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스콜닉

Edward Scolnick
에드워드 스콜닉
모교
로 알려져 있다.RAS 경로 검색
과학 경력
기관

에드워드 스콜닉브로드 연구소의 핵심 조사관, 브로드 연구소 스탠리 정신 연구 센터의 전 설립 책임자, 머크 연구소연구 개발 책임자 등을 맡고 있다.

교육과 초기 경력

스콜닉은 196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BA를, 1965년 하버드 의대에서 MD를 취득했다.[1]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베트남 전쟁에 징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중 보건국에 가입했다.[2]스콜닉은 NIH의 국립암연구소에서 15년간 근무하면서 정상적인 세포가 종양세포로 알려진 공격적인 세포로 옮겨가는 중요한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RAS 종양 유전자를 발견했다.그의 연구는 암 생물학과 약물 발견의 기초로서 신호 경로를 차단하는 개념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citation needed]

머크

스콜닉은 1982년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에서 영입된 후 바이러스 및 세포생물학의 전무이사로 머크에 입사했다.그는 1985년부터 2002년 물러날 때까지 머크 연구소의 연구 책임자로 있었다.[3]머크에 있는 동안 그는 29개의 신약과 백신의 개발과 도입에 관여했다.[4]

그는 이 약이 심근경색의 위험성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시장에서 퇴출된 빅스의 개발과 마케팅의 핵심 인물이었다.[4]이에 따른 법적 청구로 인해 머크는 수십억의 손실을 입었다.미국에서 구할 수 있었던 5년 동안, 38,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Vioxx 사용과 관련이 있었고, 최대 2,500만 명의 미국인들이 이 약을 복용했다.[5]이어진 조사에서 머크가 이 약의 부작용에 대해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았고, 스콜닉은 바이엘의 셀레브렉스보다 먼저 이 약을 시장에 내놓기 위해 이들을 해임한 것으로 밝혀졌다.[6][7]

후기 경력

스콜닉은 2007년 브로드 연구소 스탠리 정신과학연구센터의 창립 이사로 시작했다.2012년에는 이사직에서 물러나 스티븐 하이먼의 뒤를 이어 스탠리 센터의 수석 과학자가 되었다.

그는 미국국립과학원의학연구소, 미국예술과학원(American Academy of Sciences and Sciences,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피츠버그 의과대학의 방문자 위원회에도 임명되었다.

MIT는 Edward M상을 수여한다.스콜닉은 그의 명예를 걸고 신경과학상을 수상했다.[8]

참조

  1. ^ "Boston and San Francisco based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Investment Firm - Clarus". www.clarusfunds.com.
  2. ^ "NCI Oral History Project, Interview with Edward Scolnick, M.D." (PDF). history.nih.gov. June 24, 1998. Retrieved 2017-05-19.
  3. ^ "Edward M. Scolnick, M.D., Steps Down as President of Merck Research Laboratories and Member of Board of Directors, Returns to Laboratories - Evaluate". www.evaluategroup.com.
  4. ^ a b "Will Merck Survive Vioxx? - November 1, 2004". archive.fortune.com.
  5. ^ "Vioxx - Uses, Side Effects, History and Market Withdrawal".
  6. ^ "Merck's Fall from Grace - The Scientist Magazine®". The Scientist.
  7. ^ Bowe, Christopher (20 June 2005). "Scolnick: retired but far from retiring" – via Financial Times.
  8. ^ "Edward M. Scolnick Prize in Neuroscience - McGovern Institute for Brain Research at MIT". mcgovern.mit.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