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 로이터
Ernst Reuter에른스트 로이터 | |
---|---|
![]() | |
베를린 시장 (서베를린) | |
재직중 1951년 2월 1일 ~ 1953년 9월 29일 | |
대통령 | 테오도르 호이스 |
수상 | 콘라드 아데나워 |
선행 | 그 자신(대베를린 시장으로서) |
에 의해 성공자 | 발터 슈라이버 |
대베를린 시장 (서베를린만 해당) | |
재직중 1947년 6월 24일 ~ 1951년 2월 1일 | |
선행 | 오토 오스트로프스키 루이스 슈뢰더 (연기중) |
에 의해 성공자 | 본인(베를린 시장) |
볼가 독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의 의장 | |
재직중 1918년 10월-1919년 3월 | |
에 의해 성공자 | 애덤 라이허트 |
개인 정보 | |
태어난 | 에른스트 루돌프 요하네스 로이터 1889년 7월 29일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현의 아펜라드 (현재의 덴마크 아벤라) |
죽은 | 1953년 9월 29일 ( 서독, 서베를린 (현재의 독일 베를린) | (64세)
휴식처 | 발트프리드호프 젤렌도르프 |
정당 | 사민당 |
배우자 | 한나 클라이너트 |
아이들. | 에드자드 로이터 |
모교 | 필리핀 마르부르크 대학교 |
에른스트 루돌프 요하네스 로이터(Ernst Rudolf Johannes Reuter, 1889년 7월 29일 ~ 1953년 9월 29일)는 냉전이 한창이던 1948년부터 1953년까지 서베를린의 시장이었다.
전기
초년
로이터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현 덴마크) 아펜라데(Aabenraa)에서 태어났다.그는 어린 시절을 Leer에서 보냈는데, 그 곳에서 공공 광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로이터는 Munster와 Marburg의 대학에 다녔고 1912년 학업을 마치고 교사로서 시험에 합격했다.게다가 그는 "SBV Frankonia Marburg"라는 친목회 회원이었다.같은 해 그는 독일 사회민주당(SPD) 당원이 되었다.
로이터는 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을 때 카이저 빌헬름 정권에 반대했다.징집된 후, 로이터는 볼셰비키 혁명 중에 부상을 입고 러시아인들에게 붙잡혔습니다.사로잡힌 상태에서, 로이터는 볼셰비키에 가담했고 그의 동료 죄수들을 소련으로 조직했다.1917년 레닌은 그를 볼가 독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공화국의 [1]사라토프로 보냈다.
바이마르 공화국
독일로 돌아온 후, 로이터는 독일 공산당에 입당하여 베를린 지부의 제1서기로 임명되었습니다.그는 1921년 3월 독일 중부에서 열린 반란을 지지하는 당의 좌익의 입장을 받아들였고, 이를 통해 당수 파울 레비에 반대했다.로이터는 레닌의 총애를 받았지만 1922년 당에서 쫓겨났다.그는 잠시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으로 옮긴 후 영원히 사회민주당으로 복귀했다.
1926년, 로이터는 베를린 정부에 근무하기 시작했고 운송을 담당했습니다.업적은 베를린 베르케르베트리에베(Berliner Verkehrsbetriebe, BVG), 대중교통 통합 티켓의 도입, 베를린 지하철 시스템의 연장이었다.
1931년부터 1933년까지 로이터는 마그데부르크의 시장이었으며, 그곳에서 경제 위기로 인한 주택과 일자리 부족과 싸웠다.그는 또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1933년, 나치가 권력을 잡으면서, 그는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고 토르가우 근처의 강제 수용소 리히텐부르크로 끌려갔다.석방 후 그는 1935년 터키로 망명해 나치 시대가 끝날 때까지 머물렀다.앙카라에서 그는 대학에서 강의를 했고, 대학 분야로서 도시 계획을 소개했으며, 정부의 컨설턴트로 일했다.
전후 베를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로이터는 베를린으로 돌아와 1946년에 치안 판사로 선출되어 처음에는 교통부를 감독했습니다.1947년 베를린 시장(Overbürgermeister)으로 선출됐지만 냉전의 위기가 심화되자 소련 정부는 이들의 동의를 유보했다.
로이터는 베를린 냉전시대의 그의 입장으로 가장 유명하다.소련이 가한 베를린 봉쇄 (1948/49년) 동안, 도시의 서쪽 지역은 미국 군사 주지사 루시우스 D에 의해 확립된 베를린 공수 작전으로 지탱되었다. 클레이. 위협에 대응해서, 서부지역 시민들은 함께 모여야만 했습니다.에른스트 로이터는 자유 베를린의 상징적 인물인 그들의 대변인이자 지도자가 되었다.1948년 9월 9일 로이터가 불탄 라이히스타그 건물 앞에서 행한 연설은 그가 베를린을 [2][3]포기하지 말 것을 세계에 호소했던 30만 명의 군중을 마주한 것이다.두 달 뒤 치러진 베를린 서부 선거에서 그의 인기는 독일 자유선거에서 SPD가 64.5%의 득표율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시장으로서 그는 서베를린의 통합을 보여주기 위해 다음 두 개의 거대 정당과 함께 대연립 정부를 구성했다.로이터의 서방세계에 대한 호소는 무시되지 않았다.그 공수 작전은 도시를 기아로부터 구했고, 로이터는 타임지의 [2]표지에 실린 독일 전후 두 번째 정치인이 되었다.그는 "베를린 경"[4]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새로운 베를린 주 헌법이 베를린의 서부 지역에 효력을 발휘했을 때, 로이터는 재선되었고 1951년 1월 18일 현재 베를린의 통치 시장(Regierender Bürgermeister)으로 불리게 되었다.그는 죽을 때까지 이 직무를 수행했다.소련이 독일 민주 공화국을 만들었을 때, 베를린의 소련 지역은 수도로 선언되었고 그 부문에는 시장이 선출되었습니다.그러나 서방 연합군은 베를린의 분단을 인정하지 않았고, 그들의 분야에서 선출된 시장은 여전히 모든 베를린의 통치 시장으로 간주되었다.이것은 독일이 통일되기 전까지 그랬다.서방 연합군은 베를린의 통합을 주장했고, 이는 모든 분야에서 권위의 기초가 되었다.그러므로, 통치 시장은 항상 "베를린"의 시장이었다.
그의 보호 아래 베를린 자유대학이 설립되었는데, 베를린 대학은 소련에 속하고 공산주의 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이다.1953년 로이터는 웨스트베를린으로 오는 난민들을 돕기 위해 '뷔르제르마이스터 로이터 슈티프퉁'(시장 로이터 재단)을 설립했다.
1953년 6월 17일 동베를린에서 일어난 봉기 몇 달 후, 로이터는 서베를린에서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그는 64세였다.그의 장례식에는 1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참석했으며 그는 발트프리드호프 [5]젤렌도르프에 있는 에렌그라브(명예로운 무덤)를 기렸다.
가족
로이터는 1920년에 결혼했고, 그의 아내 롯데(샬롯)와의 사이에 영국 시민권과 수학 교수가 된 두 명의 자녀 헬라(1920-1983)와 게르트 에드자드(1921-1992)가 있었다.Harry의 아들 Timothy는 유명한 중세 역사학자였다.1927년 로이터는 샬롯과 이혼하고 재혼했다.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한나는 아들 에드자드를 두었는데 에드자드는 다임러 벤츠의 CEO가 되었다.
명예
- 에른스트-로이터-플라케트: 베를린 시의 최고 상은 1954년 베를린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한 사람들에 대해 베를린 상원에 의해 제정되었습니다.
- Ernst-Reuter-Gesellschaft(에른스트 로이터 협회): 1954년에 설립된 베를린 자유 대학의 졸업생과 친구들의 모임.이 학회는 매년 열리는 대학 우수 논문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해외 유학을 위한 'Ernst-Reuter-Preis'를 제공하고 있다.
- 로이터가 살았던 이전 장소들은 기념패를 받았다.Hardenbergstraee 35(베를린-샤를로텐부르크) 및 Bülowstra 33e 33(베를린-첼렌도르프)입니다.
- 베를린에서 로이터를 기념하는 많은 장소들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주요 공공 광장과 지하철역인 에른스트-로이터-플라츠(베를린 U-반),
- 정부[6] 청사
- 학교[7]
- 유스호스텔[8]
독일의 다른 마을에는 에른스트 로이터의 이름을 딴 거리나 학교가 있다.
1959년 미국 우정국이 발행한 '자유의 챔피언' 시리즈는 로이터에게 두 장의 우표를 수여했다.
견적서
- "Ihr Völker der Welt... "Schaut auf diese Stadt und erkennt, dass ihr diese Stadt und dies Volk nicht preisgeben dürft, nicht preisgeben könt!" (세상 사람들...)이 도시를 보고, 당신이 이 도시와 이 사람들을 버릴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세요-로이터의 1948년 9월 9일 연설(독일)[2]
출판물
- 에른스트 로이터: Rationalisierung der Berliner Verkehrsbedienung.베르케르스테치니크(1928년 6월 29일) 9; 26:437-439.
- Ernst Reuter:Die Gründung der Berker Verkehrs-A.-G.베르케르스테치니크(1928년 12월 14일) 9; 50: 917–919
문학.
- 윌리 브란트, 리하르트 뢰벤탈: 에른스트 로이터 Ein Leben für die Freiheit (Eine Politische Biographie).뮌헨: 킨들러 베를라그, 1957년
- 클라우스 하프레흐트: 에른스트 로이터 Ein Leben für die Freiheit (빌데른 운드 도쿠멘텐의 Eine Biographie).뮌헨: 킨들러 베를라그, 1957년
- 에른스트 로이터 슈리펜 – Reden.Hg v. 한스 E 사건히르슈펠트와 한스 J. 라이하르트.Vorwort von Willy Brandt.Bd. 1~4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베를린, 빈 1972년-1975년.
- 데이비드 E. 바클레이:슈타트: 데르 언베칸트 에른스트 로이터.베를린:Siedler Verlag, 2000년 ISBN3-88680-527-1
- 안드레아스 다음, 베를린의 케네디.뉴욕: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ISBN 978-0-521-85824-3.
레퍼런스
- ^ Parrish, Thomas (1995). "Reuter, Ernst (1889–1953)". The Cold War Encyclopedia (1st ed.). New York: H. Holt. pp. 266–7. ISBN 0-8050-2778-5.
- ^ a b c 베를린 공식사: 에른스트 로이터(독일어)의 연설
- ^ "Berlin Calls The World (1948)".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21.
- ^ Time (12 October 1953). "Herr Berl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08. Retrieved 14 May 2009.
- ^ "Archived copy". www.gbbb-berli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ne 2003. Retrieved 15 January 2022.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 6 November 2006 https://web.archive.org/web/20061106192119/http://www.ernst-reuter-haus.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November 2006.
{{cite web}}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 - ^ Schumacher, Matthias. "Ernst-Reuter-Schule". Ernst-Reuter-Schule.
- ^ "DJH Jugendherberge Berlin-Ernst Reuter – Angebote + mehr Berlin". www.jugendherberge.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