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스트 마스든

Ernest Marsden
어니스트 마스든 경

Ernest Marsden 1921.jpg
태어난(1889-02-19) 1889년 2월 19일
죽은1970년 12월 15일(1970-12-15)(81)
웰링턴, 뉴질랜드
모교맨체스터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가이거-마르스덴 실험
어워드왕립학회 펠로우[1]
과학 경력
기관빅토리아 대학교 대학교
뉴질랜드 DSIR
영향한스 가이거
어니스트 러더퍼드[1]

어니스트 마스든 경(Sir Ernest Marsden CMG CBE MC FRS, 1889년 2월 19일 ~ 1970년 12월 15일)은 뉴질랜드의 물리학자이다.그는 어니스트 러더포드 밑에서 일하는 동안 과학에 기여한 것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것은 원자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게 만들었다.뉴질랜드에서의 마르스덴의 후기 작품에서 그는 영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과학계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었다.

교육

맨체스터에서 토마스 마스든과 피비 홀든의 아들로 태어난 마스든은 리쉬튼에 살았고 엘리자베스 여왕의 그래머 스쿨 블랙번에서 다녔는데, 블랙번에는 그의 이름을 [2]딴 훌륭한 학력 트로피 ('마스든 메리트 트로피')가 있다.

1909년, 맨체스터 대학의 20세 학생으로서, 그는 어니스트 [3]러더포드 밑에서 만나 일하기 시작했다.아직 학부생일 때 그는 러더포드의 지도 아래 한스 가이거와 함께 금박 실험이라고도 불리는 유명한 가이거-마르스덴 실험을 수행했다.이 실험은 빈 공간과 음전하를 띤 [4]전자들로 둘러싸인 질량과 양의 전하의 집중적인 집중과 함께 Rutherford의 원자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이론으로 이어졌다.Rutherford는 나중에 이것을 "15인치 포탄을 휴지 조각에 쏘고 돌아와서 당신을 [5]때린 것처럼 거의 믿을 수 없다"고 묘사했다.

실험에 사용된 장치는 가이거 [6]카운터가 되는 것의 초기 버전이었다.

1915년 그는 토마스 라비의 후임으로 뉴질랜드 웰링턴에 있는 빅토리아 대학 대학으로 이사했다. 러더포드는 그의 임명을 추천했다.

직업

마르스덴은 제1차 세계대전프랑스에서 특수 음역 부문에서 왕립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1919년 국왕 탄생일 훈장을 받았다.

1922년 Marsden은 그의 연구와 물리학 교수로서의 위치에서 관료주의로 전향했다.그는 1926년 뉴질랜드의 새로운 과학 산업 연구부 장관직을 수락하기 전에 교육부 차관보로 임명되었습니다.새로운 부서의 초점은 1차 산업을 지원하는 것이었고, Marsden은 특히 [3]농업 분야에서 연구를 조직하기 위해 일했다.

마르스덴은 뉴질랜드가 방사능과 핵과학 분야의 국제적 발전과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여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939년 뉴질랜드에서 방사성 동위원소의 비의학적 사용을 개척하여 동물대사에서 [4]코발트의 역할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마르스덴은 과학개발국장 직함을 부여받고 뉴질랜드의 과학 [7]인력을 동원하는 임무를 맡았다.전쟁 중 그는 태평양에서 사용할 레이더 장비를 개발하기 위한 팀을 꾸리며 레이더 연구에 종사했다.마스든은 또한 핵폭탄을 개발하는 미국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할 젊은 뉴질랜드 과학자들로 구성된 팀을 구성하기 위해 그의 과학적 연줄을 이용했고,[8] 뉴질랜드에서 핵 프로젝트에 필요한 원자재인 우라늄을 찾기 시작했다.

마르스덴은 과학자들이 지역 원자로를 이용한 연구와 영국 핵 에너지 및 무기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개발하면서 전후 뉴질랜드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이 비전이 완전히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1946년에 그는 원자력에 대한 연구와 농업, 보건 및 산업 문제에 대한 핵 과학의 적용을 수행하기 위한 과학자 팀을 만들었다.Marsden과 영국의 과학계 사이의 유대는 여전히 견고했고, 1947년 [8]그는 런던의 DSIR의 과학 연락관이 되었다.

Marsden은 1954년에 은퇴하고 Wellington으로 돌아왔으며, 그곳에서 많은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환경 방사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광범위한 일과 여행을 계속했다.그의 연구가 방사능 폭탄에 의한 낙진의 영향으로 바뀌자, 마르스덴은 실험과 핵무기 [4]개발에 반대하게 되었다.마스덴은 뉴질랜드에서 핵과학을 확립하고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영국의 핵실험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에야 핵무기 개발과 실험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역할은 덜 알려져 있다.

1966년, 프랑스가 태평양에서 핵폭탄을 실험하기 시작한 같은 해, 마르스덴은 뇌졸중을 일으켜 휠체어에 갇혔다.그는 이후 1970년 웰링턴 항구 연안에 있는 로어 의 로리 베이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사망했다.

가정생활

Marsden은 학교 선생님인 Margaret Sutcliffe와 1913년에 결혼했다.그들은 아들 하나와 딸 하나, 두 아이를 낳았다.Marsden이 뉴질랜드로 마지막으로 은퇴한 후, Maggie는 1956년 11월 7일에 사망했습니다.2년 후 마스든은 재혼했고 1958년 6월 26일 30세 연하의 조이스 위니프레드 초테가 그의 아내가 되었다.그녀는 그의 여생을 도왔고, 그의 여행에 함께했고,[2] 그의 연구 기간 동안 그를 지지했다.

영예와 상

Marsden은 1946년 런던 왕립학회[1] 펠로우십, 1947년 뉴질랜드 왕립학회 회장, 1948년 러더포드 기념 강연 등을 수상했습니다.1961년 그는 맨체스터에서 열린 러더포드 주빌리 회의의 의장직을 맡았는데, 러더퍼드의 원자핵 발견 이후 50년을 기념했다.

1935년, 는 조지 5세 실버 주빌리[9] 훈장을 받았고, 은 주빌리 훈장 왕의 생일 [10]훈장을 수여받았습니다.그는 1946년 새해[11] 영예에서 세인트 마이클과 세인트 조지 훈장의 동반자, 1958년 새해 영예에서 [12]과학에 기여한 공로로 기사 작위를 받았습니다.

존댓말

뉴질랜드 기초 연구를 위한 Marsden 기금은 1994년에 설립되었습니다.

Massey University는 그의 [13]이름을 따서 주요 강의 극장을 명명했다.

레퍼런스

  1. ^ a b c Fleming, C. A. (1971). "Ernest Marsden 1889-1970".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7: 462–496. doi:10.1098/rsbm.1971.0018.
  2. ^ a b 로스 갈브릿, '마스든, 어니스트', 뉴질랜드 전기 사전 - 테 아라, 뉴질랜드 백과사전
  3. ^ a b 레베카 프리스틀리, 베로니카 메두나와 레베카 프리스틀리(에드)의 '에네스트 마스든, 18889-1970', 원자, 공룡, DNA: 68 그레이트 뉴질랜드 과학자(랜덤 하우스 뉴질랜드:오클랜드, 2008) 페이지 54-55
  4. ^ a b c 레베카 프리스틀리, '에네스트 마스든의 핵 뉴질랜드:원자로에서 핵군축까지', 뉴사우스웨일스 왕립학회 저널과 의사록, Vol.139, 2006, 24 페이지
  5. ^ 어니스트 러더포드, '원자구조 이론의 발전', 조셉 니덤과 월터 파겔, 현대과학의 배경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케임브리지, 1938), 페이지 68
  6. ^ Heilbron, John L(2003) 어니스트 러더포드, 그리고 The Dempract of Atoms p.59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5123784.
  7. ^ 레베카 프리스틀리, '에네스트 마스든의 핵 뉴질랜드:원자로에서 핵군축까지', 뉴사우스웨일스 왕립학회 저널과 의사록, Vol.139, 2006, 25페이지
  8. ^ a b 레베카 프리스틀리, 매드 온 라듐:원자력 시대의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출판부:오클랜드, 2012년)
  9. ^ "Official jubilee medals". Evening Post. Vol. CXIX, no. 105. 6 May 1935. p. 4. Retrieved 19 March 2014.
  10. ^ "No. 34166".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 June 1935. p. 3609.
  11. ^ "No. 37410".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 January 1946. p. 157.
  12. ^ "No. 41270".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 January 1958. p. 43.
  13. ^ www.massey.ac.nz https://web.archive.org/web/20080918094232/http://www.massey.ac.nz/massey/study/class-timetable/timetable-building-codes.cf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September 2008. {{cite web}}: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도움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