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던 구트만
Ethan Gutmann
에단 구트만은 미국의 작가, 연구원, 작가, 공산주의 희생 기념 재단의[1][2] 중국학 선임 연구원으로, 중국에서의 감시와 장기 수확을 연구해왔다.[3]
교육
구트만은 컬럼비아 대학에서 예술 학사 및 국제 업무 석사 학위를 받았다.[citation needed]
중국의 조사
구트만이 쓴 중국에 대한 글에는 '새로운 중국을 잃다: 미국 상업의 이야기, 욕망과 배신과 학살: 대량 학살, 장기 수확, 중국의 반체제 문제에 대한 비밀 해결책'이라는 두 권의 책이 포함되어 있다.[4]
구트만은 미 의회와 [5][6]유럽의회, 유엔에 앞서 증언했다.[4]
중국[7] 장기이식 남용을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연맹의 공동 창립자로, '공산주의 희생자 기념재단'의 중국학 연구위원이다.[1]
골든 실드 감시
2011년 미국 연방법원에 구트만의 작품을 인용한 두 건의 소송이 제기되었는데, 시스코시스템즈의 기술이 중국 정부가 팔룬궁 신종교운동의 신자들을 감시, 포획, 살해할 수 있게 했다고 주장했다. 시스코의 중국 활동에 대한 증거는 구트만의 "새로운 중국을 잃다: 미국 상업, 욕망, 배신 이야기"에서 공개되었다.[8]
중국의 장기수확
2006년부터 구트만은 장기수확에 관한 기사를 썼다.[9][10][11][non-primary source needed][dead link] 2012년 "국가 기관: '중국에서의 이식 학대'는 데이비드 마타스와 구트만 6명의 의료전문가가 쓴 에세이로 출간됐다.[12][13][14][15]
구트만은 파룬궁 생존자, 의사, 경찰, 캠프 관리자 등 100명이 넘는 목격자를 인터뷰했다고 썼다.[16] 그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6만5000명의 파룬궁 개업자들이 장기로 인해 살해됐으며,[4][17][16] 45만~100만 명의 파룬궁 개업자들이 특정 시기에 구금된 것으로 추정했다.[18][19][20][21] 구트만은 2014년 토론토 스타와의 인터뷰에서 "총 사상자 수가 10만 명에 육박한다"[4]고 말했다.
구트만은 2014년 피바디상 수상 다큐멘터리 '인간 하베스트(Human Harvest)'와 PBS 다큐멘터리 '믿기 힘들다'(2015)[citation needed]의 핵심 인터뷰 대상자 중 한 명이었다.
2014년 8월, 구트만은 '살육: 대량 학살, 장기 수확, 중국의 반체제 문제의 비밀 해결책'을 저술했는데,[21] 이 책은 중국의 장기 이식 사업과 체포된 반체제 인사들, 특히 팔룬 공의 추종자들을 위한 수용소 및 살해 분야와의 연관성을 묘사했다. 7년이 걸린 새 책은 수술대 위에서 포로를 살해한 경찰 고위 간부, 전직 양심수, 중국 의사 등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했다. 구트만은 팔룬궁, 티베트인, 위구르인, 하원 기독교인 등 반체제 인사들을 인터뷰했다.[17]
2016년 구트만, 데이비드 킬구어, 데이비드 마타스는 양심수로부터 장기를 채취하는 중국인에 대한 최신 조사 보고서를 작성했다.[22] 700페이지 분량의 이 보고서에는 중국 병원의 출판물과 기타 주요 중국 출처에 제공된 이식 통계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었다.[22][23][24][25][26]
구트만은 중국이 신장 지역 수용소에서 위구르스로부터 장기를 채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트만은 2020년 11월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신장 내막 수용소로 전환됐던 [citation needed]중국 아쓰의 옛 병원이 현지 공무원들에게 장기수확 과정을 간소화하고 위구르스로부터 수확한 장기를 꾸준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1] 구트만은 하레츠에게 신장 수용소에 구금된 개인들이 '살해되고 장기가 수확되고 있다'고 말했으며, 매년 최소 2만5000명의 위구르인들이 장기를 위해 신장에서 살해되고 있으며, 피해자들의 시신을 처리하기 위해 지방 전역에 화장토리아가 건설되어 왔으며, 중국은 이러한 움직임을 위해 '빠른 차선'을 만들어왔다고 말했다.지방 공항에서의 인체 장기 [27]이식 구트만은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매년 수용소에서 5~10%의 억류자들이 사망하고 있다"고 추정했다.[28]
타이완의 논란
2014년 타이베이 시장 선거
2014년 타이베이 시장 선거 당시 구트만의 저서 '살육: 대량 학살, 장기 수확, 중국의 반체제 문제에 대한 비밀 해결책'이 고원제 시장 후보에 대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구트만은 고현정이 장기매매에 관여하고 있으며, 자신이 잘못 해석되었을지도 모른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29] 구트만은 11월 27일 클라이브 앤슬리 변호사와 함께 "현재까지 고 박사가 장기 브로커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어느 영어권 독자도 한순간도 이해하지 못했다" "구트만씨는 고 박사가 훌륭하게 행동했다는 것을 믿고 있으며 우리는 그의 책이 증명한다고 생각한다"는 법적 답변을 발표했다.[30]
11월 29일, 고씨는 선거에서 승리했다. 고씨가 이 사연을 출판하기로 서명한 실제 이메일 서신을 포함한 자세한 설명은 12월 구트만이 제공했다.[31][32][non-primary source needed]
2018년 타이베이 시장 선거
2018년 타이베이 시장 선거에서는 구트만의 저서 및 2014년 발언과 관련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구트만은 10월 2일 타이베이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고현정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느냐는 질문을 받았고, 이에 대해 "그렇다"[33]고 답했다. 구트만은 고 씨가 중국에서 열린 체외막산소화훈련에 참석한 단체 사진을 보여주며 고 씨가 2005년 팔룬궁 회원들의 장기수확에 대해 알고 있다고 말했지만 구트만은 고 씨를 인터뷰하기 불과 3개월 전에 이 회의가 열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구트만은 "본토에 있는 아이디"라며 "고씨가 돈을 벌고 있는지, 중국에서 장기이식을 받을 수 있도록 주선했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구트만은 기자회견 말미에 고현정VS최지우 '고 말했다. 고씨로부터 고소당해 2018년 10월 5일 소환 조사를 받았다.[34]
보기
파룬궁 문제
2012년 구트만은 "언론계에는 파룬궁에 대한 오랜 금기가 있다, 이 이슈에 대해 [장기 수확]이 있다. 이 문제를 건드리는 것은 저널리즘의 제3의 레일이다. 만약 여러분이 그것을 만진다면, 베이징에 있다면, 여러분이 중국에 기반을 두고 있다면, 여러분은 더 이상 최고 지도자들에게 접근할 수 없게 될 것이다."[6][dead link][non-primary source needed]
리셉션
책들
내셔널 리뷰의 수석 편집자인 제이 노링거는 구트만의 2004년 저서 '새로운 중국을 잃다: 미국 상업, 욕망과 배신'은 미국 재계와 중국 공산당의 비열한 관계에 관한 것이라고 썼다. 우리 기업인들은 공산당에 순응하고, 박해를 외면한다." 시스코와 다른 기술회사들이 파룬궁 개업자들을 감시하고 체포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을 고안해냈을 때처럼 때로는 박해를 돕기도 한다.[17]
노링거는 구트만의 2014년 저서 '살육: 대량 학살, 장기 수확, 중국의 반체제 문제에 대한 비밀 해결책'을 '또 다른 원자 폭탄'[17]이라고 불렀다.
책들
- 새로운 중국을 잃다: 미국의 상업, 욕망, 배신 이야기, (2004) ISBN978-1893554832
- 살육: 대량 살상, 장기 수확 및 반체제 문제에 대한 중국의 비밀 해결책, (2014) ISBN 978-1616149406
다큐멘터리
Gutmann은 Transmission 6-10 (2009년),[35] Red Region에 출연했다. 중국 포로의 피비린내 나는 수확 (2013),[36]
수상
구트만의 첫 번째 책 '신중국을 잃다'는 시각예술가 길드의 '천안문명혼상'을 수상했으며,[37] 뉴욕썬의 '올해의 책'[38] 중 하나로 등재돼 '찬의 저널리즘상'을 수상했다.[37]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Stravrou, David (3 December 2020). "China's 'XXX Files': '25 Thousand People Disappear Each Year, Their Organs Are Harvested'". Haaretz. Retrieved 14 March 2021.
- ^ "Ethan Gutmann". Victims of Communism Memorial Foundation.
- ^ "Congressional Testimony:Organ Harvesting of Religious and Political Dissidents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PDF). Ethan Gutmann.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Subcommittee on Oversight and Investigations. 12 Septem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September 2012. Retrieved 14 September 2012.
- ^ a b c d 바바라 턴불 (2014년 10월 21일) "Q&A: 저자와 분석가 에단 구트만이 중국의 불법 장기매매에 대해 논의한다" 토론토 스타
- ^ 에단 구트만 "영적 운동을 향한 중국의 정책", 중국 의회-집행위원회 중국 라운드테이블 토론, cecc.gov, 2010년 6월 18일
- ^ a b '중국 공산당에 의한 종교·정치적 반체제 인사들의 단체 수확' 2016-09-07년 웨이백머신에 보관, 외교위원회 2개 분과위원회 청문회, 자료실.공화당해외 근무house.gov, 2012년 9월 12일
- ^ McKay, Hollie (2020-07-28). "Activists push for investigation over claims China is forcibly harvesting organs of Uighur population". Fox News (in American English). Retrieved 2020-08-02.
- ^ 뉴욕타임스, 2011년 5월 22일 "시스코가 중국의 파룬궁 추격을 도왔다"
- ^ 이단 구트만(2006년 5월 8일) "왜 왕웬이가 소리쳤는지" 주간 기준
- ^ 에단 구트만(2008년 11월 24일) "중국의 소름끼치는 장기 수확", 주간 기준
- ^ "비트터 하베스트: 중국 '장기 기증' 악몽,[usurped!] 2012년 7월/8월 세계문제지
- ^ "국가 기관: 소개" 2013-05-27 Wayback Machine에 보관 seraphimeditions.com
- ^ 레베카 쿠로파트와(2012년 9월 19일) "새로운 마타스 책은 이식 남용을 드러낸다" 2015년 4월 2일, 유대인 트리뷴 웨이백머신(캐나다)에 보관되었다.
- ^ 마크 콜빈(2012년 11월 27일) "중국에서 이식학대 증거를 듣는 의회" 호주방송
- ^ David Matas, Dr. Torsten Trey(2012) 중국 장기, 이식 남용 웨이백머신, seraphimeditions.com 페이지 144에 2015-02-24 보관
- ^ a b 비브 영(2014년 8월 11일) "도살: 대량 학살, 장기 수확, 반체제 문제에 대한 중국의 비밀 해결책" 뉴욕 저널 오브 북스(New York Journal of Books
- ^ a b c d 제이 노링거(2014년 8월 25일) "살육에 맞서라: 살육: 대량 살상, 장기 수확, 반체제 문제에 대한 중국의 비밀 해결책, 에단 구트만"에 의한 국가 리뷰
- ^ 줄리아 듀인 (2010년 4월 27일) "장기거래가 방대하다는 이유로 기소된 중국인들"
- ^ 에단 구트만, "차이나 코눈드럼" 유대인 정책 센터, 포커스, 2010년 겨울
- ^ Ethan Gutmann(2011년 3월 10일) "얼마나 많은 수확을 거두었는가?" 웨이백머신 eastofethan.com에서 보관된 2011-12-20을 재방문했다.
- ^ a b 에단 구트만 (2014년 8월) 살육: 대량 살상, 장기 수확, 중국의 반체제 문제 비밀 해결책 "언제든 라오가이 시스템의 평균 파룬궁 수" 45만, 100만 p 320 저평가. 2000~2008년 수확한 팔룬궁 추정치 6만5000p32. amazon.com
- ^ a b Tatlow, Didi Kirsten (2016-08-24). "Angry Claims and Furious Denials Over Organ Transplants in China".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17-03-21.
- ^ "Report alleges China killing thousands to harvest organs". The Globe and Mail (in Canadian English). Retrieved 2017-03-21.
- ^ "China is 'transplanting organs of executed prisoners'". The Times. June 23, 2016. Retrieved 2017-03-21.
- ^ James Griffiths. "Report: China is still harvesting organs from prisoners". CNN. Retrieved 2017-03-21.
- ^ "China 'carrying out over 60,000 illegal organ transplants annually'". The Independent (in British English). 2016-06-28. Retrieved 2017-03-21.
- ^ Stravrou, David (3 December 2020). "China's 'XXX Files': '25 Thousand People Disappear Each Year, Their Organs Are Harvested'". Haaretz. Retrieved 14 March 2021.
- ^ "Internment Camps in Xinjiang's Aksu Separated by Crematorium — Radio Free Asia".
- ^ 타이베이 타임스, 2014년 10월 29일자 "고씨는 장기 구매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 ^ 葛特曼律師回函 澄清柯P沒參與器官仲介 27 November 2014, newtalk.tw
- ^ 이단 구트만(2014년 12월 19일) "기록 직선 설정: 고 박사 인터뷰(9분), vimeo.com, 중국에서 장기 퇴치를 위한 국제 연합
- ^ 이던 구트만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고원제 박사의 서신 사진'을 게재했다.
- ^ '도살'의 저자는 중국인들이 2018년 10월 2일, 대만 뉴스에서 고 타이베이 시장의 기술을 이용해 파룬궁 죄수들의 장기를 이식했다고 말한다.
- ^ 2018년 10월 2일자 타이베이 타임즈, "고씨 사무실은 작가에게 입장 변화를 설명해 달라고 요청한다."
- ^ "송신 6-10: 전반전", (52분) 유튜브 동영상, 2011년 2월 20일
- ^ 2013년 7월 30일 유튜브 동영상 '레드 레인' 예고편", (4분)
- ^ a b "CUSIB Welcomes Ethan Gutmann to Advisory Board". Committee for U.S. International Broadcasting (in American English). Retrieved 2020-08-03.
- ^ 2004년 12월 31일 뉴욕선 "올해의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