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노어 대시우드

Elinor Dashwood
엘리노어 대시우드
제인 오스틴의 등장인물
Elinor Dashwood (detail).jpg
우주 내 정보
풀네임엘리노어 대시우드
성별여자
가족헨리 대시우드
그리고 부인.대시우드
친척들.존 대시우드 (이복형제)
마리안 대시우드
마가렛 대시우드
집입니다노랜드 파크
바튼 코티지

엘리노어 대시우드는 가상의 인물이며 제인 오스틴의 1811년 소설 '센스와 감성'의 주인공이다.

이 소설에서 오스틴은 감각의 상반된 기질(신고전주의자들이 오스틴 시대에 표현했던 논리, 예의, 사려)과 감성(로맨틱에 의해 표현된 감정, 열정, 무분별한 행동) 사이의 갈등을 분석한다.이 갈등에서 엘리너는 내성적이고 실용적이며 사려 깊은 젊은 여성으로 타이틀의 "감각"을 주로 구현한 여동생 마리안과 나란히 배치된다.

그녀의 성격에 대한 설명

엘리너는 냉철한 판단력과 이해력을 가지고 있어 어머니의 단골 상담사가 될 자격이 있다고 묘사되며, 때로는 로맨틱한 섬세함에 대한 과장된 생각 때문에 판단력이 부족한 어머니보다 더 상식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오스틴은 엘리노르를 "그녀 자신의 고통 속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위로자, 그들 [1]: 188 못지 않게"라고 묘사했다.그녀의 어머니는 마리안과 그녀의 문제에 더 자주 몰두한다.비록 오스틴은 엘리노어의 감정이 마리안느의 감정만큼 열정적이고 깊다고 쓰고 있지만, 그녀는 사회가 여성에게 가하는 요구를 더 잘 알고 있고 타협할 준비가 더 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노어의 감정을 더 잘 다스리는 방법을 알고 있다.

미국의 학자 수전 모건은 엘리노어 대시우드를 소설의 "도덕적 중심"이라고 불렀는데, "깊은 애정과 [1]: 191 그녀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녀 자신의 마음의 욕망을 통제하려는 의지 둘 다"를 가지고 있다.다른 오스틴 소설에서와 같이, 소설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람을 아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들의 진심을 드러내지 않고/또는 관찰력이 멀리까지 [1]: 194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여동생과 달리 엘리노어는 예의바른 거짓말을 하기 때문에 사회적 관습이 어느 정도 부정직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녀는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아 더 [1]: 198–199 나은 판단력을 준다.그녀의 내성적이고 절제된 성격에도 불구하고 엘리너는 [1]: 199 언니보다 더 많이 느낀다.엘리너는 제닝스 부인처럼 사람들을 판단하는 데 실수를 하지만, 자신의 결점에 대한 자각은 그녀가 [1]: 200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게 해준다.그녀는 섬세한 피부색, 규칙적인 이목구비, 그리고 놀라울 정도로 예쁜 몸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엘리노어는 마리안느보다 더 예의 바르고, 비록 저속함과 이기심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히 동등하지만, 그래서 그녀는 다소 저속하지만 착한 제닝스 부인을 "진짜 사랑"할 수 있다.마리안느가 거부감을 느낄 만한 사람들에게 예의 바르게 행동해야 한다. 루시 스틸 같은 사람들조차도.엘리너의 공손함은 좋은 매너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1]: 200 감정에 대한 관심도 반영한다.엘리너는 "내 교리는 이해의 주체를 목표로 한 적이 없다"며 "모든 사람에 대한 나의 판단에 솔직해지는 것이 나의 소망이다"[1]: 202 라고 말한다.에티켓에 대한 엘리노어의 관심은 공손함이 그녀가 그들을 더 [1]: 203 많이 이해할수록 다른 사람들에게 그녀를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그녀의 이해를 반영한다.여동생과 달리 엘리너의 세계관리는 고정관념이나 충동적 감정주의 [1]: 203 대신 타인의 인격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엘리너는 고정된 캐릭터가 아니라 자신의 [1]: 204 가치관을 지키면서 끊임없이 진화하는 캐릭터다.모건은 오스틴의 여주인공들이 눈앞의 관심사를 넘어 타인을 [1]: 204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 '사심 없는 동정'으로 바라볼 수 있는 순간이 핵심이라고 주장했다.이와 관련하여, 모건은 오스틴이 엘리노어 대시우드라는 인물을 만들었을 때 공손함의 목적은 사회 규범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1]: 204 삶에서 일어나는 불확실성과 갑작스러운 변화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월터 스콧 경이나 윌리엄 카우퍼처럼 낭만주의 시대의 인기 작가들에 헌신하는 마리안과 달리 엘리너는 낭만주의 작가들에 대한 열정에 사로잡히지 않고,[2]: 107–108, 111 "픽처스"의 숭배를 조장했던 윌리엄 길핀에 대한 사랑으로 여동생을 놀린다.엘리너는 그녀의 여동생이 낭만주의 작가들에 대한 사랑이 지나치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녀가 자신의 [2]: 107–108 단점에 이르는 불운한 낭만주의 여주인공의 뒤를 따라 자의식적으로 자신을 모델로 삼고 있다고 믿는다.

영국 학자 로버트 어바인은 유보적인 엘리노어 대 유보적인 이분법이라고 주장했다.그녀의 더 열정적인 여동생 마리안느는 어느 정도 틀렸다. 왜냐하면 두 자매는 두 자매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두 자매는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운 이복형제 [3]: 49 존에 대한 "감정"을 표현한다.어바인은 대쉬우드 자매의 진정한 차이는 마리안이 외부인과의 가족과의 개방성을 선호하는 반면 엘리너는 그렇지 [3]: 49 않다는 것이라고 썼다.어느 순간 엘리너는 소설에서 "마음"으로 묘사된 감정을 느끼는 능력과 상류사회에서 표현되는 능력 사이에 선을 그으며 "제닝스 부인의 마음을 매우 좋게 생각하기는 하지만, 그녀는 사회가 우리에게 기쁨을 줄 수 있는, 또는 우리에게 결과를 줄 수 있는 여자가 아니다."라고 말한다.[3]: 49 나중에 엘리너는 마리안느에게 자신의 가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내 교리는 이해의 주체를 목표로 한 적이 없습니다.내가 영향을 끼치려고 했던 건 그 행동뿐이었어솔직히 말해서, 나는 당신이 우리의 지인 전반을 더 주의 깊게 다루기를 바랐지만, 내가 언제 당신에게 그들의 감정을 받아들이라고 충고했는가, 아니면 심각한 문제에서 그들의 판단에 따르라고 충고했는가?"[3]: 50

엘리너는 마리안느의 성실함 그 자체가 아니라 마리안느가 때때로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감정을 숨기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노어에 [3]: 50 대한 성실함은 일종의 사심이라고 비판한다.소설은 엘리노어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녀는 혼자서도 더 강했고, 그녀의 좋은 감각은 그녀를 매우 잘 지지했고, 그녀의 확고함은 흔들리지 않았고, 그녀의 명랑한 모습은 변함없이, 그리고 그와 관련하여 그리고 매우 신선해 보였고, 그들은 그럴 수 있었다."[4]: 44 어바인은 만약 Dashwood 자매 간의 유사성이 독자들에 의해 때때로 간과된다면, 그것은 소설이 그들의 관점에서 주로 전해지기 때문에 오스틴이 그녀의 등장인물들에게 다른 목소리를 [3]: 50 주기 위해 차이점을 강조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어바인은 미들턴 여사가 대시우드 자매에 대해 반성할 때, 그녀는 미들턴 여사가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는 소설과 그들이 다르다고 보기보다는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그들이 자신이나 그녀의 아이들에게 아첨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녀는 그들이 좋은 성품을 가졌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고, 그들이 독서를 좋아했기 때문에, 그녀는 그들을 풍자적으로 생각했다: 아마도 풍자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 못했지만, 그것은 의미하지 않았다.그것은 흔히 사용되는 비난이었고 쉽게 주어졌다.[3]: 51

등장인물들과 달리, 대시우드 자매는 책을 많이 읽어서 바튼 파크와 같은 곳에서 그들을 구별하고, 풍자적인 용어가 실제로 무엇을 [3]: 51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레이디 미들턴에게 특별히 공손하지 않다.어바인은 또한 두 대시우드 자매는 근본적으로 같은 가치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캐릭터와 대립하고 있으며,[3]: 51 가족 내에서의 매우 친밀함이 그들의 대화 속에서 그들의 차이점을 드러낼 수 있다고 지적한다.어느 순간 대시우드 자매는 엘리너가 언니에게 에드워드 페라와 루시 스틸의 약혼을 숨기고 마리안은 존 윌러비와 [3]: 51–52 너무 가까워지기 때문에 서로 비밀을 지킨다.에드워드의 약혼이 알려진 후, 내레이터는 "그들 사이의 신뢰"[대쉬우드 자매]가 "제대로 회복되었다"[3]: 52 고 말한다.이 책은 내레이터가 말하는 것처럼 대시우드 자매가 남편보다 더 가깝게 지낼 것이라는 암시로 끝을 맺는다.

"바튼과 델라포드 사이에, 강한 가족 애정이 자연스럽게 지시하는 끊임없는 의사소통이 있었다; 그리고 엘리노어와 마리안의 장점과 행복 중에서, 비록 자매가 서로 거의 보이는 곳에 살지만, 그들은 서로의 의견 차이 없이 살 수 있었다.남편들 사이에 냉정함을 만들어내거나"라고 말했다.[4]: 48

하지만, 이 소설은 엘리노어의 [3]: 52 편을 들고 마리안느의 관점보다 그녀의 관점에서 사건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자유 간접 담론은 서술자가 캐릭터가 말하지 않고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를 요약할 때 오스틴에 의해 엘리노어의 정신 [3]: 52 활동을 묘사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었다.오스틴은 소설 속 어떤 진술이 엘리노어인지 서술자의 진술인지에 대해 독자가 주의를 기울이도록 자유로운 간접 담론을 사용했지만, 전반적으로 엘리노어의 관점이 [3]: 52–53 옳다는 인상을 독자에게 남긴다.소설 내내 엘리너는 자신을 가차없는 자기 비판과 자기 수양, 즉 그녀가 "자기 명령"이라고 부르는 것에 노출되어 "확실한 생각과 감정"[3]: 53 만을 받아들이도록 그녀의 의식을 통제한다.마지막 장에서 엘리너는 자신의 "자기 명령"을 마리안느와 그녀의 어머니에게 돌리면서 마리안느에게 그녀가 따라야 할 모범이라고 말하도록 유도하고, 마리안느는 "내 [3]: 53 감정은 지배될 것이다"라고 말한다.어바인은 이 소설이 엘리너가 어떤 종류의 책을 읽는지 독자들에게 말해주지 않는다고 썼지만 마지막 장에서는 엘리너의 목소리가 젊은 여성에게 적절한 가치를 제시하고 영국에서 [3]: 54 인기를 끌었던 "행동 책"에서 두드러지게 들린다.어바인은 오스틴이 전적으로 "도전서"를 좋아하지는 않았고, 마지막 장에서 "도전서"처럼 말하는 인물이 [3]: 54–55 자신의 가치를 나타내기를 원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감각과 감성의 플롯에서의 역할

헨리 대쉬우드의 죽음 이후 첫 장에서 엘리노어, 마리안, 마가렛,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는 소녀들의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운 시누이 패니의 책략으로 거의 빈털터리로 남게 된다.그들의 아버지는 그의 아들이자 자매의 이복동생인 존 대시우드에게 딸들이 수입이 적기 때문에 돌봐줄 것을 요청했지만, 그는 아내에게 아무것도 더 주지 말라고 휘둘렸다.헨리 대시우드의 외아들인 존 대시우드는 상속법에 따라 아버지의 전 재산을 상속받는다.

엘리너는 여전히 노랜드 파크에 살고 있는 동안 패니의 동생인 에드워드 페러스와 사랑에 빠진다.그녀의 줄어든 형편과 에드워드의 구애에 대한 묵묵부답은 그녀가 청혼을 희망하도록 허락하지 않는다.딸들이 어머니의 친척인 데본의 바톤 파크로 이사한 후, 실용적인 엘리너는 그들이 분수에 맞는 생활을 하고 사치품에 과도하게 소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솔선수범한다.

그녀는 나이가 많고 진지한 브랜든 대령에게 동정심이 많고 배려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마리안느에 대한 그의 사랑의 절망감을 동정한다.엘리너의 침착함과 냉정한 태도는 그녀가 에드워드 페라스의 상속과 그녀의 재산 부족을 둘러싼 상황을 고려할 때 그녀가 애착이 없다고 믿는 그녀의 신비로운 구혼자에 대한 제닝스 부인의 놀림을 견딜 수 있게 해준다.그녀는 또한 자신과 에드워드가 비밀리에 약혼했다는 루시 스틸의 고백을 견뎌야 한다.엘리너는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에드워드에 대해 아무것도 느끼지 않는다고 루시에게 설득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결국 그녀의 측근이 되고 그들이 서로 함께 있을 때만 루시가 약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듣는 것에 괴로워해야 한다.그녀는 마리안과 윌러비의 관계가 발전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며, 마리안이 자신의 감정을 너무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은 충동적이고 사회적 관습에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해 무모하다고 생각한다.그녀는 마리안이 윌러비와 비밀리에 약혼했다고 가정하고 마리안이 그렇지 않다고 말하자 충격을 받는다.

언니로서의 엘리너의 역할은 윌러비가 제닝스 부인과 함께 런던을 방문했을 때 마리안을 거절할 때, 그리고 나중에 클리블랜드에 있을 때 마리안이 열병으로 죽을 뻔한 소설에서 더욱 드러난다.

엘리너의 감각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루시가 그의 동생인 로버트 페러스와 결혼했다는 것을 에드워드 본인에게 알게 되면서 그녀의 감수성을 보여준다.비록 에드워드는 루시 스틸과 비밀리에 약혼했다는 이유로 그의 어머니로부터 외면당했지만, 그는 엘리노어의 결혼을 청하기 위해 바튼 코티지로 왔다; 이것은 엘리노어와 브랜든 대령 사이에 피어난 우정이 이전에 에드워드가 성직자로 살아가도록 이끌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그의 델라포드 사유지에서요엘리너는 에드워드의 청혼을 받아들여 소설의 마지막까지 행복한 결혼생활을 한다.

주목할 만한 극적인 묘사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Morgan, Susan (September 1976). "Polite Lies: The Veiled Heroine of Sense and Sensibility". Nineteenth-Century Fiction. 31 (2): 188–205. doi:10.2307/2933501. ISSN 0029-0564. JSTOR 2933501.
  2. ^ a b Ross, Josephine (2002). Jane Austen A Companion. 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 ISBN 978-0-719-55684-5.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Irvine, Robert (2005). Jane Austen. Routledge guides to literature.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31434-3.
  4. ^ a b Brownstein, Rachel (1997). "Northanger Abbey, Sense and Sensibility, Pride and Prejudice". In Copeland, Edward; McMaster, Juliet (eds.). The Cambridge Companion to Jane Auste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2–57. ISBN 978-0-521-49867-8.
  5. ^ Parrill, Sue (2002). Jane Austen on Film and Television: A Critical Study of the Adaptations. Jefferson, NC: McFarland & Company. p. 21. ISBN 978-0786413492.
  6. ^ Pucci, Suzanne (2003). Jane Austen and Co.: Remaking the Past in Contemporary Culture. New York: SUNY Press. p. 263. ISBN 978-0791456163.
  7. ^ Parrill, Sue (2002). Jane Austen on Film and Television: A Critical Study of the Adaptations. Jefferson, NC: McFarland & Company. p. 24. ISBN 978-0786413492.
  8. ^ Troost, Linda (2000). Jane Austen in Hollywood. Lexington, K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 139. ISBN 978-0813190068.
  9. ^ McHodgkins, Angelique Melitta. INDIAN FILMMAKERS AND THE NINETEENTH-CENTURY NOVEL:REWRITING THE ENGLISH CANON THROUGH FILM.
  10. ^ Jones, Alice (28 July 2008). "Modern miss: Hattie Morahan is ditching bonnets in favour of cutting-edge theatre work". Independent. Retrieved 13 February 2019.
  11. ^ Leydon, Joe (7 February 2011). "From Prada to Nada". Variety.
  12. ^ "Sense And Sensibility". Media Centre. BBC.co.uk (Programme information). BBC. 4 August 2013.
  13. ^ Jambhekar, Shruti (28 October 2014). "Indian television shows getting inspired". The Times of India. Retrieved 13 February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