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니 켄트

Ernie Kent
어니 켄트
Ernie Kent photo by Kaly Harward.jpg
2010년 3월 4일 오리건 남자 농구 경기 중 켄트
전기상세
태어난 (1955-01-22) 1955년 1월 22일 (67세)
일리노이주 록퍼드
선수생활
1973–1977오리건 주
포지션앞으로
코칭 경력(알려지지 않는 한 HC)
1980–1987알칼레즈
1987–1989콜로라도 주(보조)
1989–1991스탠퍼드(보조)
1991–1997성모 마리아스
1997–2010오리건 주
2014–2019워싱턴 주
헤드 코칭 기록
전체적으로383–351 (1998년)
토너먼트6–6 (NCAA Division I)
6–2 (NIT)
업적과 명예
선수권 대회
WCC 정규 시즌(1997년)
WCC 토너먼트 (1997년)
Pac-10 정규 시즌(2002)
2 Pac-10 토너먼트(2003, 2007)
수상
Pac-10 올해의 감독(2002)

어니스트 켄트(Ernest Kent, 1955년 1월 22일 출생)[1]는 미국의 대학 농구 감독이다. 그는 워싱턴 주립 대학교의 전 남자 농구 감독이다.[2] 워싱턴 주 이전에는 오리건 대학교세인트 메리즈(CA)에서 남자 농구 수석 코치를 지냈다. 켄트는 이전에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조교였고 또한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해외 코치를 했다.[3] 켄트는 pac-12 네트워크의 대학 농구 해설가였다.

농구선수

켄트는 1973년부터 1977년까지 오리건 오리건 오리건에서 딕 하터 감독 밑에서 뛰었다.[4] "밀리언 무브스"라는 별명으로 불린 그는 구기종목에서 승기를 잡으려는 시도에서 끊임없는 허풍과 극도로 공격적인 플레이로 유명한 가미카제 키즈 소속이었다. 무릎 부상으로 그의 대학 생활은 끝났다.[3]

켄트는 일리노이주 록포드에 있는 웨스트 고등학교에서 고등학교 농구를 했다. 1973년 4학년생으로 스콜라스틱 매거진, 일리노이 고등학교 협회(IHSA) 올스테이트에 의해 퍼레이드 매거진 올 아메리칸, 스콜라스틱 올-아메리카로 선정되었고, 아메리칸 레지옹 우수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내셔널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이었다.[5]

코치 경력

조기 코치 경력

1980년에서 1987년 사이, 어니 켄트는 알칼리 클럽에서 농구를 코치하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보냈다.[3] 켄트 부부는 처음 2년간 시아파 회교도 마을에서 생활하며 아랍 문화에 빠져 있었으며,[3] 다흐란아라비아계 미국인 석유회사에서도 근무하고 있었다.[1] 그는 팀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사가 필요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는 법을 배웠다고 회상한다.[3] 그것은 그의 인생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시기였고 그에게 극도의 압박감에 대처하는 법을 가르쳐주었다.

나는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7년 동안 코칭으로 일했고 내 월급은 테이블 한쪽에, 내 여권은 다른 한쪽에 있었는데, 그들은 나에게 '당신은 떠날 수 없고, 당신이 이기지 못하면 돈을 받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내가 압력을 조절한 것 같아. 나는 경기를 보러 가곤 했는데, 경기 밖에 기관단총을 든 젊은 사우디 선수가 있을 것이다. 부담스럽네. 이건 그냥 농구야

[6], in Ernie Kent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으로 돌아온 뒤 콜로라도 주립대 조교, 그 후 마이크 몽고메리 감독 밑에서 스탠퍼드대 조교로 부임했다.[7] 그는 나중에 6년 동안 머물렀던 캘리포니아 세인트 메리 대학에서 수석 코치가 되었다.[1] 세인트 메리스에 있는 동안, 켄트의 선수들과의 코치 관계는 급격하게 바뀌었다. 그곳에서 그는 현재 배우인 마허샬라 알리는 코치였다. 그의 선수들은 켄트의 군국주의 스타일 때문에 그와 관계를 맺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 순간부터 켄트는 입장을 번복하고 선수들에 대한 동정심이 커졌다. 매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그는 그의 선수들을 후퇴시켰고, 그의 선수들은 오레곤 대학에서 지속된 전통인 [7]팀의 응집력을 강화하며, 그 팀의 응집력을 강화했다.[8]

오리건 주

켄트는 1997년 테네시 대학으로 자리를 떠나던 제리 그린의 후임으로 영입됐다.[9] 켄트는 오리건 오리건 오리건 운동부 역사상 최초의 흑인 감독이었다.[1] 켄트 밑에서, 오리즈는 NCAA 토너먼트에서 2000년, 2002년, 2003년, 2007년, 2008년에 다섯 번, 2002년, 2007년,[10] 오레곤에서 42년 만에 가장 깊은 기록을 세웠다. 그는 또한 1999년과 2004년에 오리스를 전국 초청 토너먼트 파이널 4로 이끌었다. 2002년 시즌, 켄트는 태평양-10 컨퍼런스가 6개 팀의 NCAA 토너먼트 진출 기록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1939년 이후 처음으로 팀을 컨퍼런스 타이틀로 이끌었다.[1] 켄트 밑에서 오리건주는 빠른 템포 페이스와 가드 헤비 라인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11]

켄트 감독은 2004년 마아티 르넨, 브라이스 테일러, 체임벌린 오구치, 말리크 헤어스톤 등 높은 평가를 받는 영입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 그는 2007년 오레곤 주에서 온 카일 싱글러케빈 러브라는 두 명의 가장 높은 지명도를 가진 신병들과 계약하지 않아 큰 비난을 받았다.[6] 이듬해 21위 모집에 서명했다.[14] 재임 기간 프레드 존스, 루크 리드너, 루크 잭슨, 애런 브룩스NBA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4명의 선수를 선발했다.[1]

2004년과 2006년 사이에 그의 팀의 성공이 감소하면서, 높은 평가를 받는 신병의 발전 부족과 개인적인 문제들에 대한 소문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켄트가 2005-2006 시즌 이후에도 오리건주에 남아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다. 그러나 시즌이 끝난 후, 당시 이 학교의 운동부 감독이었던 빌 무스는 켄트에 대한 지지를 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6] 그 팀은 이듬해 평정을 되찾았고 2007년 NCAA 토너먼트에서 Elite 8 안에 시즌을 마쳤다. 수석 포인트가드 애런 브룩스는 팀이 지난 시즌 켄트를 업템포 스타일로 뛰고 싶었지만 컨디셔닝은 하지 않아 실망감을 느꼈다고 말했다.[6] 켄트가 오리건에서 최악의 성적을 올렸던 2008~2009시즌이 끝난 뒤 켄트의 유임 여부에 대한 의문이 다시 불거졌다.[15] 켄트는 감독직을 유지했지만 2009-10시즌에 Pac-10에서 2대 1로 마지막 마무리를 한 후, 켄트는 해고되었다.[16][17] 그의 235승은 학교 역사상 가장 많은 승수를 기록했지만, 그 이후 그의 후계자인 다나 알트먼에 의해 통과되었다.

워싱턴 주

2014년 3월 31일, 켄트는 켄 본의 후임으로 워싱턴 주립 대학교의 남자 농구 코치로 고용되었다. 워싱턴 주에서의 그의 재임 기간은 오레곤에서의 그의 재임 기간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다; 5년 동안, 쿠거스는 한번도 우승 시즌이 없었고 Pac-12의 경기에서 8위 이상으로 끝내지 못했다.

이후 pac-12 대회 1라운드에서 오리건 대학에 패한 지 하루 만인 2019년 3월 14일 해고됐다.[18]

사생활

어니 켄트는 1955년 1월 22일 일리노이주 록포드에서 태어났으며 3명의 성인 자녀가 있다: 마커스, 조던, 맥켄지.[1] 조던 켄트는 육상, 농구, 축구에서 오리건 대학교의 3스포트 레터맨이었다.[19]

사회봉사 및 공무를 전공한 그는 유진에서도 사회봉사 활동에 크게 참여하여 2004년 전국다발경화학회 오리건 지부로부터 희망상을 수상하였다. 켄트는 어린이 미라클 네트워크의 명예회장으로 있으면서 미국 암협회와 코치 대 암 캠페인에 적극적이다.[1]

헤드 코칭 기록

통계 개요
계절 전체적으로 회의 스탠딩 포스트시즌
성모마리아겔스 (서해안 회의) (1991–1997)
1991–92 성모 마리아스 13–17 4–10 6일
1992–93 성모 마리아스 11–16 6–8 6일
1993–94 성모 마리아스 13–14 5–9 7일
1994–95 성모 마리아스 18–10 10–4 T-2위
1995–96 성모 마리아스 12–15 5–9 7일
1996–97 성모 마리아스 23–8 10–4 T–1위 NCAA 디비전 I 1라운드
성모 마리아: 90–80 (.529) 40–44 (.476)
오리건 오리건 오리즈 (태평양-10 컨퍼런스) (1998–2010)
1997–98 오리건 주 13–14 8–10 T-5일
1998–99 오리건 주 19–13 8–10 T-5일 NIT 준결승
1999–00 오리건 주 22–8 13–5 3번째 NCAA 디비전 I 1라운드
2000–01 오리건 주 14–14 5–13 T-6일
2001–02 오리건 주 26–9 14–4 첫 번째 NCAA 디비전 I 엘리트 8
2002–03 오리건 주 23–10 10–8 5일 NCAA 디비전 I 1라운드
2003–04 오리건 주 18–13 9–9 T-4위 NIT 준결승
2004–05 오리건 주 14–13 6–12 T-8일
2005–06 오리건 주 15–18 7–11 T-7위
2006–07 오리건 주 29–8 11–7 T-3번지 NCAA 디비전 I 엘리트 8
2007–08 오리건 주 18–14 9–9 T-5일 NCAA 디비전 I 1라운드
2008–09 오리건 주 8–23 2–16 10일
2009–10 오리건 주 16–16 7–11 T-8일
오리건 주: 235–173 (.576) 109–125 (.466)
워싱턴 주 쿠거스 (Pac-12 컨퍼런스) (2014–2019)
2014–15 워싱턴 주 13–18 7–11 T-8일
2015–16 워싱턴 주 9–22 1–17 12일
2016–17 워싱턴 주 13–18 6–12 T-10일
2017–18 워싱턴 주 12–19 4–14 11일
2018–19 워싱턴 주 11–21 4–14 11일
워싱턴 주: 58–98 (.372) 22–68 (.244)


합계: 383–351 (.522)

내셔널 챔피언 포스트시즌 초청 챔피언
컨퍼런스 정규 시즌 챔피언 컨퍼런스 정규 시즌 및 컨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디비전 정규 시즌 챔피언 디비전 정규 시즌 및 컨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컨퍼런스 토너먼트 챔피언

참조

  1. ^ a b c d e f g h Wayback Machine에 2009-04-13년 보관어니 켄트 전기
  2. ^ 어니 켄트 워싱턴 주 바이오
  3. ^ a b c d e Curtis, Jake (2000-02-10). "Kent Revives Oregon Program". San Francisco Chronicle. Retrieved March 26, 2009.
  4. ^ Hockaday, Peter (2002-01-10). "All his Ducks in a row". Oregon Daily Em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09. Retrieved March 26, 2009.
  5. ^ "Ernie Kent Biography". University of Oreg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ugust 2013. Retrieved 9 August 2013.
  6. ^ a b c d Katz, Andy (2007-03-10). "Ken overcomes job, personal issues to triumph". ESPN. Retrieved March 26, 2009.
  7. ^ a b Schrogin, Jonah (2003-05-15). "Kent discusses players, coaching style in lecture". Oregon Daily Em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09. Retrieved March 26, 2009.
  8. ^ Kirkpatrick, Curry (2003-01-23). "Two for One". ESPN the Magazine. Retrieved March 27, 2009.
  9. ^ "Kent named basketball coach at Oregon". The Philadelphia Inquirer. 1997-04-11. Retrieved March 27, 2009.
  10. ^ "Coach Ernie Kent and Oregon agree to new contract". USA Today. 2008-07-18. Retrieved March 27, 2009.
  11. ^ Andrews, Luke (2007-03-19). "Styles clash when Oregon and Florida vie for Final Four berth". Oregon Daily Em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09. Retrieved March 27, 2009.
  12. ^ Schroeder, George (2009-03-21). "Ernie Kent's biggest sales pitch". The Register Gu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4, 2009. Retrieved March 27, 2009.
  13. ^ 2004년 eDuck 농구선수 모집반 커밋
  14. ^ Scout.com 농구 2008 선수 모집 클래스 순위
  15. ^ Schroeder, George (2009-03-20). "Kilkenny, Kent set to meet next week". The Register Guard. Retrieved March 27, 2009.
  16. ^ "Kent stays as Oregon's coach, hires Arizona's Dunlap as top assistant". OregonLive.com. April 1, 2009. Retrieved April 1, 2009.
  17. ^ Hunt, John (March 16, 2010). "It's official: Ernie Kent fired". The Register-Guard. Retrieved March 16, 2010.
  18. ^ Jeff Borzello (2019-03-14). "Kent out as Washington St. coach after 5 years". espn.com. Retrieved 2019-03-27.
  19. ^ Greif, Andrew (2009-02-04). "Jordan Kent: Not another selfish athlete". Oregon Daily Emera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09. Retrieved March 27, 200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