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렌 멜빌
Ellen Melville엘렌 멜빌 | |
---|---|
오클랜드 시의원 | |
재직중 1913–1946 | |
개인내역 | |
태어난 | 엘리자 엘렌 멜빌 13 1882년 5월 뉴질랜드 북랜드 토카토카 |
죽은 | 1946년 7월 27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레무라 | (64세)
휴게소 | 와이쿠메테 묘지 |
정당 | 개혁 (1919–1922) |
직업 | 변호사 |
엘리자 엘렌 멜빌(Eliza Ellen Melville, 1882년 5월 13일 ~ 1946년 7월 27일)은 뉴질랜드의 변호사 및 정치인이었다.그녀는 뉴질랜드의 두 번째 여성 변호사였고 뉴질랜드의 시 당국에 선출된 첫 번째 여성이었다.그녀는 33년 동안 오클랜드 시의회에 앉아있었고 특히 뉴질랜드의 국가 여성 평의회를 포함한 여성 조직과 명분을 위한 일에 지칠 줄 몰랐다.그녀는 여성이 공적 생활에서 완전하고 평등하게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고, 여성 참정권 이후 뉴질랜드에서 페미니스트 운동이 부활하는 데 핵심 인물이었다.그녀는 뉴질랜드에서 국회의원에 입당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었고, 결국 일곱 번이나 (실패했다)[1]
초년기
멜빌은 다르가빌 남쪽의 와이로아 강에 있는 아라포휴의 이웃인 토카토카에서 태어났다.그녀의 아버지 알렉산더 멜빌은 농부와 보트 제작자였고, 어머니 엘리자(네 포가티)는 1870년대 누나와 함께 호키티카에서 사립학교를 운영했던 전직 교사였다.멜빌은 그들의 일곱 자녀 중 셋째였다.[1][2]
그녀는 일곱 살까지 집에서 어머니로부터 가르침을 받았고, 어머니의 영향력은 교육과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평생의 신념에 기여했다.나중에 그녀는 "교육의 무기"[2]에 대해 말할 예정이었다.그녀는 7살 때부터 토카토카 학교에 다녔다.1895년 그녀는 주니어 지구 장학금에서 뉴질랜드 2위를 차지했는데, 이 장학금은 현재 오클랜드 여자 문법 학교(당시 오클랜드 문법 학교의 일부)에서 3년간 공부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그녀는 이 기간 동안 오클랜드에서 친척들과 함께 탑승했다.마틴이 변호사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에델 벤자민이 뉴질랜드에서 변호사로서 입학한 최초의 여성이 된 것은 중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다.[1]
법조경력
1898년 멜빌은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변호사 일반지식시험에 합격했다.그녀는 이 시기에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기에는 너무 어렸기 때문에 데보르와 쿠퍼의 오클랜드 회사에 점원으로 입사하여 그곳에서 조기 연수를 받았다.파트너 중 한 명인 앨버트 데보어는 오클랜드 전 시장으로 지역 정치에 입문할 것을 권유했고, 로펌은 그녀의 학업을 지지했다.1904년에 그녀는 오클랜드 대학에 등록했다.그녀의 가족은 그녀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수 없어서 그녀는 야간 수업을 듣고 회사에서 계속 일했다.공부를 하는 동안 그녀는 당시 유일한 여법생이었던 제랄딘 헤머스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1][2]
멜빌이 1906년 변호사 자격을 얻었을 때, 그녀는 에델 벤자민에 이어 뉴질랜드에서 두 번째로 이 무대에 오른 유일한 여성이었다.[1]멜빌은 뉴질랜드에서 여성 최초로 자신의 법적 관행을 확립했고, 37년 동안 자신의 계정으로 실천했다.그녀의 법적 관행은 주로 운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재정적인 지원의 수단이어서 그녀가 정치 경력을 쌓을 수 있었다.[2]
정치 경력
멜빌은 여성의 대의명분을 홍보하고, 여성의 완전한 공공생활 참여를 장려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다.그녀의 활동의 대부분은 여성 협회와 위원회에 집중되었고, 그녀는 그러한 조직에서 많은 고위직을 역임했다.그녀는 정치적 관직을 추구하는 여성들의 강력한 옹호자였다.그러나 그녀는 1921년에"여성은 한 성의 구성원이 아니라 시민으로서 행동해야 하며, 남성과 여성이 함께 일하는 것"이라고라고.그녀는 또한 여자들의 성관계 때문에 여자들에게 호의를 베풀어서는 안 된다고 믿었고, 여자가 남자들과 동등하게 경쟁해야 세상에서 자기 자리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2]
오클랜드 시의회
1913년, 그녀는 뉴질랜드에서 시 당국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이 되었고, 1946년까지 33년 연속으로 그녀가 맡았던 오클랜드 시의회에서 의석을 얻었다.이 역할에서 그녀는 여성 단체를 평의회에 소개했고, 여성의 전차 지휘자 고용과 여성에 대한 택시 면허 부여와 같은 문제들에 대해 차별과 싸웠다.[2]그녀는 여성의 권리와 관련이 없는 문제에서는 보수적인 경향이 있었고, 주요 재정 위원회에 앉고 도서관 위원장을 맡고 공원 문제를 다루는 등 시민 활동의 모든 측면에 참여했다.[1][2]로빈 하이드 기자는 멜빌이 처음에는 남성 동료들로부터 "부당한 농담"으로 여겨졌지만, 그녀는 "논리적 사고와 풍부한 상식"으로 존경을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그녀가 토론에 한 기여는 항상 그들의 종류에 대한 모델이었고, 간략하고, 완전히 심사숙고했으며, 진정한 가치를 지닌 독창적인 생각을 담고 있었다."[1]그러나 그녀는 1938년과 1941년에 부시장직을 물려받았지만, 연공서열과 능력으로 인해 여성단체의 반발을 샀다.[1][2][3][4]
여성단체
멜빌은 1918년 뉴질랜드 전국여성위원회(NCW) 부활의 견인차 역할을 한 인물로, 1917년 오클랜드 NCW 지부의 첫 회의를 소집한 데 이어 이듬해 NCW가 정식으로 복권된 웰링턴에서 열린 예비회의에 참석했다.그녀는 오클랜드 지부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고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전국적인 대통령이 되었다.NCW에서 일하면서 그녀는 다른 저명한 페미니스트들을 만나기 위해 1924년 엘시 메리 그리핀과 함께 유럽을 여행했다.영국에서 그녀는 선거 운동으로 아스토르 부인을 돕고 애버딘 부인과 함께 지냈다.1934년 호놀룰루에서 열린 범태평양·동남아시아 여성회의의 대표자였다.[1][2]
그녀는 대공황 기간 동안, 구호 활동 자격을 얻기 위해 여성들이 남성과 동일한 실업 부담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는 또 국내 근로자들은 세금을 내지 말아야 한다는 NCW 결의안에 반대하며 이 결의안을 발의한 사람들은 "허당무계한 감정 때문에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이 직업을 따르는 여성들은 세금 부담을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명예롭고 소중한 시민들이다.만약 국가평의회가 여성의 평등을 상징한다면, 그것은 이 치명적인 예외를 지지할 수 없다.[2]그녀는 또한 이 기간 동안 오클랜드 실업여성 비상대책위원회에도 취임했으며,[1] 전국을 돌며 뉴질랜드산 물품 구입과 현지 기업 지원을 촉구했다.[2][5]
그녀는 여성들이 그들의 명분을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하게 믿었고, 여성들을 위한 오클랜드 YWCA 클럽을 포함한 많은 다른 여성 단체들을 설립했는데, 그 중 그녀는 비서였고 후에 부사장이었으며, 오클랜드 리슘 클럽과 뉴질랜드 여성 및 아동 보호 협회가 설립되었다.[2][6]1914년 그녀는 오클랜드 시빅 리그라고 불리는 여성 사회를 설립했는데, 이 여성 사회는 도시와 협력하여 사회적 환경을 개선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7]그녀는 여성들에게 넓은 시야를 갖고 "전세계 여성운동에 개인적인 접촉을 하라"[2]고 촉구했다.
의회 선거 운동
멜빌은 1919년 여성 의회권리법으로 이어진 캠페인에 적극적이었고, 1893년 여성이 투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으로 여성의 의회 입성을 허용했다.멜빌은 다음과 같이 믿었다.[2]
여성이 의회에 여성이 있지 않는 한 여성들은 입법 과정에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것이다.그들은 정부에 전달된 회의 결의안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고 휴지통에 들어갔다.그들은 여성들을 원내에 모이기 전까지는 진전을 보지 못할 것이다.
로제타 바우메, 아일린 쿡과 함께 [8]멜빌은 뉴질랜드에서 의회를 대표한 최초의 여성 3명 중 한 명이었다.1919년 총선에서 그녀는 그레이 린의 선거구에서 개혁당 후보였다.이 유권자들이 전통적으로 노동당의 의석이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노동당의 36.[2]5%에 30.9%의 표를 얻었다.바우메와 쿡도 낙선했고, 당시 정치만화에는 "여자의 왕국"이라는 레이블이 붙은 집 밖에 서 있던 두 여성이 보메는 멜빌에게 "결국, 여자에게는 집만한 곳이 없다.언제든 반대 없이 이 집에 당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9]1922년 총선에서는 정치 조직원 앨버트 데이비(Albert Davy)에게 막혔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후보로 선정되지 못했다.멜빌은 개혁당이 여성을 후보로 원하지 않아 (일부적으로는 선택된 후보가 자유당 출신이라는 이유 때문에) 막혔다고 믿었고, 로스킬에서 무소속 후보로 우뚝 섰다.[1]그러나 1925년 총선에서 그레이 린의 개혁당 후보로 선출되었고, 현역의 6,061표에 5,296표를 얻었다.[10]호키티카 가디언은 "그 어떤 여성보다도 많은 표를 얻었다"고 지적했다.[11]
1926년 에덴의 보궐선거에서 개혁당의 후보 선출 과정에 불만을 품은 뒤 무소속 후보로 우뚝 섰다.[12]두 명의 후보가 개혁당의 표를 분산시키고, 렉스 메이슨 노동당 후보의 당선을 도운 것은 당내에서의 그녀의 명성을 손상시키는 사건이었다.[2][13][14]이후 그녀는 1928년 총선, 1931년 총선, 1943년 선거에 출마하여 대체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결코 승리하지 못했다.[1][2]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그녀의 캠페인은 그녀에게 동의 연령을 높이고 여성 경찰을 임명하는 등 NCW의 이익을 홍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1]
그녀는 1938년 선거에서 국민당에 의해 오클랜드 동부 유권자의 선출을 위해 출마한 6명의 후보자 중 한 명이었지만,[15] 대신 해리 메리트가 선택되었다.[16]
후년과 유산
1935년 멜빌은 킹 조지 5세 실버 주빌리 훈장을 받았다.[17]1944년, 그녀는 여성들을 의회와 다른 정치 관직에 입후보하도록 장려하는 Women for Wellington 운동을 창설했고, 연설과 위원회 업무에 대한 훈련을 제공했다.그것은 아무리 작은 집단이라 해도 그녀의 죽음에서 살아남지 못했다.[18]
멜빌은 1946년 7월 27일 레뮤에라에서 사망하였다.그녀의 관은 오클랜드 시의회 회의실에 안치되어 있었고, 도시 깃발은 반나절만에 게양되었다.피터 프레이저 총리는 여성단체 대표들과 지역 당국자 수백 명이 참석한 장례식에서 연설했다.와이쿠메테 묘지의 묘지로 꽃을 가져가기 위해서는 트럭 3대가 필요했다.[2]
그녀가 죽은 후, NCW는 오클랜드에서 회의를 소집하여 그녀를 위한 적절한 기념비에 대해 논의했다.존 알룸 시장은 이 회의에서 "그녀의 봉사는 모든 시민들, 특히 우리 시의 젊은 여성들과 정말로 우리의 지배하에 있는 사람들에게 영원히 본보기로 남을 것"[2]이라고 말했다.NCW가 여성들을 위한 홀을 지어 그녀를 기념하기로 결정한 것은 이 회의에서였고, 그 결과 1962년 오클랜드 중심부에 엘렌 멜빌 홀(현 엘렌 멜빌 센터)이 개관하게 되었다.[2][19]2017년 센터를 새롭게 단장하면서 건물 외부에 '저스티스'라는 제목의 리사 레이하나의 새로운 청동 조형물이 추가돼 멜빌의 생애와 작품을 축하했다.[20]
엡섬의 멜빌 파크도 1917년 시에 인수된 [1]그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으며, 수년 동안 여성 스포츠 경기장으로 명성을 떨쳤다.[21]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Coney, Sandra. "Melville, Eliza Ellen". Dictionary of New Zealand Biograph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Retrieved 17 July 201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Coney, Sandra (1995). Macdonald, Charlotte; Penfold, Merimeri; Williams, Bridget (eds.). The Book of New Zealand Women: Ko Kui Ma Te Kaupapa (4th ed.). Wellington, NZ: Bridget Williams Books Ltd. pp. 435–442. ISBN 0-908-912-04-8.
- ^ "Resentment Expressed: Choice of Deputy-Mayor". The New Zealand Herald. 24 June 1941. p. 2. Retrieved 14 March 2021.
- ^ ""Slight to Women": Housewives' Protest". The New Zealand Herald. 10 June 1941. Retrieved 14 March 2021.
- ^ "Dominion Products: Miss Melville's Lectures". The New Zealand Herald. 6 November 1930. p. 17. Retrieved 14 March 2021.
- ^ Gray, Matthew (5 January 2015). "Tales from the Crypt: Pioneer feminist's three decade council career". Western Leader. Retrieved 14 March 2021.
- ^ "Auckland Civic League". Auckland Star. 25 March 2014. p. 7. Retrieved 14 March 2021.
- ^ "Women can stand for Parliament". New Zealand History. Retrieved 14 March 2021.
- ^ Brookes, Barbara (19 September 2017). "On Suffrage Day, the long road from a house to the House". Stuff.co.nz. Retrieved 14 March 2021.
- ^ "The General Election, 1925 (Return Relative To)". Appendices to the Journals of House of Representatives Online. National Library of New Zealand. Retrieved 14 March 2021.
- ^ "Women in the Limelight". Hokitika Guardian. 11 November 1925. p. 3. Retrieved 14 March 2021.
- ^ ""Garden of Eden": Disgruntled Nominees". Pahiatua Herald. 5 March 1926. p. 6. Retrieved 14 March 2021.
- ^ "Still Determined". Patea Mail. 15 March 1926. p. 2. Retrieved 14 March 2021.
- ^ "Eden By-Election". Northern Advocate. 16 April 1926. p. 4. Retrieved 14 March 2021.
- ^ Gustafson, Barry (1986). The First 50 Years : A History of the New Zealand National Party. Auckland: Reed Methuen. pp. 26, 378. ISBN 0-474-00177-6.
- ^ "Good Reception". Auckland Star. Vol. LXIX, no. 233. 3 October 1938. p. 4. Retrieved 17 July 2013.
- ^ "Official jubilee medals". Evening Post. Vol. CXIX, no. 105. 6 May 1935. p. 4. Retrieved 24 June 2018.
- ^ Wallace, Sandra (1993). "Members for Everywoman? The Campaign Promises of Women Parliamentary Candidates". New Zealand Journal of History. 27 (2): 191. Retrieved 14 March 2021.
- ^ Mackintosh, Christine (10 November 2017). "Ellen Melville Centre: Creating community in inner-city Auckland". The Big Idea. Retrieved 14 March 2021.
- ^ "Internationally acclaimed artist brings Justice to Freyberg Place". Our Auckland. Auckland Council. 26 October 2017. Retrieved 14 March 2021.
- ^ "Melville Park". Auckland Council. Retrieved 14 March 2021.
외부 링크
- 1919년 멜빌과 바우메를 주인공으로 한 무명 만화가의 정치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