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모제

Emperor Mo of Jin
진 모제
金末帝
진나라의 황제
군림하다1234년 2월 9일
국적중국어
전임자진 아이종
태어난1200
죽은1234년 2월 9일 (33~34세)
이름
완얀 쳉린 (시니컬 이름)
후둔 (쥬르헨 이름)
시대 날짜
성창(成昌; 1234년)
사원명
자오종 (昭宗)
진 모제
중국어金末帝
후둔
중국어 번체呼敦
중국어 간체呼敦
완얀 청린
중국어 번체完顏承麟
중국어 간체完颜承麟

진의 모제(120000년 ~ 1234년 2월 9일) 개인명 후둔, 시니컬명 완얀 쳉린(Wanyan Chunglin)은 중국 주르첸이 이끄는 진 왕조의 마지막 황제였다. 원래 군장군이던 그는 카이저우 포위 때 전임 황제인 아이종 황제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그는 황제 자리에 오른 당일 전사하였는데, 이때 카이저우(海州)가 몽골 제국남송(南松) 왕조의 연합군에 함락되었다. 황제로 통치한 지 하루도 안 된, 아니 어쩌면 몇 시간밖에 안 된 그는 중국 역사상 가장 짧은 재위 군주로 기록되어 있다.[1][2]

인생

완얀 청린은 진나라의 시조 겸 초대 황제 아구다(태주황제)의 아버지 헬리오의 후손이다. 진나라에서 군장을 지냈다. 아이종 황제는 그의 용기와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 완얀 청린의 형 완얀 청이(yi完承)는 재상을 지냈으며, 1232년경 몽골족을 상대로 한 푸청(福城)에서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1232년 몽골 제국이 진 왕조를 공격하자 아이종 황제는 수도 비안징(汴jing; 현 허난 성 카이펑)을 버리고, 현 허난 성 루난 현으로 도망쳤다. 완얀 청린은 황제와 동행하여 여정 내내 황제와 함께 지냈으며, 도중에 많은 대신과 장교들이 황제를 버리고 떠났다. 카이저우에 도착한 완얀 쳉린은 아이종 황제에 대해 중앙 지휘부를 설치하고 몽골군의 공격에 대비해 적극적으로 방어 태세를 갖추라고 조언했다.

1234년 첫 달에 몽골인들은 남송 왕조와 동맹을 맺고 카이저우(海州)를 포위했다. 아이종 황제는 자신의 종말이 임박했음을 감지하면서도 진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역사에 기억되는 것을 원치 않아 퇴위 결정을 발표하고 완얀 청린에게 왕위를 물려주기로 했다. 완얀 쳉린은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황제는 고집스럽게 "나는 뚱뚱해서 말을 타고 전투에 나갈 수 없다. 도시가 함락되면 나는 말을 타고 탈출하기 어려울 것이다. 반면에 너는 체력이 좋고 힘이 세다. 더구나 자네는 유능한 군사지도자다. 가까스로 탈출하면 왕조가 존속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앞으로 재기할 수 있다. 이게 내 소원이야." 완얀 청린은 마지못해 받아들였다.

퇴위식이 시작된 직후인 1234년 2월 9일, 그들은 적군이 성벽을 침범했다는 소식을 받았다. 아이종 황제는 요란실(幽lan室)으로 도망쳐 스스로 목을 매 자살했다. 반면 완얀 쳉린은 군사를 모아 거리와 골목에서 전투를 벌였다. 그는 결국 안방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아이종황제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남은 신도들을 모아 황제를 애도하는 의식을 행하고, '아이종'이라는 절명으로 추서했다. 그는 같은 날 전사했는데, 결국 적군이 오버란을 일으켜 도시를 점령했다.[3] 역사학자들은 그를 진나라의 "황제 모씨"(末氏; 문자 그대로 "마지막 황제")라고 부른다.

참조

  1. ^ "Emperor Modi of Jin". Cultural China –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4, 2012. Retrieved October 12, 2011.
  2. ^ "History of Jin Dynasty". Travel China Guide. Retrieved October 12, 2011.
  3. ^ Mote, Frederick W. (2003).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p. 1106. ISBN 978-0-674-01212-7.
진 모제
완얀 가문 (1115–1234)
출생: 알 수 없음 사망: 1234년
섭정 직함
선행자 진나라의 황제
1234
성공자
왕조는 해산했다.
중국의 황제
1234
성공자몽골 제국의 카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