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W(WWE 브랜드)
ECW (WWE brand)![]() 브랜드 및 ECW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로고 | |
상품 종류 | 프로레슬링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
---|---|
주인님. | Wwe. |
생산자 | 폴 헤이먼 (2006) 빈스 맥마흔 (2006–2010) |
나라 | 미국 |
소개했다 | 2006년 5월 25일 |
중단됨 | 2010년 2월 16일 |
관련 브랜드 | 날것 스맥다운 NXT NXT UK 205 라이브 |
이전 소유자 | 폴 헤이먼 빈스 맥마흔 |
대사(들) | ECW 레전드 |
태그라인 | 새로운 품종이 출시되었다.[1] |
ECW는 미국 프로레슬링 프로모션 월드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의 브랜드로 2006년 5월 설립됐다가 2010년 2월 단종됐다. 브랜드는 WWE 로스터의 부문으로, 브랜드 연장이 시행되면 레슬링 선수가 매주 공연을 하도록 배정된다. ECW에 배정된 레슬러는 주로 브랜드의 주간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ECW에 출연했다. 이 브랜드는 WWE가 2003년에 인수한 자산인 전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 프로모션의 리런치로 설립되었다.
이 브랜드는 WWE의 첫 브랜드 확장 기간(2002~2011년) 후반기에만 운영됐으며, Raw, SmackDown과 함께 WWE의 3대 브랜드 중 하나였다. 이 브랜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외에도, ECW 레슬링 선수들은 이 브랜드와 공동 브랜드인 유료 관람 이벤트에 경쟁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ECW 레슬링 선수들도 브랜드 간 재능 교류 협약으로 가끔 Raw와 SmackDown TV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2010년 2월 브랜드가 해체되고, 2012년 WWE의 개발 영역인 NXT로 브랜드가 변경된 리얼리티 시리즈 NXT로 쇼가 대체되었다.
역사
2002년 초중반 당시 세계레슬링연맹(WWF)은 '브랜드 확장'이라는 과정을 거쳤다.[2] WWF는 두 개의 사실상의 레슬링 프로모션으로 나뉘었는데, 로스터, 줄거리, 권위 있는 인물들이 따로 있었다.[2] Raw와 SmackDown!은 각 부문을 주최하고, 부서에 이름을 붙이고, 본질적으로 서로 경쟁할 것이다. WWF가 세계선수권대회 레슬링(WCW)과 익스트림챔피언십 레슬링(ECW)을 구매한 결과 로스터와 챔피언십이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브랜드 연장은 지난 3월 25일 린다 맥마흔이 롤의 방송 도중 공개 발표했고 다음날 공식화됐다. WWE는 2003년에 ECW의 상표와 비디오 라이브러리에 대한 권리를 취득했다.[3]
ECW 상품의 엄청난 인기는 WWE가 2005년에 ECW 재결합 유료관람인 One Night Stand를 조직하게 만들었다.[3] 이 행사의 재정적이고 비판적인 성공은 WWE가 다음 해에 두 번째 원나잇 스탠드를 조직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ECW 제품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나면서 WWE는 프로모션 풀타임 부활 가능성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2006년 5월 25일 WWE는 SCI Fi(현 Syfy)에 관한 자체 쇼와 함께 Raw와 SmackDown에 합치되는 독립형 브랜드로서 ECW의 론칭을 발표했다.[4] 5월 29일 WWE는 2006년 브랜드 확장 초안을 열었다. 초안에는 ECW 창립자 폴 헤이먼이 새롭게 탄생한 ECW 브랜드에 대해 기존 Raw와 SmackDown 로스터로부터 총 2개의 초안 픽업을 받았다.[5][6] 드래프트 기간 동안 롭 밴 댐은 스맥다운에서 Raw와 Kurt Angle에서 드래프트되었다.
ECW 브랜드는 처음에 WWE의 다른 브랜드와 다르게 생산되었다. 텔레비전으로 중계되는 이벤트의 경우, 레슬링 링 자체는 매트 위에 ECW 로고와 빈 턴버클 커버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주요 링을 마주보는 카메라는 경기장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었다. 남자 연기자들은 '슈퍼스타'가 아닌 '엑스트레미스트'로, 여자 연기자들은 '디바'가 아닌 '빅센스'로 불렸다. 그러나 다른 브랜드의 동일한 포맷에 따라 브랜드가 꾸준히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카운트아웃, 실격 등 원래 프로모션 매치 규정과는 반대로 현재는 표준이 되었다. 이후 원래 프로모션의 규칙 집합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는 "극한 규칙"에 따라 경합되는 것으로 분류되었고, 지정될 때만 경기가 진행되었다.
전 ECW 소유주 폴 헤이먼은 디셈버에서 12월까지 방송 중 ECW 대표를 맡았고, 그 때 헤이먼은 WWE와의 방송 외 업무에서 모두 해임되었다.[7] 2006년 말 헤이먼이 떠난 후, 아르만도 에스트라다가 총책임자로 발표되었던 2007년 8월 14일까지 ECW의 권위자는 없었다. 2008년 6월 3일, 에스트라다는 테오도르 롱으로 대체되었다. ECW 2009년 4월 7일, 롱이 스맥다운으로 돌아와 제너럴 매니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이때부터 임시 총지배인은 6월 30일 방송분에서 전임 총지배인을 맡은 티파니로 이름을 올렸다.
2007년 10월 16일, 스맥다운과 ECW 브랜드 사이에 '재능교류'가 시작되어 각자의 재능이 어느 브랜드에나 등장할 수 있게 되었다.[8][9] 2008년 9월 8일 《Raw》와 《ECW》 브랜드 간에 각자의 재능이 어느 브랜드에나 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재능교류'가 시작되었다고 발표되었다. 2009년 WWE 드래프트에 이어 이 두 인재 교류는 모두 조용히 중단됐다.
2010년 2월 2일 빈스 맥마흔 WWE 회장은 ECW가 방송될 것이라고 발표하여 2월 16일 마지막 회를 방송할 예정이다.[10] 이 쇼의 마지막 경기는 에즈키엘 잭슨이 ECW 챔피언 크리스찬을 물리친 극한 룰 경기였다.[11]
ECW 브랜드가 영구적으로 해체되면서 ECW 로스터는 다른 브랜드에 배정되었다.[12] ECW 쇼는 리얼리티 시리즈 NXT로 대체되었으며,[10] 2012년 WWE의 개발 영역인 NXT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13]
선수권 대회
2006년 ECW가 제3의 브랜드로 부활하면서 ECW 월드헤비급 챔피언십이 재활성화되면서 유일한 브랜드 챔피언이 되려는 의도였다.[14] 이 브랜드는 이후 매년 열리는 WWE 드래프트를 통해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지만, 2010년 2월 16일 ECW 브랜드와 함께 ECW 챔피언십이 비활성화되었다.[15]
챔피언십 | 브랜드 타임 온 |
---|---|
ECW 챔피언십 | (2006년 6월 13일 – 2008년 1월 22일; 2008년 3월 30일 – 2008년 6월 23일; 2008년 6월 29일 – 2010년 2월 16일) |
WWE 챔피언십 | (2006년 6월 13일 – 2006년 7월 3일) |
WWE 미국 선수권 대회 | (2008년 6월 23일 – 2008년 7월 20일) |
WWE 태그팀 챔피언십 | (2007년 11월 13일 – 2008년 7월 20일) |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 (2008년 12월 13일 ~ 2009년 4월 5일) |
유료 이벤트
날짜 | 이벤트 | 장소 | 위치 | 메인 이벤트 |
---|---|---|---|---|
2006년 6월 11일 | 원 나이트 스탠드 | 해머스타인 볼룸 | 뉴욕, 뉴욕 | 존 시나 vs. 롭 밴 댐 |
2006년 12월 3일 | 12월 ~ 9일 |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 | 조지아 주 오거스타 | 빅쇼 vs. 바비 래슐리 vs. CM 펑크 vs. 하드코어 홀리 vs. 롭 밴 댐 vs. 테스트 |
참조
- ^ Williams III, Ed (2006-06-12). "An extreme awakening makes Cena snap".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2010-06-30.
The slogan for ECW is “The land of extreme”
- ^ a b Shields, Brian; Sullivan, Kevin (2009). WWE: History of WrestleMania. p. 55.
- ^ a b Shields, Brian; Sullivan, Kevin (2009). WWE: History of WrestleMania. p. 58.
- ^ "WWE brings ECW to Sci Fi Channel".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June 2, 2006.
- ^ Williams III, Ed (May 29, 2006). "Heyman gets Draft pick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February 23, 2008.
- ^ Williams III, Ed (May 29, 2006). "Will Triple H join the Mr.McMahon Kiss my Ass club".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February 23, 2008.
- ^ "Heyman out". Retrieved December 23, 2006.
- ^ "Partnership Forming?".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October 16, 2007. Retrieved October 25, 2007.
- ^ "Setting the night on fire".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October 16, 2007. Retrieved October 25, 2007.
- ^ a b Caldwell, James (February 4, 2010). "Caldwell's WWE Superstar TV Report 2/4: Complete coverage of Team Morrison vs. Team McIntyre six-man tag, awesome Bourne vs. Carlito match". Pro Wrestling Torch. Retrieved February 5, 2010.
- ^ "ECW Tue. Feb. 16, 2010". WWE. May 6, 2010. Retrieved August 29, 2020.
- ^ Adkins, Greg (February 8, 2010). "Raw's pit stomp".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February 9, 2010.
- ^ "WWE News: FCW name being phased out". Wrestling Observer. Retrieved August 14, 2012.
- ^ "Rob Van Dam's first ECW Championship reign".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Retrieved February 23, 2008.
- ^ Medalis, Kara A. (February 16, 2010). "Results:Dominant farewell".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0, 2010. Retrieved February 1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