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레인 던디

Elaine Dundy
짐 맥더모트의 일레인 던디 초상화

일레인 리타 던디(Née Brimberg; 1921년 8월 1일 ~ 2008년 5월 1일)는 미국의 소설가, 전기 작가, 언론인, 배우, 극작가였다.

초년기

그녀는 폴란드와 라트비아계 뉴욕시에서 일레인 리타 브림버그로 태어났다. 그녀의 폴란드 태생의 유대인 아버지 사무엘 브림버그는 사무용 가구 제조업체였고 폭력적인 불량배였다.[1]

그녀의 어머니는 백만장자 유대인 제조업체와 발명가의 딸이었다. 던디는 세 자매 중 한 명이었다; 한 자매는 독립 영화제작자 셜리 클라크였다.[2] 던디는 결국 고등학교를 다녔지만, 그녀의 남자친구 테리가 극작가 맥스웰 앤더슨의 아들이었던 파크 애비뉴의 집에서 자랐다. 후에 그들은 다시 만나 거의 결혼했다.[1]

15세 때부터 뉴욕 나이트클럽의 단골이었던 그녀는 지터벅을 배우길 원하는 망명 네덜란드 화가 피에트 몬드리안을 만났다.[3] 버지니아주 스위트 브라이어의 스위트 브라이어 대학을 졸업한 그녀는 미래의 스타 배우 로드 스티거, 토니 커티스 등과 함께 워싱턴의[4] 자비스 극장 학교에서 연기를 공부했고, 드라마틱 워크샵에서 어윈 피스카이터가 가르쳤다.[3]

던디의 통제 아버지는 그녀가 뉴욕에 있는 동안 집에서 살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그녀는 그녀의 월 용돈이 그녀가 파리에서 잠깐 살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계산했다.[3]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그녀는 유럽을 여행했고, 처음에는 프랑스 파리에 살면서 프랑스 영화를 더빙한 다음,[1] 런던에 정착하여 BBC 라디오 연극에서 공연했다. 1950년 그녀는 연극평론가 케네스 타이넌을 만났고, 2주 후 그들은 함께 살기 시작했다. 1951년 1월 25일에 결혼하여 딸 트레이시(Tracy, 1952년 5월 12일, 런던 출생)를 두었으며, 런던과 할리우드의 연극 및 영화계 엘리트의 일원이 되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

그녀는 여배우로서의 역할 중 1953년 TV 시리즈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니어 프리젠츠와 BBC-TV의 하녀인 디너 앳 에이트의 제작물인 '절규'에 출연했다. "여배우가 할 수 있는 작은 부분 중 하나는 가능한 한 예쁘게 보이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고, 가능한 한 순진한 행동을 하며 칼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던디는 오슨 웰즈 감독이 연출한 라디오 룩셈부르크의 해리 라임 드라마에서 각기 다른 역할로 청취되었다.[4] 1955년 던디와 타이난은 함께 카메라에 등장하여 영국의 ITV 상업망 계약자인 어소시에이트-리디퓨전(Associated-Redifusion)을 위해 만들어진 다큐멘터리 시리즈 웰즈의 "Albound the World With Orson Welles"의 "Madrid Bought" 에피소드를 진행하였다.[5]

책들

1958년 던디는 파리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그녀의 첫 소설 "더드 아보카도"를 출간했다.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6] 그녀는 한 숭배자로부터 다음과 같은 편지를 받았다.

티난 부인에게, 나는 특히 남편이 극적 비평가라면 유부녀에게 편지를 쓰는 습관을 들이지 않지만, 가 <더드 아보카도>를 얼마나 즐겼는지 누군가에게 말해야 했다(그리고 당신이 작가인 이상 당신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은 나를 웃게 하고, 비명을 지르고, 구포(어쩌면 로펌의 명성이 대단하다. 이게 실제로 네 인생이었다면, 도대체 어떻게 이겨냈는지 모르겠어. 진심으로, 그루초 마르크스.[6]

타이난은 성공을 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Dundy의 글쓰기 천직을 못마땅하게 여겼다.[6] 왜냐하면 그것이 자신의 관심을 분산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Dundy는 그것을 그들의 결혼을 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 무렵 타이난은 아내가 거절하면 자살하겠다는 협박을 하며 아내를 살찌우겠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7] 쌍방의 마약, 술, 혼외정사로 결혼이 무산되고 1964년 해체되었다. 1962년, 그녀는 BBC의 풍자극 That Was That Was With With의 작가였다. Dundy는 1968년부터 1976년까지 중독의 자신을 치료하려고 [3]시도했지만, 그녀의 딸에 따르면, 그녀는 반세기 동안 마약과 술로 고생했다. 던디는 이혼 후 주로 뉴욕에서 살았다.[7] 던디는 소설과 단편 외에도 뉴욕타임즈에 기고했다. 그녀는 배우 피터 핀치와 루이지애나 페리데이의 도시 엘비스 프레슬리에 관한 책을 썼는데, 그녀는 "1977년 이전에는 엘비스가 죽을 때까지 엘비스가 살아 있다는 것을 몰랐다"[citation needed]고 말했다.

프레슬리 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던디는 런던과 뉴욕에 있는 호화로운 스위트룸에서 미시시피 투펠로 프레슬리의 생가에서 5개월 동안 살기 위해 이사했다. 엘비스와 글래디스는 1985년 맥밀런에 의해 처음 출판되었다. (2004년 미시시피 대학 출판부에서 재발간) 보스턴 글로브는 이 책이 "아직도 최고의 엘비스 책 못지 않다"고 환영했다. 커커스 리뷰는 이 책을 "가장 섬세한 엘비스 바이오"라고 평했다.[citation needed]

만년

던디는 1986년까지 런던에 집을 유지했고,[8] 그 후 딸 근처에 있기 위해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했다. 그때까지 트레이시는 의상 디자이너였다. 그녀는 영화감독맥브라이드와 결혼했다.[9] 던디의 자서전 '라이프 그 자체!'는 2001년에 출판되었다.[10] 같은 해, 그의 마지막 10년에 쓰여진 케네스 타이난의 일기가 출판되었다. 그들의 딸은 그 책을 발행하는 것을 도왔다. 그것은 Dundy가 다시 재활치료에 들어갈 때까지 2년 동안 두 여성 사이에 갈라진 결과로 이어졌다.[7][11] 1964년 그녀의 소설 《노인과 나》는 페미니스트 출판사 비라고 출판사에서 2005년 재발간되었고, 같은 해 그녀는 다프네마우리어의 1932년 소설 《I'll Never Be Young Again》을 다시 출판하기 위해 비라고의 서론을 썼다.[citation needed]

2016년 미국에서 출간된 트레이시 타이난의 회고록 '마모와 눈물'은 타이난이 부모에 대해 시도한 경험을 다룬다.[7][9]

죽음

던디의 말년에 그녀는 황반변성으로 시력을 잃고 있었다. 그녀는 2008년 5월 1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86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2] 그녀는 웨스트우드 마을 기념 공원 묘지에 묻혔다.

참고 문헌 목록

소설

전기

  • 핀치, 블러디 핀치: 피터 핀치의 전기 (1980)
  • 엘비스·글래디스(1985)
  • 페리데이, 루이지애나 (1991년)
  • 인생 그 자체! (2001) (1998년)

플레이스

  • 나의 장소 (1962)
  • 나라에서의 죽음 (1976년) (보그, 1974년)
  • 익사 (1976년)

기사들

  • Hip, Beat & Square, The Observer, 1960년 12월 4일
  • 스페인의 기억, 옵저버, 1960년 12월 25일
  • 스탠리 큐브릭과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1963년 3월 13일 퀸(Glamour, 1964년 4월)
  • 리뷰 리뷰 (New York Review of Books, The Spectator, 1963년 6월 7일)
  • Formentoracle, The Observer, 1964년 5월 4일
  • 크레인, 마스터즈, 울프 등 1964년 10월 이곳에서 잠을 잤다.
  • 작은 앨리스가 무슨 뜻인가? (에드워드 앨비), 뉴욕 헤럴드 트리뷴, 1965년 1월 31일
  • 극장에서 성공하는 방법 1965년 5월, 에스콰이어
  • 1965년 7월, 시장 속의 이미지
  • 서른여섯의 단순한 웨일스 아가씨가 마케도니아 록앤롤 스타로 행복을 찾을 수 있을까?, 1965년 12월, 에스콰이어
  • 1965년 12월 26일 뉴욕 헤럴드 트리뷴 [ 크리스토퍼 플럼머에 대하여]
  • 울프 이슈 (편지), 뉴욕 리뷰 오브 북스 1966년 3월 17일
  • 톰 울프... 하지만 정확히, 그래! 보그, 1966년 4월
  • [로즈매리 해리스] 뉴욕 헤럴드 트리뷴 1966년 4월 10일
  • Vivien Leigh: Washington Day에 스타를 인터뷰한 Village Voice 1966
  • 1967년 8월 20일, 갑자기 재미있어, 옵저버
  • 유대인이라는 것이 무슨 뜻인지 어려운 방법을 찾아라, The (London) 타임즈, 1976년 2월 11일
  • 1976년 9월 5일 뉴욕타임스(NYT)에 실린 이 카루셀의 인생은 올 업스와 다운스가 없다.
  • 1976년 11월 22일 뉴욕 시드니 루멧을 위해 배우들이 더 잘 하는 이유
  • 1977년 2월 5일 토요일 리뷰 리브 울만의 변화 검토
  • 1977년 4월 2일, 브룩 헤이워드(Brook Haywire), 토요 리뷰(The Saturday Review)의 헤이와이어 리뷰
  • 1977년 5월 22일 뉴욕 타임즈에서 Born to Bish (Vivien Leigh)
  • I'll Never Be Young Again, Dappne du Maurier, 2005년 소개

단편 소설

  • 1960년인가 1965년인가 "결혼의 소리"? (reprinted, Cosmopolitan, 1967년 2월)

참조

  1. ^ a b c d Purser, Philip (May 8, 2008). "Elaine Dundy". The Guardian. Retrieved May 14, 2021.
  2. ^ Gelder, Lawrence Van (September 26, 1997). "Shirley Clarke Is Dead at 77; Maker of Oscar-Winning Film".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March 12, 2020.
  3. ^ a b c d "Elaine Dundy: The Times obituary". The Times. May 9, 2008. Retrieved May 14, 2021. (필요한 경우)
  4. ^ a b Hoare, Philip (May 10, 2008). "Elaine Dundy: Author of 'The Dud Avocado' who first took up writing as a response to life as 'poor little Mrs Tynan'". The Independent. Retrieved May 14, 2021.
  5. ^ McBride, Joseph (2006). What Ever Happened to Orson Welles?: A Portrait of an Independent Career. Lexington, Kentucky: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 232n. ISBN 0813171512.
  6. ^ a b c "Elaine Dundy". The Telegraph. May 7, 2008. Retrieved May 14, 2021.
  7. ^ a b c d Hoyle, Ben (February 23, 2017). "Tracy Tynan's upbringing: celebrities, drugs, wife-beating and sex". The Times. Retrieved May 14, 2021. (필요한 경우)
  8. ^ 일레인 던디 라이프자체, 2001년, 비라고 346페이지.
  9. ^ a b Garner, Dwight (July 12, 2016). "Review: In Tracy Tynan's Memoir, Wear and Tear, Feeding on Explosive Drama".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rch 4, 2017.
  10. ^ Kellaway, Kate (June 24, 2021). "With friends like these..." The Observer. Retrieved May 14, 2021.
  11. ^ Wolcott, James (December 6, 2001). "Critical condition: Kenneth Tynan's diaries". The Guardian. Retrieved May 14, 2021. 에서 다시 인쇄됨
  12. ^ 뉴욕 리뷰 북스 클래식 블로그: 다른 줄무늬: "엘레인 던디, 1921-200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