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 클링크
Ernst Klink에른스트 클링크 | |
---|---|
태어난 | 1923년 2월 5일 | )
죽은 | 1993년(69~70년) |
직업 | 역사학자, 작가, 편집자 |
로 알려져 있다. | 전후 Wafen-SS 로비단체 HIAG 회원 |
학력 | |
모교 | 튀빙겐 대학교 |
학술사업 | |
기관 | 군사역사연구실(MGFA) |
주된 관심사 | 유럽 현대사 군사사 |
주목할 만한 작품 | 독일과 제2차 세계 대전 |
에른스트 클링크(Ernst Klink, 1923년 2월 5일 ~ 1993년)는 나치 독일과 제2차 세계대전에 특화된 독일의 군사사학자였다.그는 군사 역사 연구실(MGFA)의 장기 근무자였다.독일과 MGFA의 제2차 세계대전에 기여한 공로로 클링크는 바르바로사 작전을 위한 독일군 고등사령부의 독자적인 계획을 최초로 파악했다.
클링크가 역사학자로 활동하는 동안 그는 부정주의자 와펜-SS 베테랑 로비단체 HIAG의 일원으로 활동했다.최근 평가에서 클링크의 작품 중 일부는 '깨끗한 베흐마흐트'라는 아히스토리학적 개념에 대한 지지와 독일의 소련 공격이 '예방적'이었다는 이유로 의문이 제기되었다.
교육과 경력
1923년에 태어난 에른스트 클링크는 바이마르와 나치 독일에서 자랐다. 그의 어머니는 게르트루드 숄츠-클링크 국가사회주의 여성 연맹의 대표였다.1941년 클링크는 SS부대에 입대하여 SS사단 라이프스탠다르트에 임관되어 요아힘 피페르의 연대에서 소련 적군에 대항하여 싸웠다.SS-Unterscharführer(서관)의 지위에 오른 그는 제3차 하르코프 전투에 참가했다.그는 쿠르스크 전투 첫날 매우 심한 부상을 입어서 영구적으로 군 복무를 할 수 없게 되었다.[1]
전쟁이 끝난 후, 클링크는 역사, 독일어, 철학 그리고 영어를 공부했다.그는 1957년 튀빙겐 대학에서 1917년부터 1921년까지의 일란드 제도 분쟁에 관한 박사 논문을 제출했다.1950년대 동안 클링크는 와펜-SS 베테랑 협회 및 로비 단체인 HIAG에 가입했으며, 1951년 전 와펜-SS 고위인사들이 서독에 설립했다.[2]클링크는 1958년 프라이부르크의 군사역사연구실(MGFA)에 입사했다.[2]MGFA에서의 그의 재임은 특히 최근 평가에서 "깨끗한 베흐마흐트"[2]의 신화에 대한 동정심 때문에 논란이 되었다.
HIAG 내 활동
1958년에 Klink는 HIAG의 Tübingen 지부의 대변인이 되었고, Waffen-SS 로비 단체와 수정주의 퇴역군인 단체의 대변인이 되었다.[3]특히 최근 평가에서는 MGFA에서의 링크의 재임 기간이 논란이 되었다.Jens Westemeier가 Joachim Peiper의 전기에서 말한 바에 따르면, Klink는 HIAG의 "사내 역사 왜곡의 가장 중요한 로비스트 중 한 명이었다"고 한다.그는 참전용사 모임에서 강연을 하고, 문서 작성을 도왔으며, 역사학자 요르그 에흐텐캄프의 말로 "깨끗한 베흐마흐트의 이미지를 가꾸었다"[2]고 했다.
Klink는 HIAG와 사내 역사학자 Walter Harzer와 함께 Freiburg에 있는 독일 연방 군사 기록 보관소[ 에 기증된 자료들을 선별하여 의심스러운 활동에 부대 및 인원이 연루되었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찾아냈다.[4]1960년대와 70년대에, 클링크는 후자가 죽을 때까지 피퍼와 우정을 유지했다; 두 사람은 피퍼가 1976년 7월 14일 밤에 화재로 사망하기 직전에 전화로 이야기했다.[5]
Klink는 Peiper의 전기를 쓰기 위해 HIAG에 의해 접근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는 Peiper의 재활을 위한 시도에 그의 학문적 명성을 걸고 싶지 않았다.[6]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 클링크는 말메디 대학살 재판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하고 와펜-SS에 우호적인 기사를 썼다.[7]대니 파커 연구원에 따르면, 클링크는 "MGFA에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는 역사가로 추앙된다"고 했지만, 특히 와펜-SS에 대한 그의 편견은 파커가 조사했던 클링크의 개인 논문에서 분명히 드러났다.[5]
나치 독일의 군사 역사학자
클링크는 MGFA의 역사가들이 제작한 제4권 '소련에 대한 공격'과 제2차 세계대전에 기여한 인물이다.이 책은 1983년에 등장하여 1941년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에 초점을 맞췄다.역사학자 데이비드 스탈이 (2009년 현재) '불합격'이라고 묘사한 '근거적 연구'에서 클링크는 바르바로사 군사계획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가장 먼저 제공했다.링크는 또한 오토 작전으로 알려진 1940년 여름 소련에 대한 공격에 대한 독일 육군의 독자적인 계획을 최초로 파악했다.[8]Stahel commends Klink on the operations study of the Battle of Smolensk, despite over-reliance on the files of the Oberkommando der Wehrmacht (OKW, "High Command of the Armed Forces") and the Oberkommando des Heeres (OKH, "High Command of the German Army"), which were at times at odds with diaries of the combat units and did not fully reflect the지상의 [9]어려움
MGFA에서 Klink의 동료 Gerd R. 우에베르셰르는 클링크가 자신의 연구를 오로지 군사 기록에만 기초했으며 작전을 "비정치적"으로 묘사하려고 시도했다고 말했다.우에베르셰르는 히틀러를 훌륭한 군사 지도자로 묘사하고 있는 클링크를 비판하며, 그의 결정을 프란츠 할더 총참모장의 "잘못된 결정"과 호의적으로 대조한다.Ueberschér에 따르면, 다른 연구자들은 이 개념을 부인했고, 이용 가능한 기록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우에베르셰르는 "클링크의 좁은 군사관도 그가 오랫동안 반증된 나치의 주장인 예방전쟁에 동조하도록 유혹했다"[10]고 썼다.
작동하다
영어에서
- 호르스트 부그, 요아힘 호프만, 롤프 디터 뮐러, 게르트 R. 우에베르셰르 외독일과 제2차 세계 대전, Vol. IV: 소련에 대한 공격.1998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ISBN0-19-822886-4.
독일어로
- Das Gesetz des Handelns. 다이 오퍼레이션 »Zitadelle1943, 1966, MGFA
참조
- ^ 웨스테미어 2014, 페이지 790.
- ^ a b c d Echternkamp 2015.
- ^ 파커 2014, 페이지 207.
- ^ 파커 2014, 페이지 215.
- ^ a b 파커 2014, 페이지 387.
- ^ Westemeier 2007, 페이지 197.
- ^ Westemeier 2007, 페이지 198 (주 58).
- ^ Stahel 2009, 페이지 7.
- ^ Stahel 2009, 페이지 19.
- ^ 뮐러 & 우에베르셰르 2002, 페이지 85.
참고 문헌 목록
- Jörg Echternkamp (2015). "Die Bundeswehr, das Verteidigungsministerium und die Aufarbeitung der NS-Vergangenheit im Systemkonflikt [The Bundeswehr, the Ministry of Defense, and the revision of the Nazi past]" (in German). Potsdam: Zeitgeschichte-online .
- Müller, Rolf-Dieter; Ueberschär, Gerd R. (2002). Hitler's War in the East 1941–1945: A Critical Assessment (2nd rev. ed.). New York: Berghahn Books. ISBN 978-1-57181-293-3.
- Parker, Danny S. (2014). Hitler's Warrior: The Life and Wars of SS Colonel Jochen Peiper. Boston: Da Capo Press. ISBN 978-0-306-82154-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9, 2017. Retrieved January 11, 2017.
- Stahel, David (2009). Operation Barbarossa and Germany's Defeat in the East.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6847-4.
- Westemeier, Jens (2014). Himmlers Krieger: Joachim Peiper und die Waffen-SS in Krieg und Nachkriegszeit (in German). Paderborn: Ferdinand Schöningh. ISBN 978-3-506-77241-1.
- Westemeier, Jens (2007). Joachim Peiper: A Biography of Himmler's SS Commander. Atglen, Pennsylvania: Schiffer Publishing. ISBN 978-0764326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