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
Encore앙코르(앙코르)는 계획된 공연이 끝난 후 공연자들이 공연하는 추가 공연으로,[1] 보통 관객들의 박수에 대한 반응이다.여러 개의 앙코어는 드문 일이 아니며, 처음에는 관객들이 무대에서 내려온 후에도 계속해서 가수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공연을 요구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났다.하지만, 현대에는 그것들은 거의 즉흥적이지 않고 대개 쇼의 미리 계획된 부분이다.
기악 콘서트
연주회가 끝날 때 박수갈채가 길어지면 앙코르로 비교적 짧은 곡을 하나 더 연주할 수 있다.일부 현대 환경에서는 앙코어가 예상되고 예술가들은 종종 앙코어를 계획한다.전통적으로 관객들을 위한 세트리스트가 인쇄된 콘서트에서는 앙코어가 계획되어 있어도 나열되지 않는다.잘 알려진 예는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비엔나 신년 콘서트 마지막 라데츠키 행진곡과 블루 다뉴브 공연이다. 두 작품 모두 공식 프로그램에는 오르지 않았지만, 전통적으로 [citation needed]매년 연주된다.
오페라 공연
18세기 초, 아리아가 강한 박수를 받았다면,[1] 그것은 반복되었을지도 모른다.예를 들어, 1786년 5월 1일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초연과 다른 초기 공연에서 "각 공연의 길이가 거의 두 배로 늘어난 많은 작품들이 암호화되었다."[2]
앙코어의 제약 사항
1786년 5월 9일 오스트리아 황제 요제프 2세는 앙코르 [2]제한 명령을 내렸다.
전통적으로, 라 스칼라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같은 일부 세계적인 오페라 하우스는 [3][4]엔코어가 덜 심각한 공연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엔코어를, 특히 성악 솔로를 위한 엔코어를 공식적으로 금지한다.
19세기 중반, 오스트리아-이탈리아 당국이 앙코르가 공공의 [5]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북부 이탈리아에서는 앙코르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1921년, 지휘자 토스카니니는 앙코르들이 오페라의 속도를 방해할 것이라고 느꼈고 [4]작품과는 반대로 개별 가수들에게 관심을 끌었기 때문에, 라 스칼라에서는 앙코르 연주가 금지되었다.1887년 토스카니니는 아리아의 [6]앙코르곡을 완강히 거절한 후 결투에 도전했다.바그너도 마찬가지로 [6]앙코르에 반대했다.
메트로폴리탄에서의 금지는 20세기 초에 인쇄된 프로그램에서 명백했지만,[7]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중의 주장으로 종종 깨졌다.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앙코르는 [3]세기 후반에 더욱 희귀해졌다.
대중음악
대부분의 상황에서, 록, 메탈, 팝 아티스트들이 앙코르 공연을 하는 것은 표준이 되었다. 특히 경기장이나 경기장 같은 큰 환경에서는 더욱 그렇다.펑크 밴드가 작은 장소에서 앙코르 공연을 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아티스트들은 종종 그들의 앙코어를 미리 계획하고, 그들은 보통 아티스트의 세트리스트에 포함된다; 한 가지 흔한 관행은 앙코르를 위해 그들의 가장 인기 있는 곡들 중 하나 이상을 남기는 것이다.그러나 오프닝 밴드는 거의 항상 세트 지속 시간에 제한이 있고 [citation needed]앙코르로 정해진 시간을 넘기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앙코어는 보통 헤드라이닝 아티스트에 의해서만 연주된다.
몇몇 아티스트들은 그들의 앙코르곡을 콘서트의 후반부에 포함시킨다.예를 들어, 자메이카 레게 음악가 밥 말리와 그의 밴드 더 웨일러스는 1979년과 1980년에 있었던 마지막 두 투어의 콘서트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전반전이 공연된 후, 청중들이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동안 악기를 다시 조율하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몇 분간 공연을 중단했다.그들은 약 [8]1시간 동안 "앙코어"로 콘서트를 계속했다.때로는 [9]앙코르 이후 한두 곡(앙코르로 공연하는 불가피한 공연이 아닌 전통적인 의미의 진짜 앙코르)을 추가로 연주하기도 했다.마찬가지로, 전 Guided by Voices의 리더였던 Robert Pollard는 그의 쇼의 전반부에서 그의 솔로 경력에서 나온 곡들을 연주하고, 그 후 불가피한 앙코르 곡들에서는 Guided by Voices의 긴 선곡들을 연주할 것이며, 두 곡의 시간은 대체로 [10]같다.
모던 록 음악 초창기에 엘비스 프레슬리는 그의 매니저 콜이 연습한 앙코르 곡을 연주하지 않았다. 톰 파커는 관객들에게 더 많은 것을 원하게 만들 작정이었다.지금은 유명한 "엘비스는 건물을 떠났습니다"라는 문구는 프레슬리가 헤드라이너가 아니었던 그의 경력 초기에 사용되었고, 그 후에 청중들은 프레슬리를 따르는 예술가들을 보기 위해 자리로 돌아와 달라고 간청했다.일단 그가 헤드라이너가 되면, 콘서트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11]앙코르 공연은 없을 것임을 암시하기 위해, 변함없이 "감사합니다, 그리고 안녕히 주무세요"라는 공손한 말이 뒤따랐다.
지미 버핏은 그의 콘서트에서 두 번째 앙코르로 알려져 있다.그와 그의 밴드는 보통 두 곡의 앙코르 곡과 밴드 인트로를 위해 그들의 세트를 공연하고 돌아온 후 무대를 떠난다.그런 다음 그들은 다시 무대를 떠나고 버핏은 두 번째 앙코르를 위해 홀로 무대에 올라 어쿠스틱 발라드를 연주하며 공연을 끝낸다.이 마지막 곡은 매 쇼마다 다른 곡이고 보통 잘 알려지지 않은 선곡이기 때문에 그의 열성 팬들이 가장 고대하는 곡이다. 많은 팬들은 버핏의 발라드가 그의 유명한 [citation needed]곡에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최고의 곡이라고 생각한다.버핏의 두 번째 앙코르 컬렉션은 앙코르라는 제목으로 2010년에 출시되었습니다.
모르핀의 프론트맨 마크 샌드먼은 때때로 그 관행을 조롱했다.모르핀 쇼가 끝날 때 손을 흔들며 "감사합니다!안녕히 주무세요!"라고 말했지만, 밴드는 자리를 지키고 있었고, 불빛은 어두워지지 않았다.몇 분 후, 밴드는 다시 [citation needed]연주를 시작할 것이다.
보스턴은 1980년대 [12]내내 네 개의 앙코르로 여러 공연을 했다.
The Cure와 Prince 둘 다 긴 싱글 앙코르 또는 여러 앙코르에 걸쳐 다수의 곡을 앙코르로 연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들의 세트 중 앙코르 부분이 처음 공연보다 더 오래 지속되기도 했다.The Cure는 몇 차례에 걸쳐 최대 5개의 엔코어를 연주했고 Prince는 최대 [13][14]7개의 엔코어를 연주했다.
어원학
앙코르라는 단어는 '다시, 조금 더'라는 뜻의 프랑스어 앙코르에서 유래되었다. 그러나 프랑스에서는 이런 식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이탈리아에서는 [15]앙코라이다.프랑스어 사용자들은 같은 상황에서 un autre ('other'), un rapel ('a return, curtain call') 또는 라틴어 bis ('second time')를 대신 사용합니다.이탈리아 사람들도 [15]bis를 사용합니다.영국에서는 19세기 초에 알트라 볼타(이탈리아어로 '또 다른 시간'을 의미함)가 사용되었지만,[16] 1900년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대체되었다.
레퍼런스
- ^ a b 옥스포드 음악 컴패니언의 랄랑지 코크레인, 앨리슨 래텀, ed.,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002, 2003
- ^ a b 솔로몬, 메이나드(1996), 모차르트: A Life, New York, HarperCollins, 1996, ISBN0-06-019046-9, 페이지 304
- ^ a b Barry, Colleen (February 24, 2007). "Tenor's encore breaks with La Scala tradition". The Seattle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04.
- ^ a b Wakin, Daniel J. (August 2008). "Ban on Solo Encores at the Met? Ban, What Ban?". The New York Times.
- ^ Parker, Roger (1997). Arpa d'or dei fatidici vati: The Verdian Patriotic Chorus in the 1840s. EDT srl. p. 23. ISBN 978-88-85065-15-4.
- ^ a b Joyce's Grand Operoar: Opera in Finnegans Wak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7. p. 18. ISBN 978-0-252-06557-6.
- ^ Martin, George Whitney (2003). "The Metropolitan Opera's Sunday Evening Concerts and Verdi". The Opera Quarterly. 19 (1): 16–27. doi:10.1093/oq/19.1.16.
- ^ "Bob Marley & The Wailers Setlist at Meehan Auditorium, Brown University, Providence". setlist.fm. Retrieved 2019-07-16.
- ^ "Bob Marley & The Wailers Setlist at Westfalenhalle 1, Dortmund". setlist.fm. Retrieved 2019-07-16.
- ^ "Robert Pollard Setlist at The Theatre of Living Arts, Philadelphia". setlist.fm. Retrieved 2019-07-16.
- ^ Bort, Ryan (2015-01-09). "Elvis Presley and the Dying Art of Leaving Them Wanting More". Esquire. Retrieved 2019-07-16.
- ^ "Boston Setlist at USF Sun Dome, Tampa". setlist.fm. Retrieved 2019-07-16.
- ^ "The Cure Setlist at Don Haskins Center, El Paso". setlist.fm. Retrieved 2019-07-16.
- ^ "Prince Setlist at Festival International de Jazz de Montréal 2011". setlist.fm. Retrieved 2019-07-16.
- ^ a b "encore".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 ^ "Altra Volta", George Grove, ed., 음악과 음악가 사전(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