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식성 접힘
Epicanthic fold대식성 접힘 | |
---|---|
![]() 윗눈꺼풀의 피부 주름이 눈의 안쪽 각도를 덮고 있는 한국 소녀 | |
세부 사항 | |
동의어 | 에피칸탈 폴드, 에피칸투스, 아이 폴드,[2] 몽골로이드 폴드,[3] 팔페브론아살 폴드[4] |
발음 | /ˌɛp ɪˌk æk ˈk ʊfo θɪld/[5] |
식별자 | |
라틴어 | 팔페브로나살리스[1] |
TA98 | A15.2.07.028 |
TA2 | 211 |
FMA | 59370 |
해부학 용어 |
에픽앤틱 폴드(Epicanthus[6] fold)는 눈의 안쪽 모서리(가운데 칸투스)를 덮는 위쪽 눈꺼풀의 피부 주름입니다.[3]그러나 이 특징의 본질에 변이가 발생하고 관련 문헌에서 "부분적인 서사시적 접힘" 또는 "약간의 서사시적 접힘"의 소유가 주목됩니다.[7][8][9]조상, 나이, 특정한 의학적 상태를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들이 에피칸틱 주름의 형성 여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어원
에피칸토스는 '캔토스 위'를 의미하며, 에피칸토스는 고대 그리스 ἐπί κα νθός의 라틴어화된 형태인 '눈의 모서리'입니다.
분류
진귀한 접힘 형태의 변화로 인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이 인식되고 있습니다.
- 진피낭은 미간에서 아래쪽으로 휘어서 눈물주머니를 향해 뻗어 있습니다.
- 에피칸투스 팔페브랄리스(Epicanthus palpebralis)는 위쪽 타르수스 위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궤도 테두리까지 확장됩니다.
- 상완충은 눈꺼풀 윗쪽 주름에서 기원하며, 안쪽 칸투스 근처의 피부에 합쳐집니다.이것은 동아시아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유형입니다.
- 상완충은 아래 눈꺼풀 피부에서 안쪽 칸투스 위로 이어져 위쪽 뚜껑까지 이어집니다.[10]
민족지리학적 분포
고주파 집단
서사시 주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빈도는 특정 인구나 민족에서 발견됩니다.동아시아인, 동남아시아인, 중앙아시아인, 북아시아인, 폴리네시아인, 미크로네시아인, 아메리카 원주민, 일부 아프리카인(특히 코이산족과 닐로틱족).남아시아인들 사이에서, 그들은 네팔인,[11][better source needed] 부탄인, 북동인도인,[11] 키라티인, 그리고 인도 동부와 남부의 특정한 아디바시[11] 부족 사이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발생합니다.인도 북부, 특히 카슈미르에서 흔하게 발견됩니다.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하자라 사람들은 흔히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파키스탄 동부와 북부의 일부 사람들은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 중 일부에서 이러한 특성은 거의 보편적이며, 특히 동아시아인과 동남아시아인에서 대부분, 일부 추정에서 최대 90%의 성인이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12]
저주파 집단
다른 개체군에서도 상당히 낮은 빈도로 에픽션 주름이 발생합니다.유럽인(예:[17] 스칸디나비아인, 영어, 아일랜드인,[13] 헝가리인, 러시아인, 폴란드인,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핀란드인, 에스토니아인, 사미스인),[14][15] 유대인, 남아시아인(벵갈리스인,[11] 싱할라인,[16] 동남아시아의 다른 집단 중에서도),[11] 닐로테스인, 쿠시인, 아마자이인.
인식과 귀속

개체 간 접힘의 발달 정도는 매우 다양하며, 그 존재 또는 부재의 귀속은 종종 특정 관찰자의 공동체 내에서의 특성 발생과 관련된 정도로 주관적입니다.또한, 그것의 빈도는 유라시아 전역에서 임상적으로 다양합니다.따라서 생물학적 집단을 정의하는 표현형 표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9]
진화함수가능성
대식증적 주름은 종종 안구 주위 지방 침착의 더 높은 수준과 관련이 있습니다.지방 조직은 추위의 영향, 특히 추운 바람의 영향으로부터 눈과 부비동에 더 큰 절연을 제공하고 추운 기후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또한 이 접힘 자체가 눈 실명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동남아시아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추위에 적응한 조상들의 후손일 가능성과 연관될 수 있지만, 다양한 아프리카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이 설명에 열려 있지 않습니다.많은 아프리카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는 진귀한 주름은 사막과 반 사막 지역에서 발견되는 높은 수준의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과 잠정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18]
에피칸틱 주름의 정확한 진화적 기능과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과학적인 설명은 임의의 변화와 선택(아마도 성적 선택), 또는 사막 환경 및/또는 히말라야와 같은 고지대 환경에서 발견되는 높은 수준의 자외선에 대한 가능한 적응을 포함합니다.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물리인류학자인 프랭크 포이리어 박사는 아시아 사람들 사이의 식인류적 습성은 종종 극심한 추위나 열대 환경에 대한 적응의 일부로 설명되지만, 그는 이 두 가지 설명 중 어느 것도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의 그것의 존재를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제안합니다.그리고 아일랜드와 아프리카 사람들에게서도 그 주름이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합니다.그는 이 대식증적인 주름이 하나 이상의 특성이나 기능을 통제하는 흉노병적인 유전자에 기인한다고 합니다.그는 또한 서사시적 주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19]
기타요인

나이
많은 태아들은 임신 3개월에서 6개월 후에 진귀한 주름을 잃습니다.[20]모든 민족의 어린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서, 특히 콧대가 완전히 발달하기 전에 에피칸틱 주름이 보일 수 있습니다.[21]
병세
진탕성 주름의 유병률은 젤위거 증후군이나[22] 누난 증후군과 같이 선천적인 이상의 징후로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비강교가 발달하지 못하고 돌출되는 의학적인 상태는 또한 대식증 접힘과 관련이 있습니다.다운 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약 60%가 현저한 대식증 주름을 가지고 있습니다.[23][24]1862년 존 랭던 다운은 현재 다운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것을 분류했습니다.그는 그 상태에 대해 mongoloid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이것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인종 이론과[25] 다운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이 블루멘바흐의 몽골 인종과 신체적으로 비슷한 얼굴을 가지고 있다는 그의 인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몽골로이드(mongoloid)라는 용어는 1970년대 초까지 계속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그러한 질병에 대해 경멸적이고 부정확한 것으로 여겨지며 1970년대 이후로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26]다른 예로는 태아 알코올 증후군, 페닐케톤뇨증, 터너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27]
참고 항목
- 방광염
- 에픽앤토성형술, 에픽앤토픽 주름의 수술적 변형
- 사람의 신체적 외모
참고문헌
- ^ "AllRefer Health – Epicanthal Folds (Plica Palpebronasalis)". AllRef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anuary 2010. Retrieved 1 October 2009.
- ^ "Eye fold".
- ^ a b Das, Ram Narayan (1997). Sterling Dictionary of Anthropology. Sterling. ISBN 9788173590689.
- ^ "Palpebronasal Fold - Medical Dictionary Search". Stedman's Medical Dictionary. 2006. Retrieved 1 October 2009.
- ^ Wells, John (3 April 2008).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3rd ed.). Pearson Longman. ISBN 978-1-4058-8118-0.
- ^ "Epicanthus definition of epicanthus by Medical dictionary". Retrieved 21 July 2020.
- ^ Powell, M. L. (1981) 아동의 발달 변화와 문제의 평가 및 관리, Mosby, Incorporated, p. 38 ISBN 9780801615207
- ^ U. Schilbach, U. and Rott, H-D. (1988) 안구 저혈압, 점막하 구순구개열 및 저경구개열: 새로운 상염색체 우성 증후군,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31, pp. 863–870
- ^ a b Lang, Berel, ed. (2000). Race and Racism in Theory and Practice. Rowman & Littlefield. p. 10. ISBN 9780847696932.
- ^ Nguyen, M.Q., Hsu, P.W. and Dinh, T.A. (2009) Asian Blepharoplasty, Semin Plast Surg. 2009 Aug; 23(3), pp. 185–197 doi: 10.1055/s-0029-1224798, p. 189
- ^ a b c d e Coon, Carleton Stevens; Hunt, Edward E. (21 April 1966). "The Living Races of Man". Cape – via Google Books.
- ^ Lee, Yoonho; Lee, Euitae; Park, Won Jin (2000). "Anchor Epicanthoplasty Combined with OutFold Type Double Eyelidplasty for Asians: Do We Have to Make an Additional Scar to Correct the Asian Epicanthal Fold?".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05 (5): 1866–70, discussion 1871. doi:10.1097/00006534-200004050-00040. PMID 10809118.
- ^ "Q&A". The New York Times. 8 October 1985. ISSN 0362-4331. Retrieved 12 November 2016.
- ^ "epicanthic fold (anatomy)".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5 April 2014.
- ^ Montagu, A. (1989). Growing Young (2nd ed.). Granby, Mass: Bergin & Garvey. ISBN 978-0-89789-166-0.
- ^ Angel, J. Lawrence (1963). "The Physical Anthropology of Ceylon. Howard W. Stoudt". American Anthropologist. 65 (3): 694–695. doi:10.1525/aa.1963.65.3.02a00260.
- ^ Hassan, M. M. (September 1962). "Mongolism in Sudanese children". Journal of Tropical Pediatrics. 8 (2): 48–50. doi:10.1093/oxfordjournals.tropej.a057626. PMID 13905256.
- ^ Lang, Berel, ed. (2000). Race and Racism in Theory and Practice. Rowman & Littlefield. pp. 10–11. ISBN 9780847696932.
- ^ "ORIGIN OF SHAPE OF ASIAN EYES IS STILL A MYSTERY TO SCIENTISTS". Chicago Tribune.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물리인류학자 프랭크 포이리어 박사의 말에 따르면, 서사시 주름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은 아시아인들이 많이 사는 열대와 북극 지역에 대한 적응으로 묘사된다고 합니다.주름은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제 또는 추위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담요로 설명됩니다.포이리에에 의하면, 이 이론의 문제는 아시아 인구의 상당 부분이 열대와 북극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게다가, 그는 선인적인 주름살이 아시아인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존 F. 그는 케네디의 성향은 유럽인, 특히 아일랜드인들 사이에서 발견된다고 말했습니다.그것은 단지 덜 널리 퍼져있을 뿐입니다.그 주름은 전세계의 유아들 사이에서도 발견됩니다.포이리에 교수는 이 주름이 하나 이상의 특징이나 기능을 제어하는 단일 유전자인 흉선성 유전자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그 기원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습니다."
- ^ Park JI (1 January 2000). "Modified Z-Epicanthoplasty in the Asian Eyelid". Archives of Facial Plastic Surgery. 2 (1): 43–47. doi:10.1001/archfaci.2.1.43. ISSN 1521-2491. PMID 10925423.
- ^ "Epicanthal folds". 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Kalyanasundaram, S.; et al. (2010). "Peroxisomal Disorder-Unusual Presentation as Failure to Thrive in Early Infancy".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77 (10): 1151–1152. doi:10.1007/s12098-010-0199-6. PMID 20872098. S2CID 5736554.
- ^ Hammer, Gary, D.; McPhee, Stephen J. (2010). "Pathophysiology of Selected Genetic Diseases". Pathophysiology of Disease: An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6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ISBN 978-0-07-162167-0.
{{cite book}}
: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 ^ 팜, V. (2010)일반적인 이비인후과적 선천성 이상.UTMB, 이비인후과.[1]2011년 10월 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 ^ Conor, WO (1999). "John Langdon Down: The Man and the Message". Down Syndrome Research and Practice. 6 (1): 19–24. doi:10.3104/perspectives.94. PMID 10890244.
- ^ Howard-Jones, Norman (1979). "On the diagnostic term "Down's disease"". Medical History. 23 (1): 102–04. doi:10.1017/s0025727300051048. PMC 1082401. PMID 153994.
- ^ Kaneshiro, Neil K.; Zieve, David; Ogilvie, Isla. "Epicanthal folds". MedlinePlus.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의 에피칸틱 폴드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