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문화
Enrichment culture농축 문화란 특정 생물의 성장을 다른 미생물보다 유리하게 하기 위해 특정 생장 매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관심 미생물에 대한 샘플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관심 있는 유기체의 성장만을 허용하는 영양소나 환경 조건을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농축 배양균은 검출 가능한 수준으로 소수의 원하는 유기체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영양소 필요를 가진 미생물을 검출하고 식별할 수 있다.[1] 농축 문화는 종종 토양과 배설물 샘플에 사용된다. [2]
역사
미생물학자 마르티누스 베이제린크는 최초의 풍요로운 문화를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3] 세르게이 위노그라드스키도 다른 문화를 이용한 박테리아 실험을 했다.[4]
예
염분 농도가 높은 매체는 할로파이를 선택한다.
셀레나이트 육수는 살모넬라균 종을 선별적으로 분리하는 데 쓰인다. 알칼리성 펩톤 워터는 비브리오 재배에 사용된다.[5] 이 두 가지 예는 모두 대변 검체와 관련된 임상 미생물학과는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Schlegel, Hans G. (1995). General microbiology (7 ed.).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pp. 204–205. ISBN 978-0521439800.
- ^ 토토라, 제라드 J, 베르델 R. 펑크, 크리스틴 L. 케이스. (2014). "마이크로바이올리기: 소개" 12e. 뉴욕시: 피어슨 교육. // 161.
- ^ Beijerinck, Martinus W. (1901). "Anhaufungsversuche mit Ureumbakterien". Centralblatt F. Bakteriologie, II. 7: 33–61.
- ^ Winogradsky, Sergei (1890). "Sur les organismes de la nitrification".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110: 1013–1016.
- ^ "Product Center: Alkaline Peptone Water (for Vibrio), 8 mL". Retrieved 28 August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