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지시티
Edge city엣지 시티(Edge city)는 전통적인 도심지 또는 중심상업지구 바깥의 비즈니스, 쇼핑 및 오락의 집중을 위해 미국에서 유래된 용어로서, 이전에는 교외 거주 지역이나 시골 지역이었다. 이 용어는 1991년 책 '엣지 시티: 뉴 프론티어에서의 삶'에 의해 대중화되었는데, 그는 워싱턴 포스트의 기자로 일하면서 현재의 의미를 확립했다. 개러우는 가장자리 도시가 19세기 중심가와는 달리 20세기 도시 형태를 대표하는 전 세계 도시 성장의 표준 형태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지역에 대한 다른 용어로는 교외 활동 센터, 메가 센터, 교외 상권이 있다.[1] 이 지역들은 현재 많은 나라에서 발전해 왔다.
정의들
1991년에 Garreau는 어떤 장소가 가장 가까운 도시로 간주되도록 5가지 규칙을 제정했다.
- 500만 평방피트(465,000m²) 이상의 임대 가능한 사무실 공간 보유
- 60만 평방피트(56,000m²) 이상의 임대 가능한 소매 공간 보유
- 침실보다 더 많은 직업을 가지고 있다.
- 모집단에 의해 하나의 장소로 인식됨
- 30년 전만 해도 "도시"와 같은 것은 아니었다. 그렇다면 소 목초지는 아니더라도 침실뿐이었지요."[2]
대부분의 첨단 도시들은 기존 또는 계획된 고속도로 교차로 또는 근처에서 개발되며, 특히 주요 공항 근처에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중공업은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이들은 별도의 법적 실체는 아니지만 주변 국가의 일부로 통치되는 경우가 많다(중서부, 남부, 서부보다 동양에서 더 많다). 이 빌딩들은 미국에서 거의 200개 정도 되는데, 비슷한 크기의[3] 45개 시내에 비해, 자동차 규모로 지어졌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규모가 크다.
가장자리 도시 유형
Garreau는 가장자리 도시 현상의 세 가지 뚜렷한 변종을 확인했다.
- 붐버브(Boomburb) 또는 "붐머(Boomers)" –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워싱턴 D.C. 근처의 버지니아 타이슨(Tysons)과 같은 쇼핑몰이나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주변에서 증분하지만 빠르게 발전했다.[4]
- 그린필드 - 원래 신도시로 마스터플랜을 받았으며, 일반적으로 교외 프린지(예: 워싱턴 D.C. 인근 버지니아주 레스턴에 있는 레스턴 타운 센터)에 있다.[5]
- 업타운 – 워싱턴 D.C.에서 포토맥 강을 가로지르는 버지니아 알링턴과 같은 경제 활동의 주요 지역 중심지가 솟아 있는 오래된 도시, 마을 또는 위성 도시.[6]
추가적인 용어는 교외 상권, 주요 다변화된 중심지, 교외 중심지, 미니시티, 교외 활동 센터, 교외 활동 센터, 교외 도시, 은하 도시 하위 센터, 페퍼로니 피자 도시, 슈퍼버러비아, 테크노버러브, 핵, 디스큐브, 서비스 도시, 주변 도시, 주변 도시, 주변 도시, 주변 센터와 같은 가장자리 도시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 마을과 [7]교외 도시들
밀도 및 도시경관
공간적으로 보면, 가장자리 도시들은 주로 거대한 표면 주차장으로 둘러싸인 중층 오피스 타워(일부 초고층 빌딩)와 꼼꼼하게 매니큐어를 칠한 잔디밭으로 이루어져 있어 르 꼬르뷔제의 디자인을 거의 연상시킨다.[8] 전통적인 도로망 대신, 그들의 도로망은 계층적이며, 동맥 도로나 고속도로 램프에 공급되는 구불구불한 공원 통로(흔히 보도가 부족한 경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장자리 도시들은 뉴어크나 패서디나와 같은 곳에서 발견된 2차 도시들과 비슷한 직업 밀도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Garreau는 가장자리 도시의 발전이 "밀도가 돌아왔다!"[9]는 것을 증명한다고 쓰고 있다.
역사
Garreau는 어떻게 미국의 문맥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가 발전했는지 보여준다. 1950년대부터는 자동차 사용 증가와 중산층 거주자의 교외 이주 등으로 인해 교외에 지점을 개설하고 결국 전통적인 시내를 완전히 떠나도록 유도되어 도심 교통에 대한 좌절과 주차 부족을 초래하게 되었다. 도심 중심부의 토지 가치 상승, 통신(전화, 팩스, 이메일 및 기타 전자 통신)의 발달도 이러한 추세를 가능케 했다.[10]
1920년대의 초기 사례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소유가 급증한 1950년대에 이르러서야, 40년 동안 빠르고 꾸준한 성장을 거듭한 끝에, 에지 도시들이 대규모로 부상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무동력 교통수단이나 전차를 중심으로 개발된 사실상 모든 미국 중앙 상권(CBD)이나 2차 도심은 비교적 좁은 도로의 보행자 친화적인 격자무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외곽 도시들은 그 대신 보행자 적대적 동맥 도로 중심의 계층적 거리배열을 갖추고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Fedge 도시들 이 세대에 보이고 있지만 교통이 때때로 실버 라인 지하철 알링턴과 Tysons 가장자리 도시들과 다운 타운 워싱턴 DC를 연결하는 등 나중에 수 십년에 추가되었다 주변 대중 교통이나 walking,[10]으로 내리기가 어려운데, 런던에서 가장자리 도시 government-planned(카나리 워프)과 파리(라 Défe.nse) 출발부터 통합 환승.[11]
첫 번째 가장자리 도시는 디트로이트의 뉴 센터로, 시내에서 북쪽으로 5km 떨어진 1920년대에 디트로이트의 새로운 시내로 개발되었다.[12] 로스앤젤레스 윌셔 대로의 뉴 센터와 미라클 마일 구간은 가장 초기 자동차 중심 도시형식으로 꼽힌다.[13] 그러나 그 둘은 근본적으로 다른 목적을 염두에 두고 지어졌다(사무용 공원으로서의 뉴 센터, 소매상 스트립으로서의 미라클 마일). 개러우의 전형적인 첨단 도시의 예는 정보 기술 센터 타이슨, 버지니아, 워싱턴 DC 서쪽에 있다.[14]
미국 밖.
가로는 특히 캐나다, 멕시코, 호주, 파리, 런던, 카라치, 자카르타, 중국 톈진 등의 도시를 예로 들며 다른 나라에서도 어떻게 도시가 발전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런던과 파리의 경우 그는 이러한 최첨단 도시들이 어떻게 정부 계획과 통합 대중 교통을 통해 발전했는지에 주목한다.[11]
도시의 문제
이동성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주변에 계획되어 있는 에지 도시들은 이들 고속도로 중 하나가 건설되지 않으면 심각한 교통 문제를 겪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로스앤젤레스 서부 20세기 폭스 백라이트 지역에 건설된 1960년대 초창기 도시 센추리시티는 도시철도시스템과 비벌리힐스프리웨이를 통한 장기적 접근계획으로 건설됐다. 두 프로젝트 모두 결실을 맺지 못하여 각각 2마일(3km) 떨어진 센츄리시티와 기존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노면 도로에 엄청난 혼잡을 초래했다. 반세기 이상 지난 후, 퍼플 라인 지하철 연장은 마침내 철도 접근을 제공할 것이며, 센츄리 시티 역은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지속가능성
2003년까지만 해도 일부 비평가들은 그들의 한계 때문에 에지 도시들이 20세기 현상에 불과했던 것으로 밝혀질 수도 있다고 믿었다.[15] 주변 저밀도 주택지역의 거주자들은 (타이슨과 센츄리시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형 확장에 대해 격렬하게 저항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부 도로망이 심각하게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CBD를 특징짓는 전통적인 그리드 네트워크보다 밀도가 더 어렵다.2차 시내 그 결과, 에지 도시 범위의 중·고밀도 주택 건설은 "불가능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대부분이 자동차 규모로 지어졌기 때문에, "대중교통은 종종 그들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느꼈다. 가장 가까운 도시 내에서 보행자가 접근하고 순환하는 것은 거주지가 근처에 있더라도 불가능하지 않다면 비실용적이라고 인식되었다. 에지시티 활성화는 '21세기 주요 도시재생사업'으로 나타났다.
21세기의 가장자리 도시
밀도화
오늘날, 많은 첨단 도시들은 밀도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도보형 도심형 중심부를 중심으로, 종종 교통과 자전거로 접근성을 높이고, 외곽 도시형 근교의 주택의 증축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워싱턴 D.C. 메트로 지역의 타이슨에서는, 그 도시가 페어팩스 카운티의 중심지가 되는 것을 보기 위한 계획이 남아 있다.[16] 이를 위해 "…8개 구역을 구분해 신설되는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한 4개 구가 환승 중심의 개발 지구"라고 밝혔다.[16] 향후에도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교통 계획이 계속 추진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교통이 형성되면서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다. "개발의 75%가 일자리 20만개, 주민 10만여명이 거주하는 도심인 지하철역 반 마일 이내에서 가구당 일자리 4.0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16]
북아메리카 외곽
미국 경험의 교훈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인도, 아랍에미리트 등 급속한 개발 도상국에서는 자동차 소유가 급증하고 한계 토지가 개발을 위해 불도저화되면서 에지시티가 중요한 새로운 개발형태로 급부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 방갈로르 외곽은 많은 외국 회사들이 가게를 차린 넓은 주차장, 울창한 정원 속에 세워진 중층 거울로 장식된 유리 사무소 건물들로 점점 더 붐비고 있다. 두바이는 또 다른 예를 제시한다.
가장자리 도시의 영향
수도권과의 관계
최첨단의 도시의 등장은 그들이 에워싸고 있는 수도권에 아무런 결과도 없는 것은 아니었다. 에지시티는 대도시에서 인구 분산으로 생겨나 1960년대부터 지속되어 왔다. 대도시 지역의 사회경제학적 변화(임금 정체기에 부동산 가격 상승 포함), 대도시 공업지역 입지, 대도시와 그 보다 중심적인 이웃 간의 노동 경쟁 등이 이들의 발전과 지속적인 확장에 기인하고 있다. '일자리는 사람을 따르느냐, 사람은 일자리를 따르느냐'는 경제학자들의 논쟁이 적지 않았지만, 엣지시티 현상의 맥락에서 노동자들은 엣지시티 경제에 유리한 대도시 비즈니스 허브에서 끌어왔다. 첨단도시 개발업자들은 보다 밀집한 항구도시로부터 노동자들을 끌어내어 주변 이익으로부터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사업영역의 확장을 전략적으로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
엣지시티는 수도권 근로자를 유치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도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에지시티의 상승으로 인해 백화점, 호텔, 아파트, 사무공간이 더 많이 생겨나고 있다. 같은 규모의 도시보다 더 많은 첨단 도시가 있다. Garreau는 "오늘날, 우리는 부와 도시주의의 본질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수단을 우리 대부분이 2대에 걸쳐 살고 쇼핑한 곳으로 옮겼다"고 말한다. 그 때문에 엣지 시티가 부상하게 되었다."[7] 도시 중심지와의 비교에서, 도시 외곽 도시는 더 저렴한 토지, 보안, 효율적인 토지 통신, 첨단 기술 설치, 그리고 직원과 임원들에게 높은 삶의 질과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19] 첨단 도시의 매력은 대기업도 끌어들여 이미 성장하고 있는 도시를 활성화시킨다.
경제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이 개념은 국가 경제가 최첨단 도시와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 가르로를 통해, 엣지 시티라는 용어는 어떻게 기업 참여자들이 도시와 지역 서브셋의 강점에 중요한 위치를 유지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20] 가뢰는 에지시티가 국가 경제와 연계된 대규모 서비스 중심 산업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엣지 시티는 소매 시설과 소비자 서비스의 형태로 지역에 물자를 제공한다.[21] 기업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다른 서비스들이 최첨단 도시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기업 사무소는 도시 외곽에 있는 공간을 채우고, 해당 지역으로부터 의사결정이 내려질 경우 외부 장소에 대한 연결을 제공한다.[22] 기업, 서비스, 교통에 기반한 첨단 도시들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혁신에 의해 주도되는 첨단 도시들은 추가적인 대도시 연계를 창출할 것이다. 이러한 혁신 엣지 도시들은 호스트로서 다양한 기업 활동을 확장한다.[23] 엣지 도시는 정교한 소매, 오락 및 소비자 서비스 시설에서 상당한 성장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지역 고용 기회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23] 에지시티는 노동시장 내에서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해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엣지 시티는 주요 제조업 분야를 지탱할 뿐 아니라 서비스 중심 시장으로 유명한 경제에 잘 적합하다.
정치 관계
정치 단체들은 특별한 방법으로 가장자리 도시의 조성을 돕는다. 보통 개발 위원회나 이와 유사한 조직이 있어 표준 시·군·주정부 기관과 병행하여 운영되고 교류한다. 어떤 저자들은 그러한 위원회를 민간 "프로토 정부" 또는 "그림자 정부"라고 부른다. 저자인 펠프스와 디어(Dear)에 따르면, 이들 정부는 자신들의 지역사회에 세금을 부과하고, 입법하고, 감시할 수 있지만, 거의 책임이 없으며, 주로 (유권자의 수에 비해) 부에 반응하며, 헌법상의 제약이 거의 없다. "이들 도시에는 상당한 투자가 있었다"[24][25]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 '프라이버토피아'는 주택소유자 협회가 민간 주택 개발을 관리하는 가장 가까운 도시 주거 지역 내에 형성된다. 1964년에는 500개 미만의 협회가 있었지만, "1992년까지 약 3200만 명의 미국인을 개인적으로 통치하는 15만 개의 협회가 있었다."[25]
어느 도시와 마찬가지로, 가장 가까운 도시들도 성장과 재개발의 단계를 거친다. 엣지 시티 내의 정치는 전형적으로 그들을 발전시키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들은 미국의 도시화를 확산시키는 "성장 기계"에 기여한다.[26] 그들은 또한 재개발의 비슷한 단계를 거치고 있는 작은 정착촌들을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 정착지의 규모에 따라 도시정치의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국가 개입의 범위, 시기, 성격, 유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다른 장소와 한 장소에서 도시 정치의 방식을 현저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국가 개입은 개념적으로나 이 글의 경험적 문제에 있어서 중요하다."[26] 정부의 개입은 선진 도시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정치에 필수적이다. 버지니아주 타이슨은 군 당국의 적극적인 기업 채용으로 개발 과정을 거친 사례다.[26] 비슷한 개발방법이 다른 에지 도시에도 적용되고 볼 수 있다. 타이슨스는 향후 성장을 기약하며 기업을 모집했다. 더 많은 사업체들이 그 도시를 성장하게 했고 그 사업체들도 성장하게 되었다. 현대판 타이슨을 만든 연쇄반응이 일어났다. 이 공동체는 정치가 최첨단의 도시를 발전시키는데 역할을 하는 하나의 예였다. 이는 Fairfax 카운티 감독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설립된 특별 위원회로 추적할 수 있으며, Fairfax 카운티에서는 집단 소비 지출에서 부족하다고 인식되는 카운티(County of Fairfax 1976a)[26]의 재정 능력을 검토했다.
참고 항목
인용구
- ^ 던피 1999, 페이지 573.
- ^ 개러우 1991, 페이지 7.
- ^ "The Curious Comeback Of U.S. Downtowns - Newgeography.com". www.newgeography.com.
- ^ 개러 1991년, 페이지 114.
- ^ 개러 1991년, 페이지 116.
- ^ 개러 1991년, 페이지 113.
- ^ Jump up to: a b "Outside Every Metropolis You Will Find an Edge City". ThoughtCo. Retrieved 2018-04-03.
- ^ 개러 1991, 페이지 389.
- ^ 개러 1991, 37페이지.
- ^ Jump up to: a b 개러우 1991 페이지 105-113.
- ^ Jump up to: a b 개러우 1991, 235-238페이지.
- ^ 개러 1991, 페이지 99.
- ^ 개러우 1991, 261페이지.
- ^ 개러우 1991, 362-422페이지.
- ^ Lang & LeFurgy 2003.
- ^ Jump up to: a b c 펠프스 2012, 페이지 683.
- ^ Ding, Chendri; Bingham, Richard (July 1, 2000). "Beyond edge cities: Job centralization and urban sprawl". Urban Affairs Review. 35 (6): 838. CiteSeerX 10.1.1.1031.1666. doi:10.1177/10780870022184705. S2CID 16602915.
- ^ Henderson, Vernon; Mitra, Arindam (October 10, 1995). "The new urban landscape: Developers and edge cities". Regional Science and Economics. 26 (6): 613–643. doi:10.1016/S0166-0462(96)02136-9.
- ^ "Glossary: Edge City Urban Attributes - Andalusi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atributosurbanos.es. Retrieved 2018-04-06.
- ^ 맥키 & 맥키 2001, 페이지 171-172.
- ^ 맥키 & 맥키 2001, 페이지 177.
- ^ 맥키 & 맥키 2001, 페이지 180.
- ^ Jump up to: a b 맥키 & 맥키 2001, 페이지 183.
- ^ 펠프스 2012, 페이지 671.
- ^ Jump up to: a b 친애하는 2002, 페이지 17.
- ^ Jump up to: a b c d 펠프스 2012.
참조
- Dear, Michael J. (2002). "Los Angeles and the Chicago School: Invitation to a Debate". City & Community. 1 (1): 5–32. doi:10.1111/1540-6040.00002. S2CID 39246598.
- Dunphy, Robert T (1999). "Activity Centers". In Edwards, John D (ed.). Transportation Planning Handbook (2nd ed.). Washington, DC: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ISBN 9780935403336.
- Garreau, Joel (1991). Edge city : life on the new frontier (1st ed.). New York: Doubleday. ISBN 9780385262491. 1992년판 archive.org에서 이용 가능(무료 등록 필요).
- Lang, Robert E.; LeFurgy, Jennifer (2003). "Edgeless cities: Examining the Noncentered metropolis". Housing Policy Debate. 14 (3): 427–460. doi:10.1080/10511482.2003.9521482. S2CID 153746215.
- McKee, David L.; McKee, Yosra A. (2001). "Edge cities and the viability of metropolitan economies: contributions to flexibility and external linkages by new urban service environments".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60 (1): 171–184. doi:10.1111/1536-7150.00059.
- Phelps, Nicholas A. (2012). "The Growth Machine Stops? Urban Politics and the Making and Remaking of an Edge City". Urban Affairs Review. 48 (5): 670–700. doi:10.1177/1078087412440275. S2CID 145759247.
외부 링크
- 그 책의 검색 가능한 텍스트가 있는 Garreau의 웹사이트
- 존 매크로리, 더 에지 시티의 오류: 새로운 도시 형태인가 아니면 같은 오래된 메가폴리스인가?
- 조엘 개러우의 미래 도시 비전: 에드지어 시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