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 그랜트(야구)
Eddie Grant (baseball)에디 그랜트 | |||||||||||||||||||||
---|---|---|---|---|---|---|---|---|---|---|---|---|---|---|---|---|---|---|---|---|---|
![]() | |||||||||||||||||||||
3루수 | |||||||||||||||||||||
출생:( 미국 매사추세츠주 프랭클린 | 1883년 5월 21일|||||||||||||||||||||
사망: 1918년 10월 5일 프랑스 아르곤느 숲 | (35세)|||||||||||||||||||||
배팅: 왼쪽 던짐: 오른쪽 | |||||||||||||||||||||
MLB 데뷔전 | |||||||||||||||||||||
1905년 8월 4일 클리블랜드 냅스 선수 | |||||||||||||||||||||
마지막 MLB 출연 | |||||||||||||||||||||
1915년 10월 6일 뉴욕 자이언츠 선수 | |||||||||||||||||||||
MLB 통계 | |||||||||||||||||||||
타율 | .249 | ||||||||||||||||||||
조회수 | 844 | ||||||||||||||||||||
타점 | 277 | ||||||||||||||||||||
도루 | 153 | ||||||||||||||||||||
팀 | |||||||||||||||||||||
|
에드워드 레슬리 그랜트(Edward Leslie Grant, 1883년 5월 21일 ~ 1918년 10월 5일)[1]는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였다.1905년에서 1915년 사이에 3루수로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다.그랜트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사망한 몇 안 되는 메이저 리그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2]
전기
그랜트는 1883년 5월 21일 매사추세츠주 프랭클린에서 태어났다.1901년 고등학교를 마친 그랜트는 하버드 대학에 입학하기 전 프랭클린에 있는 딘 아카데미(현 딘 칼리지)에 1년 동안 다녔다(그는 '하버드 에디'[3]라는 별명을 얻었다).하버드에 있는 동안, 그랜트는 1학년 농구와 야구팀의 일원이었다.1903년 2학년 때 크림슨 팀에서 대학 농구를 했고, 그 다음 해 봄에 대학 야구를 하기로 결정되어 전 여름 프로 야구에서 뛸 자격이 없다고 선언되었다.[3]1905년에 하버드 대학교를, 1909년에 법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그랜트는 병든 냅 라조이의 긴급 교체 선수로 1905년 시즌 막바지에 클리블랜드 냅스와 함께 메이저 리그에 진출했다.[3]1906년 마이너리그에서 뛰었지만 1907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함께 메이저에 복귀했고 1908~1910년 필리스 선발 3루수로 활약했다.그랜트는 필리스의 리드오프를 치렀지만 방망이에 비해 야수와 도루로 더 잘 알려져 있다.그의 최고의 해는 1910년으로 타율 0.268, 67득점, 25개의 도루를 기록했다.[1]
1911년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된 그는 선발 출전 마지막 해인 0.223 타석에 그쳤다.그랜트는 1913년 시즌 중반 다시 뉴욕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어 유틸리티 내야수로 선수 생활을 마쳤다.그랜트는 1913년 월드시리즈의 두 경기에 출전했는데, 한 번은 대타로, 한 번은 대타로 나왔다.[3]그는 1915년 시즌을 마치고 은퇴했다.그의 생애 타율은 0.249이다.[1]
하버드 출신 때문인지 그랜트는 "알았어!"라고 외치며 플라이 볼을 부르기를 거부했다.대신 그는 문법적으로 더 옳다고 여기는 말, "내가 가지고 있어!"[4]라고만 말하곤 했다.
사후진료자
야구에서 은퇴하자마자 그랜트는 보스턴에서 법률을 개업했다.[3]
그랜트는 1917년 4월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을 때 가장 먼저 입대하는 사람 중 한 명이었으며, 77사단에서 대위로 복무했다.메우스-아르고네 공세의 치열한 전투 중에 그랜트의 상급 장교들이 모두 죽거나 부상을 입었고, 그는 나흘 동안 '잃어버린 대대'를 수색하며 자신의 부대를 지휘했다.수색 중에 폭발하는 포탄이 그랜트를 1918년 10월 5일에 죽였다.[2][5]그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한 최초의 메이저리그 선수였다.[6]그는 프랑스 로레인의 Meuse-Argonne 미국 묘지에 묻혔다.[7]
그랜트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군 복무 중 사망하거나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메이저리그 선수 8명 중 한 명이었다.다른 이들은 알렉스 버러드 해리 채프먼, 래리 채펠로 해리 글렌 홀리데이, 랄프 샤먼, 번 트로이였다.[8]
레거시
1921년 5월 30일 현충일에 군대와 야구, 그랜트의 자매들이 폴로 그라운드의 중앙 들판에 있는 기념비를 그의 기억에 공개했다.[9]1957년 마지막 자이언츠의 경기가 끝난 후 축하하는 동안, 누군가가 기념비에서 그 명판을 치웠다.[2]뉴욕시 경찰이 소유했던 뉴저지 주 호호쿠스 주택에서 재발견됐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전까지 40여 년 동안 실종됐다.[10]그러나 인터넷에 게시된 것으로 추정되는 명판의 사진은 2006년 현재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현 야구장에서 복제된 폴로 그라운드에서 사라진 명판처럼 보이지 않는다.[citation needed]
그랜트는 뉴욕 브롱스의 에드워드 그랜트 하이웨이와 딘 칼리지의 그랜트 필드에서 기념된다.[3]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Eddie Grant Career statistics". baseball-reference.com. Retrieved November 20, 2007.
- ^ a b c "The Great War Society: This Months Great Veteran". worldwar1.com. Retrieved November 20, 2007.
- ^ a b c d e f Simon, Tom, ed. (2004). Deadball Stars of the National League. Deadball Era Committee of the Society of American Baseball Research (1st ed.). Dulles, Virginia, United States of America: Brasseys. p. 367. ISBN 1-57488-860-9.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6, 2014. Retrieved July 15, 2013.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Captain 'Eddie' Grant Killed In France. Ex-Third Baseman of the Giants Slain in Attempt to Rescue 'Lost Battalion'". Associated Press in The New York Times. October 22, 1918. Retrieved July 24, 2009.
Captain Edward Grant, former third baseman of the New York National League Club, and attached...
- ^ 크랭크스, 로게스, 본헤드, 그리고 거물들의 출연진이 어떻게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해인 111쪽을 만들었는지, 캐이트 머피, 스미스소니언 북스, 하퍼 콜린스의 사단, 2007년 ISBN 978-06-088937-1에 의해.
- ^ 워싱턴 포스트
- ^ "World War I Deaths". Baseball's Greatest Sacrifice. Retrieved June 8, 2014.
- ^ 연합통신사"랜디스는 에디 그랜트에게 기념비를 헌납하는 것을 돕는다."가제트 타임즈.1921년 5월 31일.2018년 7월 3일 회수.
- ^ "Baseballogy 101". baseballreliquar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8, 2007. Retrieved November 20, 200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에디 그랜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야구 레퍼런스 또는 야구 레퍼런스(미네이터), BR 불펜, 플리커, 레트로시트, SABR 전기 프로젝트, 야구 연감, 야구 큐브 또는 데드볼 시대의 경력 통계 및 선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