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피움 바바덴스

Gossypium barbadense
고시피움 바바덴스
Gossypium barbadense.jpg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클래드: 로시즈
순서: 말발레속
패밀리: 말바과
속: 고시피움
하위 게놈: G. subg. 카르파스
종:
G. 바바덴스
이항식 이름
고시피움 바바덴스
프란츠 외젠 쾰러의 식물 삽화, 1897년

고시피움 바바덴세(GOS-SIP-pee-um barba-DEN-see)는 여러 종류의 면화 중 하나이다. 그것은 말로우과에 속한다. 그것은 고대부터 재배되어 왔지만, 특히 긴 섬유질을 가진 형태가 1800년대에 개발된 이후 특히 귀하게 여겨졌다. 이 종과 연관된 다른 이름으로는 바다 섬, 이집트, 피마, 그리고 엑스트라스테이플(ELS) 면화가 있다.

이 종은 열대의 서리에 민감한 다년생으로 노란 꽃을 생산하고 검은 씨앗을 가지고 있다. 덤불이나 작은 나무로 자라며 유난히 길고 실키한 섬유로 목화를 생산한다.

G. 바바덴스는 에콰도르 남서부와 페루 북서부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중국, 이집트, 수단, 인도, 호주, 페루, 이스라엘, 미국 서남부,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G. 바바덴스는 전 세계 면화 생산량의 약 5%를 차지한다.

분류법과 어원

리나에우스고시피움 바바덴스, "바바도스에서 만난 코튼"을 묘사하여 인정을 받는다. 오늘날 이 이름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현대적 정의가 린네우스가 설명한 것과 일치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폴 A. 프리셀은 린네아우스의 시대에서 살아남은 증거가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그 이름이 정확하게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Y. I. 프로하노프와 G. K. 브리지키는 리나에우스가 지금 우리가 G. 바바덴스라고 부르는 종의 어떤 예도 실제로 본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1]

이 종은 말로우과, 말바과)의 일원이다.[note 1] 저자는 패밀리와 속과의 등급에 따라 다르지만, 최근 피복재학을 고려한 사례는 바이엘 외(1999년)이다.[2] 시스템에서 G. 바바덴스와 다른 코튼은 하위 가문인 말보이와 부족인 고사피에에에 속한다.[4] 고시피에 부족은 고시폴을 생산하는 코튼과 다른 종들을 포함한다.[5]

고시피움속은 코튼을 포괄한다. 속은 염색체 수로 나눌 수 있다. Subgenus Karpas는 52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4세트 13개). 이 하위 유전자는 G. barbadenseG. hirsutum 그리고 몇 개의 다른 신세계 오두막들을 포함한다. 이에 비해 상업적으로 중요한 구세계 공동체는 2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6] 고시피움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식물학자들은 52개의 염색체를 가진 코튼의 무리가 쇄골을 형성한다고 믿는다. 즉, G. 바바덴스, G. 히르수툼, 그리고 몇 가지 신대륙 면종이 같은 조상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7]

G. 바바덴스의 한 형태는 다양성으로 인식되었다. Var brasiliense는 그것의 씨앗들이 어느 정도 신장 모양의 덩어리로 융합되기 때문에 "키드니 씨 목화"라고 불린다.[7]

설명

G. barbadense는 다른 cotton들과 마찬가지로 그것의 첫해에 작은 덤불을 형성한다. 경작에서는 1년 단위로 취급한다. 허용하면 큰 덤불이나 심지어 키가 1~3m인 작은 나무로도 자랄 수 있다.[8] 잎의 길이는 대부분 8~20cm이며, 로브는 3-7개다.[8] G. barbadense와 보다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G. hirsutum의 한 가지 구별은 G. barbadense가 3~5개의 lobe를 가지고 있는 반면 G. hirsutum은 3개만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G. 바바덴스의 로브도 G. 히르수툼에 대한 ½과는 반대로 잎의 길이 ⅔ 정도로 더 깊게 절단된다.[9]

면화꽃은 꽃잎이 5개만 열리는 등 화려하다.[10] 꽃잎은 최대 8cm 길이로 보통 노란색이다.[8] 바다섬 경작지의 꽃잎은 전형적으로 크림색의 노란색 바탕에 붉은 반점이 있고, 시들면 장미빛으로 변한다. 만로과의 다른 구성원들과 마찬가지로 꽃에도 많은 수염이 있는데, 이 수염은 합쳐져서 스타일을 중심으로 원통을 형성한다.[5]

씨앗과 섬유질은 "bole"이라고 불리는 캡슐에서 형성된다. 각 볼은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각 볼은 5-8개의 씨앗을 생산한다.[11][note 2] 씨앗의 길이는 8-10mm이다.[8] [note 3]

수천 년의 경작에 의해 면화 식물의 섬유질이 극적으로 변화되었다. 야생 코튼은 섬유질이 거의 없어서 눈에 띄지 않을 수도 있다. 섬유질은 각 씨앗에서 나온다. 광섬유가 야생식물에 쓰는 목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가정용 코튼은 훨씬 더 많은 섬유질을 가지고 있다. 좀더 분명한 긴 섬유 외에도, 길들여진 목화 씨앗은 "linters"라고 불리는 짧은 섬유질을 가지고 있다. G.바바바덴스의 몇몇 품종들은 짧은 털을 너무 적게 가지고 있어서 종종 "빈털"이라고 불린다.[14] 그들은 또한 "퍼지 씨드" G. 히르수툼과 반대로 "매끈한 씨드"라고 불릴 수 있다.

모든 코튼과 마찬가지로, 볼은 성숙할 때 열리며, 섬유의 화려한 '눈덩이'를 드러낸다.[15]

이 화학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G. hirsutum의 일부 품종이 선택되었지만 모든 코튼에는 고시폴이 들어 있다. 이러한 품종은 해충에 더 취약하며, 이는 고시폴의 자연적인 목적이 해충을 막기 위한 것임을 시사한다. 농업에서 고시폴의 영향은 목화 식물이 비루민성 동물에게 독성을 갖게 한다는 것이다.[16]

에콰도르의 과야스 하구 부근의 작은 지역과 에콰도르의 만타 섬에서 야생 형태의 G. 바바덴스가 발견되었다.[17] 그것은 열대지방 전체에 걸쳐 다년생으로 자랄 수 있다. 그것은 서리에 민감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볼이 성숙할 수 있을 만큼 여름이 긴 지역에서 연간으로 성장할 수 있다.

역사

이 목화 종의 가축화의 첫 번째 분명한 징후는 에콰도르 연안의 Real Alto의 Early Valdivia 단계 유적지와 기원전 4200년에 만들어진 목화 볼이 발견된 페루 연안의 Ancon에서 왔다.

다른 설명에 따르면, Real Alto 면화는 기원전 3500~3000년(무정복 방사선탄소년)으로, 페루 안카시에 있는 가장 오래된 Cueva de Guitarrero는 기원전 8000년이라고 한다.[18]

기원전 1000년까지 페루의 목화 볼은 G. 바바덴스의 현대적인 품종과 구별할 수 없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남미 전역과 서인도 제도에서 면화를 널리 재배했는데, 그곳에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목화를 접하게 되었다. 세계 무역의 등장으로 인해 많은 종류의 식물들이 새로운 장소에 소개되었다. 면화의 경우 이러한 교류가 사방팔방에서 일어났고, 구세계에 대한 신세계, 신세계에 대한 구세계촌, 그리고 그들이 이전에 키워본 적이 없었던 곳에 대한 오두막들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같은 지역에서 여러 종류의 면화가 재배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이후 이들 지역의 대부분이 특정 종류의 면화를 전문으로 전환하여 오늘날의 특색 있는 시장 계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콜럼버스 당시 서인도 원주민들은 G. 바바덴스를 주거지 근처의 단일 식물인 두리아드 작물로 키웠다.[19]

영국의 식민지 개척자들은 서인도 제도에서 목화를 설립하여 서아프리카에서 수입된 노예 노동자들의 상업적 재배지 작물로 삼았다. 1650년대에 바베이도스는 영국과 유럽에 면화를 수출한 최초의 영국 서인도 식민지가 되었다.[20]

1700년대 후반에서 1800년대 초까지 G. 바바덴스는 서인도 제도에서 주요한 상업적 작물이었다.[21] 그 후로는 거의 사탕수수로 대체되었다. 1800년대 초반부터 서인도 제도에서 목화 생산이 매력적이었던 시기는 몇 차례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사탕수수 생산은 수익성이 더 높았다.[22]

스테이플 길이별 분류

면화 상인들은 면화섬유의 품질을 분류하기 위해 많은 시스템을 사용한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개별 섬유의 길이인 "staple length"이다. 전통적으로 고시피움 바바덴스의 품종은 "긴 줄" 범주에 속한다. 엑스트라 롱스태플(ELS)이라는 용어는 1907년에 처음 사용되었다. 국제 자문 위원회는 분류 표준화를 위한 시도로서, 장지갑은 1㎛(34.9mm) 이상으로, 장지갑은 1㎛~1.5/16인치(28.6~33.3mm)로 정의했다. 이 분류 체계 하에서, G. 바바덴스의 대부분의 품종은 장대 섬유를 생산하지만, 일부 품종은 장대 섬유를 생산한다.[23]

재배

G. 바바덴스는 현재 중국, 이집트, 수단, 인도, 호주, 페루, 이스라엘, 미국 서남부,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24] 이 종은 전 세계 면화 생산량의 약 5%를 차지한다.[25] 어떤 지역은 G. 바바덴스를 전문으로 한다. 한 가지 이유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면화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G. 바바덴스의 밭이 다른 종의 밭에 너무 가까우면, 그 결과는 일반적으로 섬유질의 질이 좋지 않다.[26]

G. 시장 등급별 조직된 바바덴스

면화의 상인들은 시장 계급이라고 불리는 몇 가지 광범위한 범주를 개발했다. 이러한 범주는 섬유질 특성과 그것들이 생산되는 지역에 기초한다. 미국에서는 일부 시장 계급이 법률로 공식화되었다.

씨아일랜드 면화

바다 섬은 역사적 시장 계급이다. 1790년부터[27] 1920년까지 활발하게 마케팅되었다.[28] 그것은 사우스 캐롤라이나, 조지아, 플로리다의 해안 근처의 섬에서 자랐다.[29] 한때는 중요한 시장급이었다. 유럽 시장에서는 미국 남북전쟁으로 인한 교역이 중단될 때까지 비슷한 성격의 코튼과 거의 경쟁하지 않았다.[30]

바다 섬의 기원

바다 섬 면화의 기원은 상당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계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다 섬에서 생산적일 수 있는 경운기를 개발하고, 다른 종류의 면과 구별되는 제품을 개발해야 했다.[31] 그것은 또한 최소한 일부 생산자와 소비자들에게 "바다 섬"이 유용한 범주라는 것에 동의할 것을 요구했다.

바다 섬에서 번성할 긴 섬유 면화의 발전을 설명하는 어려움 중 하나는 서인도 제도에서 온 목화인데, 서인도 제도에서는 재배된 면화가 모두 짧은 섬유였고 (오늘날의 기준으로는) 긴 생육기를 필요로 하는 지역이었다. 바다 섬에서는 적어도 잡종이나 선택 방법으로는 개발되지 못했는데, 서리가 식물을 씨앗을 생산할 기회를 가지기도 전에 죽었기 때문이다.[32]

한 가지 가능한 설명으로, 이러한 변화들은 성장기가 긴 지역에서 우연히 일어났고 그리고 나서 바다 섬들에 소개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S. G. Stephens는 G. 바바덴스를 짧은 거친 섬유와 긴 생육기를 가진 야생 형태G. 히르수툼으로 혼합하는 실험을 했지만 섬유는 괜찮았다. 그 결과 식물이 미세한 섬유질을 생산하는 것은 타당해 보였지만, 또한 섬유질이 길고 성장기가 짧다는 것을 알고는 놀랐다. 그리고 나서 그는 이것이 이러한 바람직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거의 전적으로 G. 바바덴스(G. barbadense)인 면화를 형성하기 위해 다소 쉽게 백브리드(내성 참조)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는 그러한 사건이 18세기에 우연히 일어났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오늘날 길고 미세한 섬유 G. 바바덴스가 생겨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사건이 바다 섬에서 일어날 수 없었던 만큼 바다 섬의 특색 있는 상품에 대해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32]

1785-1786년의 이상한 날씨는 바다 섬에서 생산적인 G. 바바덴스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조지아 주의 농장주들은 G. 바바덴스를 도입하려고 노력했지만, 그 식물들은 씨앗이나 섬유질을 생산하기 전에 서리로 인해 죽는다. 하지만, 1785-1786년의 겨울은 특히 온화했기 때문에, 몇몇 식물들은 씨앗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다음 세대의 식물은 겨울 전에 씨앗과 섬유질을 생산할 수 있었다.[33]

역사적 기록은 킨지 짐이 바다 섬과 연관되게 된 특히 질 좋은 면화를 개발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는 1800년대 첫 10년간 사우스캐롤라이나의 Barble's Island와 Johns Island에서 씨앗 선택을 통해 이것을 성취했다.[34] 바다 섬 지역은 이 고급 바바덴스를 전문으로 하여 미국 남동부의 나머지 지역과 갈라섰다. 한편, 미국 남동부 지역의 나머지 지역은 자체적인 시장 등급인 '업랜드'를 개발했다.

1803년까지 찰스턴 SC 시장은 바다 섬, 사우스 캐롤라이나 고지대, 서인도, 미시시피의 계급 차별성을 인정했다.[35]

씨아일랜드 면화라고 불리던 것은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의 해안을 따라 씨아일랜드에서 특히 18세기 후반에 경작되었다. 씨아일랜드 면화는 긴 스테이플(1.5~2.5인치, 35~60mm)과 부드러운 질감으로 인해 모든 면화 중에서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면화는 최고급 면화 수량에 사용되었고 종종 실크에 혼합되었다.

플랜터들이 조지아 고지에서 재배하려고 했지만 품질이 열악했고 [36]가공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다. 18세기 말 면진 발명은 상품 작물로서의 면화의 생산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그것은 단품 면화 가공의 수익을 창출했다. 이 목화는 상류면(Gossypium hirsutum)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륙 상류면에서도 성공적으로 재배될 수 있었다. 단발성 면화는 개발 도상 딥 사우스(Deep South)의 주요 상품 작물이 되었고, 킹 코튼(King Cotton)은 전대에 남부 부의 기본이 되었다. 21세기 초의 이 목화는 미국 생산의 약 95%를 차지한다.

북아메리카의 시아일랜드 면화의 초기 개척자 중에는 영국인인 프랜시스 레베트가 있었다. 다른 목화 플랜터들은 바베이도스에서 왔다. 미국 혁명이 발발하자 레베트는 조지아 농장을 떠나 바하마로 갔다. 그는 면화 생산을 도입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사탕수수는 더 중요한 상품 작물이었다.

바다섬 경운기

바다 섬의 개척자들은 매년 심을 씨앗을 살 수도 있고, 전년도에서 구한 씨앗을 심을 수도 있다. 명명된 품종은 특정 농장주들이 이식할 최고의 종자를 선정하는 것으로 명성을 얻었을 때 생겨났다. 농장주 윌리엄 시브룩의 이름을 딴 '시브룩'과 존 타운젠드가 관리하는 농장의 이름을 딴 '블락홀'이 대표적이다.[37] 20세기 초의 사건은 종자 선택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고의 종자 선발업체들은 서인도제도에서 일하는 농부들이 그들의 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은 심지어 이웃들에게까지 씨앗을 파는 것을 그만두었다. 이것은 바다 섬 지역 전체에 걸쳐 품질의 하락을 초래했다.[38]

바다 섬의 멸망

바다 섬은 미 남북전쟁의 파행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39] 20세기 초, 볼베일은 미국의 전통적인 면화 재배 지역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바다 섬 재배업자들은 특히 민감했다. 또한, 섬의 습한 환경은 토양 온도를 낮추고, 곤충을 더욱 선호한다.[40] 상업적 규모의 바다 섬 생산은 1920년에 끝났다.[28]


이집트의

이집트인은 이집트에서 자란 G. 바바덴스를 대표하는 시장급이다. 수단은 한 때 이집트의 일부였기 때문에 수단의 농작물도 포함한다. 이집트와 수단은 다양한 섬유질의 코튼을 생산하기 때문에 때때로 "이집트 롱스테이플"과 이집트 엑스트라 롱스테이플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시장 계급의 발전은 1820년에 주멜의 면화가 상업 생산에 들어가면서 시작되었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한동안 자라온 목화의 일종이었지만, 프랑스의 기술자 주멜은 카이로의 한 정원에서 장식용으로 자라는 것을 보고 섬유원의 잠재력을 인정하였다. 그 설명으로 미루어 볼 때, 그것은 신대륙에서 최근에 개발된 긴 섬유질의 G. 바바덴스일 가능성이 높다. 주멜 목화의 성공에 고무된 이집트인들은 바다 섬을 포함한 다른 씨앗들을 시험했다. 이집트의 다음 주요 품종인 "초기 애쉬무니"는 주멜과 바다 섬 사이의 잡종이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주요 품종인 "미트 아피피"는 초기 아슈무니와 바다 섬 사이의 잡종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더 많은 경운기들이 그 뒤를 따랐다.[41]

19세기 후반 이집트의 면화 생산은 관개 확장과 미국 내전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격히 성장했다. 이집트의 면화는 그 이후로 줄곧 중요했다.[41]

피마

피마는 미국 남서부에서 재배되는 면화에 자주 쓰이는 이름이다. 이 시장 등급은 G. 바바덴스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는 "아메리칸 이집트인"으로 알려졌지만, 결국 "피마"라는 이름이 더 유명해졌다. '피마'라는 명칭은 페루, 호주, 이스라엘 등지에서 자라는 초장기 주식 면화에도 적용돼 왔기 때문에 원산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아메리칸 피마'라는 명칭을 쓰기도 한다.[42] "American Pima"라는 이름은 1970년 미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43]

미국 피마 시장 계급은 미국 농부들이 "이집트 목화"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결과였다. 1900년경, 미국은 이집트를 제외한 모든 주요 시장 계층의 생산을 주도했다. 미국 농무부의 H. J. 웨버와 다른 사람들은 이집트 긴 줄기가 미국 남서부의 사막에서 관개되어 번성할 것이라고 믿었다. USDA를 대표하여 1902년 데이비드 페어차일드가 이집트를 방문하여 이집트 품종을 몇 마리 가지고 돌아왔다. 토마스 H. 키어니(Thomas H. Kearney)가 이끄는 USDA팀이 이들 품종 중 선발한 [note 4]뒤 10년간의 정제 끝에 미국 남서부에서 성공한 첫 품종을 출시했다. 이 품종은 개발되었던 실험장 근처의 애리조나 마을의 이름을 따서 "유마"라고 명명되었다. 키어니가 두 번째로 성공한 품종은 '피마'로, 이 품종이 개발된 실험장의 본거지인 질라강 피마 인디언 보호구역의 이름을 딴 것이다. 피마는 1918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 남서부의 관개지를 지배했는데, 이때 다른 품종이 더 인기를 끌게 되었다.[46]

피마라는 이름은 1900년대 초 애리조나에 있는 USDA 실험 농장의 목화 재배에 도움을 준 피마 인디언들을 기리기 위해 적용되었다.[47]

2005년 현재 미국 피마는 미국 면화 생산의 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주로 캘리포니아에서 자라며 서부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에서는 작은 에이커리가 자란다.[47]

탕구스

탕구이스는 세계 시장에서 아주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비교적 최근에 G. 바바덴스의 본거지인 페루의 지역 인구로부터 개발되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다른 현대 시장 등급에 비해 짧고 거친 광섬유를 생산하지만, 특정 산업 분야에 유용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48] 페루 면화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011년 약 80%).[49]

사용하다

대부분의 G. 바바덴스 생산은 특히 긴 섬유질을 생산하는 경운기로부터 이루어지며, 그 대부분은 옷으로 만들어진다. 가는 실에는 긴 섬유질이 필요하다. 이 얇은 실은 레이스나 나사산이 많은 천과 같은 중간 제품에 필요하다. 섬유질이 긴 품종도 섬유질이 특히 강한 경향이 있어 각종 공산품에도 유용하다. 역사적으로 G. 바바덴스는 자동차 타이어의 코드와 항공기 날개용 천에 사용되어 왔다.[45] 재봉틀 실에도 쓰인다.[50]

G. 바바덴스 섬유는 또한 섬유질이 최고의 품질의 재료의 명성보다 덜 중요한 일부 사치품에 사용된다.

때로는 시장 클래스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이름이 완성된 품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집트인"과 "피마"라는 이름의 명성은 낮은 품질의 섬유로 만들어진 품목에 의해 저하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의 피마 재배자 집단이 완제품의 수피마라는 이름을 세웠다. 이 재배자 그룹은 Supima 제품에 대한 품질 및 원산지 요구 사항을 강제할 수 있는 상표권을 가지고 있다.

탕구스 등 단품종 소량은 특화된 목적으로 재배된다.[51]

G. 바바덴스는 목화씨 기름과 동물 사료의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G. 바바덴스 씨앗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인 고시폴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종류의 면화를 선호한다.[52]

메모들

  1. ^ 말바과의 범위를 기술하는 데는 항상 문제가 있었다.[2] G. 바바덴스와 다른 코튼에 관해서, 이것은 때때로 그들을 말바덴과가 아닌 봄바카과의 가족에 놓이게 했다.[3]
  2. ^ 일부 역사적 기록은 G. 바바덴스를 "녹색-씨드" G. 히르수툼과 대조적으로 "검은-씨드"로 식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종류의 G. 히르수툼은 검은 씨앗을 가지고 있다.[12]
  3. ^ 그러나 버라이어티 브레이슬릿의 "키드니 씨 목화"에서는 각각의 씨앗 그룹이 어느 정도 신장 모양의 덩어리로 융합되어 있다.[13]
  4. ^ 어떤 이집트 컬티바가 아메리카 피마의 기초가 되었는지는 출처마다 다르다. 페어차일드는 얀노비치라고[44] 말했고 커른시는 미트 아피피라고 말했다.[45]

참조

  1.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64–66. ISBN 0-941711-73-0.
  2. ^ Jump up to: a b Weakley, Alan S. (May 21, 2015). Flora of the Southern and Mid-Atlantic States. Chapel Hill, North Carolin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Herbarium. p. 739. Retrieved Sep 15, 2020.
  3.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58. ISBN 0-941711-73-0.
  4.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740. ISBN 0-941711-73-0.
  5. ^ Jump up to: a b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58. ISBN 0-941711-73-0.
  6.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61. ISBN 0-941711-73-0.
  7. ^ Jump up to: a b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69. ISBN 0-941711-73-0.
  8. ^ Jump up to: a b c d "Gossypium barbadense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Kew Science". Plants of the World Online. Retrieved 2020-09-08.
  9.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43. ISBN 0-941711-73-0.
  10.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43–46. ISBN 0-941711-73-0.
  11.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49. ISBN 0-941711-73-0.
  12. ^ Stephens, S. G. (April 1976). "The origin of sea island cotton". Agricultural History. 50 (2): 393. Retrieved Sep 6, 2020.
  13.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62. ISBN 0-941711-73-0.
  14.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53–54. ISBN 0-941711-73-0.
  15.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53. ISBN 0-941711-73-0.
  16.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40. ISBN 0-941711-73-0.
  17.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73. ISBN 0-941711-73-0.
  18. ^ Damp, J. E.; Pearsall, D. M. (1994). "Early cotton from coastal Ecuador". Economic Botany. 48 (2): 163–165. doi:10.1007/BF02908209. S2CID 1047798.
  19.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75. ISBN 0-941711-73-0.
  20. ^ Sauer, J.D. (1993). Historical Geography of Crop Plants: a Select Roster. Boca Raton, Florida: CRC Press. ISBN 0-8493-8901-1.
  21.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76. ISBN 0-941711-73-0.
  22.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84. ISBN 0-941711-73-0.
  23.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56. ISBN 0-941711-73-0.
  24.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73–74. ISBN 0-941711-73-0.
  25.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88. ISBN 0-941711-73-0.
  26.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49. ISBN 0-941711-73-0.
  27.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314. ISBN 0-941711-73-0.
  28. ^ Jump up to: a b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332. ISBN 0-941711-73-0.
  29.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xvii. ISBN 0-941711-73-0.
  30.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334. ISBN 0-941711-73-0.
  31.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89. ISBN 0-941711-73-0.
  32. ^ Jump up to: a b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91–93. ISBN 0-941711-73-0.
  33.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93–95. ISBN 0-941711-73-0.
  34.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96. ISBN 0-941711-73-0.
  35. ^ Gray, L. C. (1933). History of agriculture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to 1860. 2. The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p. 718–719.
  36. ^ Ecroyd, S., ed. (1910). Cotton Year Book 1910. The Textile Mercury. pp. 12–13.
  37.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315. ISBN 0-941711-73-0.
  38.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105. ISBN 0-941711-73-0.
  39.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136. ISBN 0-941711-73-0.
  40.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291–292. ISBN 0-941711-73-0.
  41. ^ Jump up to: a b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82–83. ISBN 0-941711-73-0.
  42. ^ Estur, Gerald, ed. (2007). Cotton Exporter's Guide. Geneva: International Trade Centre, UNCTAD/ World Trade Organization. p. 215.
  43. ^ A Chronological Summary of Major Events in the Development of U. S. Cotton Standards (PD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Cotton Division. p. 43. Retrieved Aug 30, 2020.
  44. ^ Stone, Daniel (2018). The Food Explorer. New York: Dutton. p. 138. ISBN 9781101990582. LCCN 2017030324.
  45. ^ Jump up to: a b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85. ISBN 0-941711-73-0.
  46.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p. 84–87. ISBN 0-941711-73-0.
  47. ^ Jump up to: a b Womach, Jasper (2005). Agriculture: A Glossary of Terms, Programs, and Laws, 2005 Edition (PDF).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The Library of Congress. p. 9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5, 2012.
  48.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88. ISBN 0-941711-73-0.
  49. ^ Nolte, Gaspar E. (Apr 26, 2012). Peru Cotton Situation (PDF). Global Agricultural Information Network,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Retrieved Aug 30, 2020.
  50.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277. ISBN 0-941711-73-0.
  51.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88. ISBN 0-941711-73-0.
  52. ^ Porcher, Richard D.; Fick, Sarah (2005). The story of Sea Island cotton. Charleston, South Carolina: Wyrick & Company. p. 50. ISBN 0-941711-73-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