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자이저 버니

Energizer Bunny
에너자이저 버니
Energizer Bunny.png
첫 등장1988년 10월 30일
회사전원 장치
In-universe 정보
종.토끼
제휴전원 장치

Energizer Bunny는 북미에서 Energizer 배터리의 마케팅 마스코트입니다.선글라스와 파란색과 검은색 줄무늬 플립플롭을 착용한 분홍색 기계식 토끼로, Energizer 로고가 새겨진 베이스 드럼을 두드립니다.

역사

1988년 광고 데뷔작 '에너지라이저 버니'
광고 전문

에너자이저 버니는 1973년 TV 광고에 처음 등장한 두라셀 버니의 패러디로 처음 만들어졌다.두라셀은 드럼을 치는 토끼 캐릭터에 상표권을 부여했다고 전해졌지만, 그들이 그랬든 아니든 간에 상표권이 1988년까지 소멸되어 Energizer에 그들만의 [1]상표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최초의 [2][3]Energizer Bunny 광고는 1988년 10월 30일 미국 TV에서 방송되었다.DDB Needham Worldwide가 제작한 이 스팟은 Duracell의 "Dumming Bunny" 광고를 직접 패러디하여 시작되었습니다.오리지널 듀라셀 광고에서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드럼 연주용 장난감 토끼 세트가 듀라셀 구리 탑 배터리로 구동되는 장난감만 활성화될 때까지 서서히 멈춘다.Energizer의 패러디에서 Energizer Bunny는 광고 중간에 스크린에 들어가 거대한 베이스 드럼을 치고 머리 [4]위로 망치를 휘두른다.

Energizer Bunny는 경쟁 브랜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유사한 장난감(또는 다른 제품)보다 적어도 훨씬 더 오래 작동할 수 있도록 홍보됩니다.Duracell이 그들의 배터리를 Energizer와 [5]같은 유사한 알칼리 배터리가 아닌 탄소-아연 배터리와 비교했다는 것이 비판이었다.D.D.B.의 크리에이티브 팀.이 토끼를 구상하고 디자인한 시카고는 원격조종 소품인 Energizer Bunny를 만들기 위해 All Effects 특수효과 회사를 선택했습니다.All Effects는 대부분의 [citation needed]첫 광고에서 Energizer Bunny를 작동시켰다.

후속 광고에서 버니는 "Dumming Bunny" 광고를 했던 스튜디오를 떠나 가상의 제품 광고 세트장을 돌아다니며 그들의 행동을 방해했다.캠페인이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광고의 대부분은 독립형이었고('시타긴 치질 구제제', '나소틴 정강 구제제', '트레스카페 커피', '경보' 탈취 비누 등), 심지어 몇몇 유명인사들이 간식을 홍보하는 '누겐트, 스키긴스'도 있었다.(악명 높은 광고 중 하나는 영국의 한 커플과 함께 가짜 장거리 전화 회사가 뉴욕에 있는 아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바로 옆집인 것처럼 들렸다"고 외쳤기 때문에)""aracha"는 그의 드럼을 치며 버니가 행진하게 했고, 버니가 들어왔을 때 그는 노크를 했다.칸막이를 내려서 정말 옆에 있다는 걸 보여주죠)결국 실제 제품과 아이콘은 Energizer Bunny크로스오버를 하게이다.Energizer Bunny는 115개 이상의 TV [6]광고에 출연했다.이러한 광고에서, 보이스 오버는 몇 년 동안 사용된 다양한 슬로건 중 하나를 발표할 것입니다.그것들은 모두 Energizer Bunny의 견고함과 배터리의 지속력을 관련짓습니다.당초의 슬로건은 「...」라고 자랑했다.[n]o o가 Energizer보다 오래가는..."라고 말했지만, Duracell이 Energizer의 [7]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결국 변경되었다.토끼가 광고의 모든 액션을 방해한 광고는 결국 1993년 영화 Hot Shots에서 스푸핑되었다! 핑크 토끼 대신 파란색 동물이 북을 치는 파트 듀스.그리고 나서 싸우는 두 사람은 그들의 총을 사용하여 동물을 쏘고, 그것은 폭발한다.

1990년대

1990년대에 Energizer Bunny를 주인공으로 한 광고는 Industrial Light & Magic, Cafe FX, Method Studios를 포함한 다양한 회사에 의해 만들어졌다.그러나 Eric All Effects Company는 라이브 액션 Energizer Bunny의 빌딩, 유지보수 및 인형극의 대부분을 ILM이 담당하여 이후의 [8]광고를 실시했습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Energizer는 "Supervolt"라는 가짜 경쟁 배터리를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연재했는데, 이는 두라셀의 명백한 외관인 "Supervolt" 마스코트를 포함한 것이다.슈퍼볼트의 배터리 판매량이 떨어지자 최고경영자(CEO)(RIP Torn)는 배터리를 겨냥해 에너자이저 버니를 무력화하려 했다.Supervolt의 CEO는 그를 도울 수 있는 사람들을 찾았다.

  • 첫 번째 광고는 배터리를 파괴하기 위해 물질 분해 장치를 사용할 계획이었던 블로펠트와 같은 사악한 천재가 출연했습니다.Supervolt 배터리가 떨어지자 전원이 꺼졌다.
  • 두 번째 광고는 슈퍼볼트의 CEO가 그에게 (바나나에 대한) 보상 카드를 준 킹콩이 출연했습니다.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Energizer Bunny를 코너링할 때 King Kong이 화가 난 한 여성이 그의 발에 있는 창문을 쾅 내려서 그가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떨어지게 했다.

이어진 많은 관련 광고에서 다스 베이더, 서쪽사악한 마녀, 와일 E같은 악당들이 등장한다. 코요테, 보리스, 나타샤는 로봇 벼룩뿐만 아니라 토끼를 파괴하거나 포획하려고 했지만, 슈퍼볼트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가 떨어지거나 토끼의 탈출을 위한 다른 상황이 허락되었을 때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게다가, 독수리 떼와 여우사냥꾼들은 에너지라이저 버니를 잡으려다 지쳐버렸고, 저승사자는 에너지라이저 버니가 그와 함께 오기를 기다리는 것을 포기했다.

"Blofeld" 광고는 악당에게 합병증을 일으켰을 때 광고된 제품의 품질을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Energizer가 다른 어떤 브랜드보다 낫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연기 감지기용 Energizer 배터리를 구매하도록 장려하기 위해서였습니다.

2016

2016년 9월, Energizer는 광고 대행사를 Camp+King으로 바꾸고, 보다 날씬하고 표정이 풍부한 새로운 토끼를 선보였다.토끼는 시그니처 드럼, 플립 샌들, 어두운 선글라스를 보관하지만 분홍색 털이 더 [9]사실적일 것이다.

캠페인의 성공

이 캠페인의 엄청난 인기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광고가 나간 몇 년 동안 에너자이저 배터리의 판매량은 감소했습니다.Duracell은 고객 중 40%가 이 캠페인이 Energizer가 아닌 Duracell을 홍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지만 증거는 제공하지 않았습니다.추측에 따르면 TV 시청자들은 여전히 핑크 버니를 듀라셀과 연관짓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Energizer 광고는 실제로 그들의 [10]광고보다는 그들의 경쟁사의 판매를 돕고 있었다.

대중문화에서

2008년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에 등장한 에너지라이저 토끼

북미에서 "에너지 버니"라는 용어는 끝없이 계속되는 어떤 것, 즉 엄청난 체력을 가진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유럽과 호주에서 "두라셀 토끼"라는 용어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1992년 조지 H. W. 부시 대통령[11]2004년 하워드 딘을 포함한 몇몇 미국 대통령 후보들은 자신들을 토끼에 비유했다.

1992년 PC Dynamics사는 [12]광고의 오디오 클립을 갖춘 Energizer Bunny를 특징으로 하는 Windows 3.x용 스크린세이버를 만들었습니다.

로잔느의 9번째 시즌 동안 블루스 트래블러 리드 가수 존 포퍼가 부른 가사는 "만약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드는 것이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드는 것이라면, 우리는 더 오래 갈 것이다/ 중국에서 가장 큰 벽이나 [13]드럼을 든 토끼보다.

Energizer는 디즈니랜드 파크와 디즈니의 할리우드 스튜디오에서 수년간 스타 투어의 기업 스폰서였다; 이 토끼는 쇼의 폐막 무렵의 몇몇 놀이기구 테마 광고에 출연했다.

2006년, Energizer Bunny balloonicle은 메이시스의 추수감사절 퍼레이드에 데뷔하여 2011년까지 등장했습니다.

2007년 10월 31일, TY는 2007년 11월 23일의 생일과 함께 Energizer Bunny Beanie Baby를 Walgreens Exclusive로 발매했습니다.태그의 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집에서도 직장에서도 놀이에서도

E.B.를 방해하는 건 없어

그리고 여기 확실히 알만한 것이 하나 있다.

이 토끼는 계속 왔다 갔다 해요!"[14]

년 동안 코미디언이자 복화술사인 제프 던햄은 에너자이저 버니에 대해 반복적으로 농담을 했다.그의 "심술궂은 노인" 인형인 월터는 특히 성가신 예로 토끼를 들며 그들의 방송을 방해하는 광고에 대해 묻곤 했다.이 농담은 종종 월터가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 끝나곤 했다. "나는 그의 털북숭이 작은 엉덩이를 가두고 싶다...'시어즈 다이하드'에 연결시켜라"라고 말했습니다. MAD 스케치 HOPS에서 E.B는 경찰을 속여 에너지제 토끼를 잡았습니다.

법적 과제

1990년 듀라셀 상표권 분쟁

Energizer의 1988년 패러디가 광고의 성공을 거두고 Energizer의 토끼 상표를 등록하자, Duracell Bunny 캠페인은 부활하기로 결심하고 10여 년 전에 [15]이 캐릭터의 원래 사용을 언급하며 미국 고유의 새로운 상표를 신청했다.이 분쟁은 1992년 1월 10일 법정 [16]합의에서 비밀리에 이루어졌으며, Energizer(및 그 토끼)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독점 상표권을, Duracell(및 그 토끼)은 [17]세계 다른 모든 곳에서 독점권을 갖게 되었다.

1991년 아돌프 쿠어스 소송

1991년 Energizer Holdings는 Energizer Bunny [18]광고 패러디를 만들었다는 이유Adolf Coors Company를 저작권 침해 혐의로 고소했지만 실패했습니다.

이 광고는 코미디언 레슬리 닐슨이 토끼 귀를 쓰고 베이스 드럼을 치는 장면이었고 아나운서는 "그것은 계속 자라고 있어요!"라고 말했다.법원은 결국 닐슨이 장난감이 아니었고 [19]배터리로 달리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광고 내용이 상당히 다르다는 명백한 사실을 언급하며 쿠어스의 손을 들어주었다.

2016년 듀라셀 유통 소송

에너자이저는 2016년 2월 듀라셀을 상대로 상표권 침해 및 계약 위반 소송을 제기했다.에너자이저는 듀라셀, 분홍색 토끼는 미국의 어떤 상표권 권리를 갖지 못했고, 에너자이저 인용의 경우 ove에서 왔다 대답했다 에너자이저와 듀라셀 사이의 협정이 분홍색 토끼 상표 U.S.[20]듀라셀의 사용을 관리하는 위반했다고 미국의 광고에 분홍색 토끼를 사용한다고 주장했다.개발해외로부터 패키지를 수입하는 유통업자는 Duracell이 그러한 유통업자가 그렇게 [21]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2017년 11월 미국 지방법원 판사는 Energyizer의 청구 대부분을 즉결판결에서 기각했지만 1992년 두 회사의 토끼 [22]상표에 관한 영토 계약 분쟁의 위반은 그대로 두었다.

메모들

  1. ^ "Energizer's Famous Pink Bunny Is Still Going After 27 Years, and It's Getting a Makeover". www.adweek.com. Retrieved 2018-12-31.
  2. ^ "ENERGIZER Trademark - Registration Number 1706308 - Serial Number 73824785 :: Justia Trademarks". trademarks.justia.com. Retrieved 2018-12-31.
  3. ^ pannoni 8 (2016-07-16), October 30, 1988 commercials, retrieved 2018-12-31
  4. ^ Cross, Mary (2002). A Century of American Icons: 100 Products and Slogans from the 20th-Century Consumer Culture. Greenwood Press. pp. 199–201. ISBN 978-0313314810. Retrieved 4 September 2020.
  5. ^ "Energizer Bunny - Introduction - 1989". YouTube. 2007-11-17. Retrieved 2010-02-08.
  6. ^ Energizer Bunny 이력 Energizer.com - 취득한 내용:2007년 7월 5일
  7. ^ Pott, Carol (Ed.) , (2005)블루 페이지: 정치와 실천으로 평가된 기업 목록.폴리포인트 프레스(Energizer Holdings, Inc.)
  8. ^ "Archived copy". www.donbie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0. Retrieved 12 January 2022.{{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9. ^ Neff, Jack (2016-09-14). "In the Pink: Sightings of Slimmer Energizer Bunny Will Multiply". Advertising Age. Retrieved 2016-09-14.
  10. ^ 이러한 크리에이티브 TV 광고는 상업적으로 실패할 수 있습니다.http://articles.philly.com/1997-11-25/news/25542942_1_tv-ads-new-ad-agency-duracell
  11. ^ "Still going and going: Energizer Bunny enters his 20th year". USA Today. Associated Press. 2008-11-29. Retrieved 2008-11-29.
  12. ^ Daniel Rose. "Windows® 1.x, 2.x, 3.x - Energizer Bunny Screen Sav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7, 2015. Retrieved June 16, 2017.
  13. ^ "Roseanne Lyrics - Theme Song Lyrics".
  14. ^ "Energizer Bunny "E.B." (Walgreens Exclusive)". Beanie Babies Price Guide. 2015-06-04. Retrieved 2021-07-07.
  15. ^ "Trademark - Registration Number 1821026 - Serial Number 74124602 :: Justia Trademarks". trademarks.justia.com. Retrieved 2018-12-31.
  16. ^ "ENERGIZER BRANDS, LLC, vs.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E GILLETTE COMPANY, and DURACELL U.S. OPERATIONS, INC" (PDF). www.duetsblog.com. 2016-02-18. Retrieved 2019-01-01.
  17. ^ Davies, Rob (2016-05-25). "A case that will run and run: Duracell and Energizer's court fight over rabbit mascots".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2018-12-31.
  18. ^ Evready Battery Coors, Inc. Adolf Coors, 765 F.보충 제440호(1991년 제2호)
  19. ^ O'Reilly, Terry (23 March 2017). "Commercial Parodies!". CBC Radio One. Pirate Radio. Retrieved 25 March 2017.
  20. ^ Mueller, Angela (Feb 19, 2016). "P&G faces Energizer lawsuit". Cincinnati Business Courier.
  21. ^ Davies, Rob (2016-05-25). "A case that will run and run: Duracell and Energizer's court fight over rabbit mascots".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2018-12-31.
  22. ^ Knef, Sam. "Judge sides with Duracell in pink toy bunny dispute with Energizer". stlrecord.com. Retrieved 2019-01-0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