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무플론
European mouflon유럽무플론 | |
---|---|
![]() | |
가정용 | |
과학적 분류 ![]() | |
도메인: | 진핵생물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초르다타 |
클래스: | 포유류 |
순서: | Artiodactyla |
가족: | 보비대 |
아과: | 카프리네아과 |
부족: | 카프리니 |
속: | 오비스 |
종: | |
아종: | O. a. musimon |
삼항명 | |
Ovisaries musimon 팔라스, 1811년 | |
![]() | |
동의어 | |
Ovis orientalis musimon |






유럽무플론(Ovisaries musimon[1])은 원시 국내산 양의 야생 아종입니다.이것은 원래 지중해의 코르시카 섬과 사르데냐 섬에서만 발견되었지만, 그 이후로 유럽의 많은 다른 지역으로 유입되었습니다.서아시아에서 발견되고 현대의 국내산 양의 조상이기도 한 무플론이라고도 불리는 Ovis gmelini와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묘사
수컷 무플론은 숫양, 암컷은 암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 어린 동물들은 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
외모
유럽 무플론은 몸길이가 최대 120cm, 어깨높이가 90cm, 암양의 경우 25~40kg, 숫양의 경우 35~55kg입니다.유러피안 무플론은 매끄러운 털이 있는 털이 있고, 숫양은 여름에 여우 적갈색이며, 보통 흰 안장 조각이 있고, 암양은 갈색입니다.겨울에는 암수 모두 더 어둡습니다.이 숫양들은 길이가 80cm에 이르는 나선 모양의 뿔을 가지고 있는데, 암컷들은 사르데냐에 뿔이 없지만, 코르시카에는 약간 뒤쪽으로 휘어진 더 작은 뿔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각
선대가 나무선 위쪽의 탁 트인 지형에 살던 동물로서 무플론의 시력이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측면에 위치한 눈으로 무플론이 고개를 돌리지 않고 넓은 호를 스캔할 수 있습니다.오래된 램에서는 경적 끝의 위치에 따라 시야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그 결과, 숫양들은 이 뿔들을 닳게 하기 시작합니다.[3]그들의 양안시력은 60퍼센트의 비교적 작은 호 모양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오직 이 지역에서만 그들은 깊이 있는 시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의 시각적 호의 나머지 부분에서, 무플론은 주로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만약 무플론이 그들의 측면 시야의 움직임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면, 그들은 물체를 향해 고개를 돌려 그것을 풍경의 깊이 안에 위치시킵니다.그제서야 그들은 바람과 그들의 청각을 시험함으로써 교란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려 노력합니다.[4]사람들은 최대 1,000미터 거리에서 볼 수 있습니다.[5]그들의 시각은 또한 무리의 응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무리와의 연결이 끊긴 무플론은 앞뒤로 빠르게 뛰어다니며 무리를 찾습니다.그제서야 그들은 그들의 냄새를 이용하여 무리를 따라갑니다.[5]청각은 무리의 구성원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성
무플론의 보컬 레퍼토리는 광범위하며 접촉과 경고음, 통곡뿐만 아니라 발정하는 숫양의 교미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어린 양이 태어난 지 불과 몇 분 후에, 양은 짧고 침울하며 우는 소리를 내고, 그 소리에 양은 대답하고, 또한 피를 흘립니다.무리 속에서, 양들은 길고 길게 늘어뜨린 표백제를 사용하여 양들을 부릅니다.엄마를 찾던 어린 양들이 하마터면 요란하게 피를 흘립니다.[5]양들이 적에게 공격을 받거나 심한 부상을 입었을 때 울음소리가 들립니다.성인 무플론이 울부짖는 소리를 내지 않습니다.[5]
놀라면, 무플론은 콧구멍을 통해 쉬쉬 소리를 냅니다.종종 경고음이 울리기 전에 앞발을 신경질적으로 구르는 동작이 뒤따릅니다.경고음은 무플론이 약간 방해될 때만 조용하지만 위험이 위협함에 따라 훨씬 더 커집니다.지도자가 이 소리를 내는 무리는 즉시 도망칩니다.무리 속의 다른 동물이 소리를 낸다면 나머지는 방어 행동을 하기 시작하지만, 리더의 반응을 계속 기다립니다.[5]
숫양들은 발정한 암양을 쫓을 때 덜컹거리고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냅니다.뿔이 부딪치는 소리는 무플론의 가장 친숙한 소리 중 하나입니다.발정기에 가장 흔하지만, 숫양들은 일년 내내 서로 싸웁니다.[6]
범위
원래 유럽의 무플론은 돌이 많고 건조한 토양 위에 개방적이고 산이 많은 지형에서 살았습니다.오늘날, 중앙유럽에서는, 독일의 중부 고지대와 같은 저지대와 고지대의 낙엽과 혼합 숲에서 살지만, 여전히 건조하고 돌이 많은 토양을 선호합니다.불리하고 습한 토양 조건에서는 장 질환과 발 썩음이 발생하기 쉬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프레데터즈
그들의 탈출 행동은 높은 산악 지역에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유럽 무플론은 천적이 없는 저지대에서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최근 정착한 루사티아의 늑대 지역의 무플론 개체수는 짧은 기간 내에 전멸했고, 멧돼지와 늑대의 주 먹이인 사슴의 개체수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7]이 관찰이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될지는 늑대가 중부 유럽에서 영토를 확장할 때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라시아 스라소니가 독일의 하르츠 산맥에 다시 유입되면서 겨울의 힘든 시기와 함께 그곳의 무플론 개체수도 감소했습니다.[8]
사냥 커뮤니티에서는 1903년 괴르데 주 숲에 도입된 무플론이 늑대의 귀환으로 인해 멸종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9]
행동
유럽의 무플론은 보통 나이가 더 많은 암양을 선두로 작은 무리를 형성합니다.숫양들은 종종 발정기가 아닌 다른 무리를 형성합니다.발정기 동안, 숫양들은 경쟁자들을 밀어내기 위해 특히 휘어진 뿔로 서로를 치며 암양을 놓고 싸웁니다.유럽 무플론은 초식동물로 다양한 음식을 먹습니다.그들은 또한 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나무의 성장을 심각하게 방해합니다.발정기는 10/11월이며, 임신 기간은 약 5개월이며, 출산은 3/4월에 이루어집니다.한 마리 또는 두 마리의 어린 양이 태어나며 젖을 빨아먹는 시간은 약 6개월입니다.
유럽 무플론의 탈출 행동은 그들의 실제 높은 산 서식지에 적응되어 있습니다: 위험이 발생하면, 그들은 접근할 수 없는 바위 표면으로 도망칩니다.저지대에서는 가까운 거리에서만 도망쳐 추격자들의 손쉬운 먹이가 될 수 있습니다.
역사
유럽 무플론이 3,000~4,000년 전 서식지가 단절되고 과도한 사냥을 통해 유럽에서 크게 멸종된 것인지,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서만 생존했는지, 아니면 선사시대에 지중해 유역에만 유입된 것인지는 불분명합니다.일부 동물학자들에 따르면, 유러피언 무플론은 진짜 사냥감 종이 아니라,[10] 기원전 9000년에서 8500년경에 레반트와 지중해 동부의 다른 지역에서 길들여진 최초의 양 떼에서 파생된 매우 초기의 국내 양 종족의 후손이라고 합니다.따라서, 이것은 거의 만 년 된 양의 첫 가축화의 "스냅샷(snapshot)"을 나타냅니다.사실, 유전적 증거는 유럽의 무플론이 신석기 시대의 사람들과 함께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 온 것을 암시하는데, 그 이유는 초기의 흔적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11]
지난 200년 동안 유럽 무플론은 유럽의 여러 곳에 보관되어 왔습니다.사보이 왕자 유진은 빈 야생동물 공원에 무플론을 키웠고, 그 중 일부는 라인즈 야생동물 공원으로 옮겨졌습니다.1840년에는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서 또 다른 19개의 표본이 수입되었습니다.20년 동안의 게임 활동 끝에 무려 60마리의 숫양을 게임처럼 쏠 수 있었고, 나중에 헝가리, 보헤미아, 실레지아에서 게임을 위해 사육된 동물들도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무플론은 20세기 초부터 사르데냐와 코르시카에서 직접 독일에 공원과 게임 동물로 도입되었습니다.무엇보다도 함부르크 상인 오스카 루이스 테스도르프는 그들의 귀화를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최초의 표본은 1903년 괴르데 주 숲에, 다음 표본은 1906년 하르츠게로데에, 그 후 타우누스와 솔링에 추가로 공개되었습니다.모든 경우에 무플론은 예상대로 바위가 많고 산악 지역이 아닌 숲으로 덮인 평평하거나 낮은 평원을 선호했습니다.점차 다양한 국내산 양, 특히 라카와의 교배종과 혼합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유럽의 무플론 인구가 감소한 후, 독일 제국에서만 1938년에 약 2,500명이 집계되었습니다.[12]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 더 감소한 후, 1954년 전세계 유럽의 무플론의 수는 단지 약 4,500마리였습니다.그 후 세심한 관리로 수가 회복되어 1967년에는 약 2만 마리로 성장했습니다.당시 독일에는 7,000명, 오스트리아에는 2,000명 이상,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에는 2,000명 이상이 있었습니다.[13]
바이에른 숲에서 무플론은 1971년부터 1974년까지 비텔스바흐 보상 기금의 도움으로 숲의 남쪽에 귀화했습니다.때때로, 그 개체수는 거의 100마리로 증가했습니다.2008년 초, 그것은 관광, 사냥, 그리고 새로 방출된 스라소니 때문에 다시 떨어졌습니다. 가이스코프 지역에 30무플론이 조금 넘었습니다.[14]
1969년 1월 룩셈부르크에서, 그룬발트의 임브링겐에 있는 그랜드 듀칼 공원(1905년 이후로 무플론이 보관되어 있던 곳)에서 몇 마리의 무플론이 외슬링의 카운도르프에 있는 주 울타리로 옮겨졌습니다.1970년에 출시되어 오베르사우어 지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15]호싱겐(외슬링) 지역, 특히 에처나흐(구틀란드) 주에도 무플론이 있습니다.[16]
현재분포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서는 유럽의 무플론이 사냥과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습니다.엄격한 규제와 재정착만이 인구를 서서히 안정시킨 것으로 보입니다.[17]1953년부터 무플론 사냥이 금지된 코르시카에서는 1967년에 약 180마리에 불과했지만 2010년에는 800마리로 개체수가 증가했습니다.사르데냐에서 1955년의 숫자는 약 700이었지만 1967년에는 300으로 떨어졌습니다.그러나 보호 프로그램을 통해 인구는 1980년에 1,000명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2015년에 사르데냐에는 6,000마리로 추정되는 무플론이 있었습니다.[18]
코르시카의 상대적으로 낮은 수는 현재 무플론의 나머지 범위와 대조적입니다.오늘날 가장 많은 사람들이 체코, 독일, 헝가리, 오스트리아에 살고 있고 스페인, 프랑스,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불가리아에도 여전히 많은 인구가 살고 있습니다.
중앙유럽의 인구는 60,0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며(2005년에는 90,000명), 가장 많은 인구는 체코(17,500명)입니다.무플론 떼가 프라하의 토마이어 병원 정원에 살고 있습니다.[19]독일의 인구는 2010년에 약 15,600마리 (2005년에는 약 20,600마리)로 약 120개의 그룹으로 살고 있습니다.[20]헝가리에는 약 10,600마리, 오스트리아에는 약 7,500마리의 무플론(보랄베르크에는 무리가 없음)이 있습니다.[21]1980년대 초, 무플론은 프랑스에서 스위스 발레주로 이주했고, 그곳에는 현재 약 200마리의 동물이 살고 있는 두 개의 식민지가 있습니다.IUCN은 유럽무플론을 고대 가축의 야생 개체군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아종의 보존 상태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지 않습니다.[22]
헌팅
무플론은 주로 냄새에 의존하는 사슴과 달리 시력이 잘 발달되어 있고 1,000미터가 넘는 범위에서 사람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작은 크기와 무게에도 불구하고 무플론은 죽이기가[citation needed] 매우 어렵고 성공적인 첫 번째 킬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칼리브레이션 무기로 사냥해야 합니다.
독일.
독일에서 무플론의 사냥은 연방 사냥법에 따라 사냥권에 의해 규율됩니다.2015/16년 사냥 시즌에 독일의 가방은 8,000 mouflon(2010/11년에는 7,270개)에 달했고, 그 중 라인란트팔츠와 튀링겐에서만 3,000개가 총에 맞았는데, 이는 전체 도태의 38%에 해당합니다.[23]촬영된 숫자는 10년이 넘도록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clarification needed]전체 개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도태는 건강한 개체수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의 피해를 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오스트리아
2015/16년 사냥 시즌에 오스트리아에서 도태된 총 개체수는 2,450마리(2014/15년에는 2,640마리)였으며, 이 중 로어 오스트리아에서만 885마리가 도태되었으며, 이는 전체 도태의 36%에 해당합니다.[24]
참고문헌
- ^ Gentry, A., Clutton-Brock, J., & Groves, C. P. (2004).야생 동물 종의 이름과 그들의 국내 파생물.고고학 저널, 31(5), 645-651.https://www.mammaldiversity.org/explore.html#species-id=1006204 에서 검색합니다.
- ^ 발터 프레버트: 자글리치 브라우크툼과 예거스프라체.프랑크 코스모스, 슈투트가르트 2011, ISBN978-3-440-12791-9, pp. 213–214
- ^ Piegert et al., pp. 10-11
- ^ Piegert et al., p. 11
- ^ a b c d e Piegert et al., p. 13
- ^ Piegert et al., p. 14
- ^ 베아트릭스 스토펠:독일에 있는 뵐페.함부르크, 2004.ISBN 978-3-455-09470-1.
- ^ 2012년 1월 1일 Jagd 잡지를 읽었습니다.기사 머플론즈 드라우트 다스 아우스
- ^ "Der Muffel-Untergang -Wildkunde - PRAXIS - jagderleben.de" (in German). Retrieved 2017-03-27.
- ^ Hermans, W. A. (September 15, 1996). "[The European mouflon, Ovis musimon]". Tijdschrift voor Diergeneeskunde. 121 (18): 515–517. PMID 8928183. Retrieved 14 May 2021.
- ^ Vigne, Jean-Denis (June 1992). "Zooarchaeology and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he mammals of Corsica and Sardinia since the last ice age". Mammal Review. 22 (2): 87–96. doi:10.1111/j.1365-2907.1992.tb00124.x.
- ^ 루트비히 주코프스키:Aus Wald und Flur. 1939년 코베텐빌더디엔스트 함부르크바렌펠트
- ^ D. Müller Using in Grzimeks Tierleben, 1968.
- ^ Das Mufflonist seltengeworden; Der Bayerwald-Bote (Passauer Neue Presse), 제15호, 2008년 1월 18일
- ^ Massard, J.A.; Kintziger, P. (1994). "Le Mouflon (Ovis ammon musimon) au Luxembourg: notes historiques sur son introduction et analyse de la population des mouflons de la région de la Haute-Sûre" (PDF). Bulletin de la Société des Naturalistes luxembourgeois (in French). 95: 187–208.
- ^ F. 아담:룩셈부르크에서 머펠와일드.Ettelbruck, 2003년 4월, Lycée technique agricole, 54 pp. (미발표).
- ^ Barbato, Mario; Hailer, Frank; Orozco-terWengel, Pablo; Kijas, James; Mereu, Paolo; Cabras, Pierangela; Mazza, Raffaele; Pirastru, Monica; Bruford, Michael W. (8 August 2017). "Genomic signatures of adaptive introgression from European mouflon into domestic sheep". Scientific Reports. 7 (1): 7623. Bibcode:2017NatSR...7.7623B. doi:10.1038/s41598-017-07382-7. PMC 5548776. PMID 28790322.
- ^ Sardegna Foreste:센센티멘토 델 뮤플론: 2015년 보고서
- ^ "Mufloni v Thomayerce!" (in Czech). Retrieved 2022-08-06.
- ^ Grzimek의 Tierleben에서 사용되는 Müller-Using에 따른 이전 분포 수치, [1][permanent dead link]의 보다 최근의 분포 수치
- ^ 머펠와일드, 2017년 7월 28일 회수
- ^ Temple, Helen J.; Terry, Andrew (2007). The Status and Distribution of European Mammals (PDF).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ISBN 978-92-79-04815-9.
- ^ 2017년 7월 28일 자흐스트렉 머펠와일드에 접속했습니다.
- ^ Jagdstatistik 2015/16, 2017년 7월 28일 검색
더보기

- 홀거 피에거트, 월터 울로스: 데어 유로페이시 머플론.DSV-Verlag, 함부르크, 2005, ISBN 3-88412-429-3
- Herbert Tomiczek, Friedrich Türcke: Das Muffelwild. 나투르게쉬트, 헤게운트 자그드.코스모스, 슈투트가르트, 2003, ISBN 3-440-09652-1
- 월터 울로스: 다스 머펠와일드. Ovis amon musimon.Die neue Brehm-Bücherei, Vol. 491.Westarp-Wissenschafts-Verlags-Gesellschaft, Hoenwarsleben, 2004, ISBN 3-89432-175-X.
- 맨프레드 피셔, 한스-조그 슈만: 머펠와일드. 안스프레첸은 비젠입니다.Neumann-Neudamm, Melsungen, 2004, ISBN 3-7888-08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