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 매컬러치

Earl McCullouch
얼 매컬러치
refer to caption
얼 맥컬러치 C. 1968
25번
위치:와이드 리시버
개인정보
출생: (1946-01-10) 1946년 1월 10일 (76세)
텍사스 주 클라크스빌
경력정보
고등학교:롱비치 폴리테크닉
(캘리포니아 롱비치)
대학:USC
NFL 드래프트:1968 / 라운드: 1 / 선택: 24
경력사
경력 하이라이트 및 수상
경력 NFL 통계
수신:124
수신 야드:2,319
터치다운:19
플레이어 통계(NFL.com
얼 매컬러치
메달 기록
남자 육상
미국을 대표하는
팬아메리칸 게임
Gold medal – first place 1967년 위니펙 110m 허들
Gold medal – first place 1967년 위니펙 4×100m 계전기

R. 맥컬라우치(Earl R. McCullouch, 1946년 1월 10일 출생)는 은퇴한 미국 축구 와이드 리시버다. 맥컬러치는 1967년 7월부터 1969년 7월까지 110미터 남자 하이허들 스프린트의 세계 기록 보유자였다. 맥컬러치는 1967년과 1968년 서던캘리포니아대학 재학 당시 USC 트로이 축구팀(와이드 리시버)과 USC 트랙앤필드 팀(하이허들 120야드, 스프린트 110번 릴레이)의 멤버였다. 맥컬러치가 출발 다리를 달리던 USC 트랙 4×110야드 계주팀은 1967년 현재 계주 4×100m 계주가 보편적으로 경합되는 종목이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세계 기록을 세웠다.

고등학교 진로

맥컬러치는 롱비치 폴리테크닉 고등학교에 다녔다. 그는 18.1로 180야드 낮은 장애물에서 전국 고교 신기록(뉴욕 오션사이드오션사이드 고등학교의 돈 카스트로노보, 캘리포니아주 엔시노크레스피 카멜라이트 고등학교의 스티브 카미니티도 보유)과 동률을 이뤘다. 이 기록은 결코 깨지지 않았고 1974년 정규 고등학교 대회에서 이 행사는 중단되었다.[1] 1964년(패전 카미니티) CIF 캘리포니아주 대회에서 120야드 높이의 허들과 180개의 낮은 허들을 모두 쓸어담았다.[2]

1964년 McCullouch는 Helms Athletic Foundation에 의해 CIF(California Interscolastic Federation) Southern 구역에서 올해의 공동 육상 선수로 선정되었다.[3] 는 폴 윌슨과 함께 상을 받았다.[3]

대학진로

그 다음 그는 롱비치 시티 칼리지에서 지역사회 대학을 다녔고, 남캘리포니아 대학교로 편입하기 전에 축구를 했다.

McCullouch는 1967년 내셔널 챔피언십 팀의 일원이었던 Southern California 대학에서 대학 축구를 했다. 그는 졸업반 후 1968년 NFL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치른 USC 트로이잔 선수 5명 중 한 명이었다. 맥컬러치는 엘리트 스프린터 스피드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트랙과 축구장 양쪽에서 사용했다. 1967년과 1968년 시즌 동안 22번을 착용한 맥컬로치는 테일백 O. J. 심슨이 등장하는 공격형 USC 트로이 축구팀에서 와이드 리시버로 활약했다. 수비형 은폐는 매컬러치가 패스 루트에서 커버하고, 스프린터의 스피드로 패스 보완을 쫓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맥컬러치는 또한 1968년 헤이즈만 트로피 우승자 심슨에게 종종 브레이크 어웨이 플레이에 대한 다운필드 블로킹을 제공했다.

As a member of the USC Track & Field team, McCulloch was the NCAA 110 Yard High Hurdle champion in 1967 and 1968, the NCAA 60 yard indoor high hurdle champion in 1968, and was the lead leg sprinter of the USC NCAA 4 X 110 yard sprint relay team in 1967 and 1968 (the team also featured Simpson and future Olympian sprinter Lennox Miller). USC 트로이 스프린트 계주팀(McCuloch, Fred Kuller, Simpson, Lennox Miller – 순서상)은 1967년 6월 17일 유타주 프로보에서 열린 1967 NCAA 육상 선수권대회에서 4 X 110야드 스프린트 계주 세계기록(38.6초)을 세웠다. 미터법 거리 스프린트 세계 기록 시대에 이 세계 기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며 깨지지 않을 것 같다.

맥컬로는 1968년 4월호 트랙 앤드 필드 뉴스의 표지에 실렸다.[4]

직업 경력

세계 기록 보유자 및 장애물 국가 챔피언으로서, 맥컬러치는 올림픽 금메달 후보였다. 1968년 올림픽 시련은 전국선수권대회 일주일 후 준결승전을 개최했다. 그 곳에서 캠벨은 여러 개의 장애물을 쳐서 7위에서 형편없이 경기를 마쳤다. 마지막 올림픽 시련[5] 올림픽은 각각 9월과 10월에 축구 시즌으로 계획되었다. 그리고 올림픽은 영광을 의미했지만 올림픽 아마추어 시절에는 돈을 벌지 못했다. 맥컬러치는 그의 두 스포츠 중에서 힘든 선택을 했다. 그는 NFL 드래프트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윌리 데이븐포트는 계속해서 시련과 올림픽 모두에서 우승했다. 1년 후, 데이븐포트는 마침내 맥컬러치의 세계 기록을 깼다.

맥컬러치는 디트로이트 라이온즈1라운드 2선발(전체 24위)으로 드래프트했다. 올림픽 경주가 뒹굴 무렵 디트로이트는 이미 정규 시즌 5경기를 치렀고 중앙부 리그에서 선두 자리를 차지하려고 했다. 그 무렵, 맥컬러치는 이미 419야드를 그의 첫 NFL 경기에서 라이온스의 다른 1라운드 선발인 그렉 랜드리의 80야드 리셉션을 포함한 3개의 터치다운을 기록했다.[6] 그는 680야드를 받았고, 3번의 러싱 시도에서 13번, 터치다운 5번, 터치당 43야드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으며 1968년에 NFL 신인왕에 선정되었다. 1968년에서 1973년 사이 라이온즈에서 7시즌을 뛰었고, 1974년 뉴올리언스 세인츠와 함께 비생산적인 시즌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7]

참조

  1. ^ 국립 고등학교 기록부. nfhs.org
  2. ^ "California State Meet Results – 1915 to present". Hank Laws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6, 2014. Retrieved December 25, 2012.
  3. ^ a b Southern California High School Track & Field Record, 1965 Season (PDF), Helms Athletic Foundation, 1965, retrieved March 24, 2013
  4. ^ 지난 1968년 자료 2016년 3월 4일 웨이백 기계보관. Trackandfieldnews.com. 2015년 7월 17일 회수
  5.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ne 20, 2012. Retrieved September 15, 2018.{{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6. ^ "Detroit Lions at Dallas Cowboys - September 15th, 1968".
  7. ^ "Earl McCullouch Stats".

외부 링크


기록.
선행자 남자 110m 허들 세계 기록 보유자
1967년 7월 16일 — 1969년 7월 4일
성공자
스포츠 포지션
선행자 남자 110m 허들 베스트 연도 성과
1967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