
  24. ^ a b "E. P. Taylor National Museum of Racing and Hall of Fame". www.racingmuseum.org. Retrieved October 27, 2019.
  25. ^ a b c "E.P. Taylor". Canadian Horse Racing Hall of Fame. Retrieved October 27, 2019.
  26. ^ "How Secretariat gave the Canadians something to remember for ever". Thoroughbred Racing Commentary. Retrieved October 27, 2019.
  27. ^ "Chop Chop". Canadian Horse Racing Hall of Fame. Retrieved October 27, 2019.
  28. ^ Hunter, Avalyn. "Northern Dancer (horse)". American Classic Pedigrees. Retrieved February 13, 2021.
  29. ^ https://news.google.com/newspapers?id=t3YyAAAAIBAJ&sjid=u-kFAAAAIBAJ&pg=894,941320&dq=lyford-cay+taylor&hl=en
  30. ^ "Reading Eagle - Google News Archive Search". news.google.com.
  31. ^ "Pub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 2014.
  32. ^ "E. P. Taylor". oshof.ca/. Retrieved September 23, 2014.
  33. ^ "Top-class turf: Woodbine's E.P. Taylor Course celebrates 20 years Topics: E.P. Taylor Turf Course, Woodbine, Canada, Canadian International". Thoroughbred Racing Commentary. Retrieved October 27, 2019.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