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의 에너지
Energy in Hawaii하와이의 에너지는 화석 연료와 재생 가능한 자원의 혼합물이다. 그것은 주의 고립된 위치와 화석 연료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복잡하다. 그 주는 석유와 석탄의 수입에 전력을 많이 의존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와이는 2017년 약 62%의 전기가 석유에서 나오는 등 미국에서 석유 사용 비중이 가장 높다. 2016년 기준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등 재생 가능한 원천에서 나오는 전기는 26.6%에 이른다.
하와이는 미국에서 전기료가 가장 비싸다. 2016년 기준 평균 전기요금은 킬로와트시 당 0.24달러였고, 그 다음으로는 알래스카가 0.19달러였다. 미국 평균은 0.10달러였다.
소비
하와이의 에너지 소비량은 2016년 83%(2008년 85.0%, 1960년 99.7%)를 공급한 석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16년 다른 공급원으로는 석탄(5.6%)과 재생에너지(11.2%)가 꼽혔다. 2017년 재생 가능 전력 공급원은 다음과 같다.
분산 PV | 33.50% |
유틸리티 스케일 PV | 4.90% |
바람 | 26.60% |
수력 | 3.60% |
지열 | 10.50% |
바이오 연료 | 1.60% |
바이오매스 | 19.20% |
정부 지원
입법
하와이는 태양에너지 설비가 생산성이 낮은 농경지에 위치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HB 3179는 바이오 연료 생산자들이 주 토지를 임대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SB 3190과 HB 2168은 하와이 섬에 위치한 하와이 당국 자연 에너지 연구소의 오아후 태양 에너지 시설과 수소 생성 및 전환 시설 자금 조달을 돕기 위해 특수 목적 수익 채권을 승인했다.
2010년에 SB644는 신규 건설을 위해 태양열 온수기를 의무화했다. 법안은 태양광 자원이 열악한 지역에 위치한 주택, 기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주택, 온디맨드 가스 연소 온수기를 사용하는 주택 등은 제외했다. 이 법안은 가정에 대한 태양열 에너지 세액 공제를 폐지했다.[1]
SB988은 하와이 공익사업위원회가 태양광발전시스템에 대한 리베이트를 제정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HB2550은 주거용 및 소규모 상업용 고객에 대한 순계측을 장려했다.
2008년 HB 2863은 최소 200메가와트 용량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합리적으로 허용했다. HB 2505는 국가가 허가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풀타임 재생 에너지 촉진자를 만들었다. HB 2261은 농장과 양식시설의 재생에너지 사업비의 최대 85%와 150만 달러의 융자를 제공했다.
HRS 235는 비용의 35% 또는 $5,000 미만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한 소득세 공제를 설정하였다.[2]
하와이 클린 에너지 이니셔티브
2008년 1월 28일, 하와이 주와 미국 에너지부는 2030년까지 하와이의 에너지 수요의 70% 이상을 공급하기 위해 재생 에너지를 개발하려는 하와이 클린 에너지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3][4][5]
이 이니셔티브는 공공 및 민간 파트너와 함께 소규모 섬에서 재생 에너지 100% 사용을 위한 비용 효율적인 접근법 설계, 그리드 안정성 개선, 가변 발전원 통합, 연료 및 e 생산에 하와이 지역 재배 작물 사용 능력 확대 등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 협력할 예정이다.강의력[6]
파트너로는 미국 에너지부 - EERE, 하와이 주, 하와이 전기 회사, 피닉스 자동차 등이 있다.
하와이공단의 자연에너지 연구소
하와이공단의 자연에너지연구소는 실험 재생에너지 발전방법과 시범공장의 시험장이다. 원래 해양 열 에너지 변환(OTEC)을 테스트하기 위해 건설된 이 회사는 나중에 양식업, 조류에서 나오는 바이오 연료, 태양열 에너지, 집광 태양열 및 풍력 발전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원의 다른 지속 가능한 사용에 대한 연구를 추가했다.
부문별 에너지 사용량
교통
당초 2020년 말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됐던 전기 호놀룰루 철도망은 이르면 2019년 현재 2025년으로 예정돼 있었다.[7][8]
전기
하와이 인구의 95%는 하와이 전기산업이 공급하고 있다. 카우아이는 소비자 소유의 카우아이섬유틸리티협동조합이 공급한다. 2018년 기준 총파견 가능용량은 1727MW, 간헐발전용량은 588MW.[9] 각 섬이 자체 전력을 생산한다.[10]
기름
석유는 일차 에너지 자원이다.
태양열 발전
하와이의 태양열 발전은 가정용 에너지 발전을 전기 구입 비용보다 낮게 만들며 빠르게 성장했다. 2013년 기준 1인당 태양광 발전량에서 하와이는 애리조나에 이어 2위였다. 오아후 고객의 약 10%가 태양 전지판을 가지고 있었다. 몇몇 유틸리티 규모의 태양열 농장은 가정형편 분산을 따라 운영되었다. 2017년 태양열 발전은 주 전력의 38.4%를 생산했다.[citation needed]
카우아이는 밤에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설치했다.[11]
2020년 3월 현재, 916 MW의 태양열 발전 용량이 설치되었다.[12]
풍력 발전
하와이는 바람이 강하고 비교적 한결같다. 하와이의 풍력은 2015년에 총 전력의 6.4%를 발생시켰다.[13] 하와이는 1980년대 중반 340kW의 터빈으로 2.3호인 마우이에 풍력발전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오아후의 MW 랄라밀로 웰스 풍력발전소와 하와이 섬의 9 MW 카마오아 풍력발전단지.[14] 오아후의 3.2 MW 풍력 터빈인 MOD-5B는 1987년에 세계에서 가장 컸다. 이러한 초기 사례들은 2010년까지 모두 사용이 중단되었다. 하와이에는 2017년 기준 총 206MW의 상용 풍력발전기가 114개 있다.[citation needed]
바이오매스
하와이는 10MW 호놀룰루 국제공항 비상전력 설비, 카우아이 6.7MW 그린에너지 농업 바이오매스 대 에너지 설비, 오아후 6.6MW 폐기물-에너지 호누아 전력 프로젝트 등 여러 바이오매스 전력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21.5 MW Hu Honua 공장은 12년 동안 소송에 휘말려 왔으며 현재 온라인 상태가 아니다. 라이프 오브 더 랜드가 하와이 연방대법원의 상고심에서 승소해 공익사업위원회에 재송부됐다. [15] 워틸레는 2017년 오아후의 스코필드 막사 육군기지에 설치될 하와이 일렉트릭을 판매했다. 이 발전소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한 고체 연료나 가스 연료로 가동될 수 있다.[16]
퍼시픽 바이오디젤은 하와이 섬에 바이오디젤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하와이 전기 산업, 호놀룰루 시와 카운티, 해양 회사 익스텐드 호라이즌에 연료를 공급한다.[17]
석탄
하와이는 새로운 석탄 발전소를 금지했다.[18] 하나의 발전소는 180 MWe를 발생시키는 AES 하와이 발전소에서 운영된다.[19] 이 공장은 2022년 9월까지 폐쇄될 것으로 예상된다.[20]
웨이브 파워
미 해군과 하와이대학은 가네오헤 만에서 파동에너지 시험장을 운영하고 있다.[21]
아즈라는 2012년 오아후 가네오헤 만 북쪽 해안에서 6주간의 실험을 끝냈다.
지열
푸나 지열 벤처는 1989년과 1993년 사이에 하와이 섬에 건설되었다. 2018년 하부 푸나 분화로 가동이 중단된 2018년 5월까지 가동한 뒤 2020년 11월 발전을 재개했다.[22]
조류연료
셀라나는 하와이 카일루아코나에 있는 2.5헥타르(6.2에이커)의 연구소에서 조류로부터 석유를 생산한다. 미세조류는 에너지 작물로서 상당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에이커 당 석유 생산량이 잠재적으로 식물성 기름 작물의 생산량을 훨씬 초과할 수 있다. 셀라나(이전에는 HR BioPetroum)는 하와이 섬의 서쪽 해안에 있는 하와이 당국의 자연 에너지 연구소에서 임대된 토지에서 조류를 재배하기 위한 시범 시설에서 로열 더치 쉘과 협력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홈빌더 치맛자락 태양법 2011년 1월 09일 호놀룰루 스타 광고주, 알란 요난 주니어, 새 주택의 20% 이상이 태양열을 추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허점을 이용한다.
- ^ "House Bill". www.capitol.hawaii.gov. Retrieved 2020-09-02.
- ^ http://www1.eere.energy.gov/office_eere/hawaii_clean_energy.html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27. Retrieved 2012-08-19.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http://apps1.eere.energy.gov/news/pdfs/hawaii_mou.pdf
- ^ http://news.xinhuanet.com/english/2008-01/31/content_7529675.htm
- ^ "Rail Facts - All FAQ's Honolulu Authority for Rapid Transportation". Retrieved 4 January 2018.
- ^ Cook Lauer, Nancy (December 24, 2018). "Honolulu Rail Project Struggles to Stay on Track".
- ^ "Power Facts". www.hawaiianelectric.com.
- ^ "Can Hawaii go 100% Renewable?". January 12, 2017.
- ^ Geuss, Megan (March 8, 2017). "Kauai is moving from diesel generators to renewable energy with help from Tesla". Ars Technica.
- ^ https://www.hawaiianelectric.com/documents/clean_energy_hawaii/clean_energy_facts/pv_summary_1Q_2020.pdf
- ^ "2017 Energy Facts and Figures" (PDF). energy.hawaii.gov. June 2018.
- ^ 풍력에너지, 하와이 전기회사 웨이백머신에 2015-06-04 보관, 2013
- ^ [1] 2020-08-10년 일릴라니.미디어(오류: 알 수 없는 아카이브 URL), 일릴라니 미디어, 2020년 8월 10일
- ^ 2014년 12월 2일 하와이 바이오매거진, 바이오매거진, Erin Voegele, Biomass Magazine 프로젝트에 50 MW 공장을 제공하는 Bartsila
- ^ "Pacific Biodiesel will export biofuel to California". mauinews.com. Retrieved 2020-09-02.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7, 2013. Retrieved August 19, 201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Existing Electric Generating Units in the United States, 2006" (Excel).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Energy. 2006. Retrieved 2008-07-14.
- ^ "Hawaiian Electric plans for 2022 closing of Oahu coal plant". Institute for Energy Economics & Financial Analysis. 2019-04-04. Retrieved 2020-01-27.
- ^ 2014년 7월, 비벌리 크리머, 하와이 비즈니스, 웨이브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하기 위해 해군과 민간 기업이 협업
- ^ https://www.bigislandvideonews.com/2020/11/12/puna-geothermal-venture-goes-back-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