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사 린드버그 도블렛
Elsa Lindberg-Dovlette엘사 린드버그 도블렛 | |
---|---|
![]() 1898년 엘사 린드버그 도블레트의 초상화 | |
태어난 | 엘사 세실리아 마리아 린드버그 13 1874년 2월 스웨덴 스톡홀름 |
죽은 | 1944년 10월 8일 스웨덴 스톡홀름 | (70세)
언어 | 스웨덴의 |
장르. | 허구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배우자 | 미르자 리자 칸 아르파우드 도블레 |
엘사 세실리아 마리아 린드버그-도블레트 (Elsa Cecilia Maria Lindberg-Dovlett, 1874년 2월 13일 ~ 1944년 10월 8일)는 당시 유럽에서는 거의 이해되지 않는 환경인 하렘의 이야기들로 유명한 스웨덴의 작가 겸 공주였다. 스톡홀름에서 스웨덴의 아버지와 핀란드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녀는 1902년 페르시아 왕자와 결혼하여 처음에는 콘스탄티노플에서, 나중에는 모나코에서 하렘으로 이주했다. 그녀는 자신의 경험에 의해, 특히 아시아 문화에서 유럽인이라는 경험에 의해 알려진 빈약한 삶에 대해 썼다. 그녀의 이야기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오스만 제국에서 전통적인 믿음과 관행이 새로운 아이디어에 의해 도전받고 있던 시절의 허름한 삶의 복잡성을 다루었다. 이 책들은 인기를 끌었으며 네덜란드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전기
엘사 세실리아 마리아 린드버그(Elsa Cecilia Maria Lindberg)는 1874년 2월 13일 스톡홀름에서 핀란드 태생인 조안 린드버그(Joann Lindberg) 음악학과 교수와 에미 와이크의 딸로 태어났다.[1] 그녀는 아이들을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의 첫 번째 책인 Ann-Lis는 1901년에 출판되었다. 하지만, 그녀는 어른들을 위한 책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1902년, 그녀는 페르시아의 왕자이자 외교관인 미르자 리자 칸 아르파우드 도블레와 결혼했다.[2] 그녀는 그녀의 남편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인 린드버그-도블렛이라는 성을 채택했지만, 그녀 역시 공주라는 호칭이 붙었다. 그녀는 콘스탄티노플로 이주하여 그의 집에서 살았다. 그녀의 남편은 전처와 별거 중이었기 때문에 그녀는 독신 아내로 살았다. 산토끼의 조건은 산토끼 밖으로 여행할 수 있는 능력에 제한을 받는 등 이전과 매우 다른 오스만 제국의 역사적 관행과 일치했다. 1910년, 그녀는 모나코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빌라 이스파한으로 이사했으며, 여전히 하렘의 제약을 받고 살고 있다.[3]
그곳에서 사는 동안, 그녀는 자신의 인생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를 썼다.[2] 당시 유럽에서는 하렘 안에 있는 것에 대한 지식이 제한되었고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녀의 거의 모든 이야기에서 주인공은 여성이다.[4]많은 이야기에서 주인공인 아스트리드도 스칸디나비아 사람인 린드버그-도블렛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점이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아스트리드도 결혼에서 하이픈으로 된 성을 얻었다.[5] 그녀의 작품은 동양적인 판타지 스타일로 자유와 의무의 균형을 맞추는 여러 가지 도전, 무슬림과 기독교의 다른 세계관, 현대적 습관에서 오는 전통 풍습의 도전, 노인과 젊은 여성의 갈등 등을 다루고 있다.[6] 그녀는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전 오스만 제국을 특징짓는 다국어주의처럼 역사학자들에게 흥미로운 정보를 포함시켰다.[7] 터키가 탄생한 이후에도 그녀의 글은 1914년을 앞지른 세계를 여전히 반영했다.[8]
린드버그-도블렛은 소설과 단편 소설 모두를 썼으며, 후자의 상당수는 그녀의 생전에 수집품으로 편집되었다.[9] 그녀의 글은 유럽 관객들에게 인기가 있었고 네덜란드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번역되었다.[6] 그녀는 1944년 10월 8일 스톡홀름에서 사망했다.[1]
글쓰기
린드버그-도블렛의 산출물은 다음과 같다.[10]
- 앤리스, 1901년
- Kvinnor från minaretnas stad (Minarets 시에서 온 여성), 1908년
- I alla tonarter (모든 키에서), 1921년
- 프레믈링(스트레인저), 1924년
- Bakom Sténgda Haremsdörar (Back Closed Harrem Doors, 1931년)
참조
인용구
참고 문헌 목록
- Åhlen, Bengt (1945). Svensk bokkalender 1945,:En översikt över 1944 års bokutgivning (in Swedish). Stockholm: Rabén & Sjögre. OCLC 924316513.
- Bodin, Helena (2008). "Haremslivet i Konstantinopel i Berättelser av Elsa Lindberg-Dovlette". Tijdschrift voor Skandinavistiek (in Swedish). 36 (2): 108–116.
- Bodin, Helena (2017). "Mai vite dale svenske". Drgananen (in Swedish). 19: 89–104. ISSN 1402-358X.
- Bodin, Helena (2020). "'The clamour of Babel, in all the tongues of the Levant': multivernacular and multiscriptal Constantinople around 1900 as a literary world,". Textual Practice. 35 (5): 783–802.
- Boëthius, Bertil (1982). Svenskt biografiskt lexikon: 23 Liljeblad - Ljungberger (in Swedish). Stockholm: Bonnier. OCLC 311229913.
- Steinby, Gunnel (1981). Journalister och publicister i svensk press i Finland under tvåhundra år : en matrikel (in Swedish). Åbo: Åbo Akademi. ISBN 978-9-51901-7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