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바 룬드그렌

Eva Lundgren
에바 룬드그렌
태어난 (1947-11-24) 1947년 11월 24일 (74세)
국적노르웨이의
모교베르겐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정상화 이론의 과정
과학 경력
필드신학, 사회학, 여성학
기관웁살라 대학교 (1989-2011), 뉴욕 대학교 (1996-1997)

에바 룬드그렌(Eva Lundgren, 1947년 11월 24일 출생)은 노르웨이-스웨덴사회학자다.그녀는 특히 종교적 맥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과 성폭력에 관한 전문가다.[1]그녀는 웁살라 대학 사회학과 에메리타 교수다.

룬드그렌은 폭력 정상화 과정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에 따르면 학대받은 여성들은 점차 가해자들의 관점을 채택한다.[2]룬드그렌은 폭력, , 종교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썼다.[3]그는 1993~2011년 웁살라대에서 정부가 임명한 사회학 석좌를 맡아 '가족과 사회에서, 특히 여성에 대한 남성의 폭력에 관한 권력과 성별의 관계'를 연구했으며, 뉴욕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다.2017년 이후 그녀는 미투 토론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경력

플렉케피오르드 출신으로 모델 생활을 시작해 버겐 대학에서 공부했고, 1978년 (6년) 신학 석사, 1985년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녀는 버겐 대학의 연구원으로 처음 고용되었고, 1986년에 부교수로 임명되었다.1987~1988년 버겐대 성(性)학부장을 지냈으며, 1988년 정식 교수로 유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89년, 그녀는 스톡홀름으로 이전하면서 웁살라 대학신학 박사(독서자)로 임명되었다.

1993년 스웨덴 정부에 의해 웁살라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임명되어 "가족과 사회에서 권력과 성별의 관계, 특히 여성에 대한 남성의 폭력"을 연구하였다.그녀는 군사 퍼레이드와 함께 교수로 설치되었고, 웁살라 성당에서 에로틱화된 힘에 대한 취임 강연을 했다.1996년부터 1997년까지 뉴욕대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노스런던대, 브래드포드대, å보 아카데미대 방문교수직을 겸임하기도 했다.2003년 룬드그렌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신설된 성학부(삼게누스)의 학과장이 되었다.

정상화 프로세스

이론적으로 룬드그렌은 폭행당한 여성들이 어떻게 점차적으로 그 폭력적인 상황을 타파하고 수용하는지를 설명하는 모델인 정상화의 과정 개념을 개발하는 데 주력해왔다.룬드그렌은 또한 파트너에게 조직적으로 성적 폭력을 행사하는 남성들이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권력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다고 주장해왔다.

크누트비 살인 사건

최근 룬드그렌의 연구는 크누트비 살인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로 동시 출간된 그녀의 2008년 저서 <크누트비 코드>는 크누트비 사건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리셉션

정치적 영향

룬드그렌의 연구는 스웨덴,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사회민주주의 정부 하에서 공공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그녀의 지지자들 중 한 명은 룬드그렌을 "멋있다"고 표현했던 전 부총리 겸 여성부 장관인 Margareta Winberg이다.1998년 여성폭력방지법(Kvinnofridslagen)은 룬드그렌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한다.[4]

2005년 '성별전쟁' 이후 논란

2005년 방영된 스웨덴 급진적 페미니즘에 관한 TV 다큐멘터리 '성별 전쟁'은 스웨덴과 노르웨이 양쪽에서 에바 룬드그렌의 작품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이로 인해 웁살라 대학의 보 순드크비스트 교장은 먼저 룬드그렌의 연구에 대한 공개 토론을 발표한 다음, 토론을 취소하고 정치학자 욘드겐 헤르만손과 철학자 마르가레타 홀버그로 구성된 위원회를 임명하여 룬드그렌의 연구를 조사하게 되었다.홀버그와 헤르만손은 그녀의 결론에 비판의 초점을 맞췄지만, 이 조사로 그녀는 어떤 잘못도 없앴다.[5][6]그러나 웁살라 대학의 수석 변호사 마리안 안데르손은 룬드그렌의 결론에 대해 할베르그와 헤르만손의 비판은 그러한 보고서의 맥락에서 부적절하고 불법이며, 단지 위법성 주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권한에 있다고 진술했다.[7]룬드그렌은 그 비판을 일축했다.룬드그렌의 연구 분야의 14명의 주요 연구자들 또한 헤르만손과 홀버그가 룬드그렌의 연구를 평가할 능력이 없다고 말하면서 "독특한" 조사를 비판했다.[8]그 대학은 룬드그렌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헌신했고 그녀와 그녀의 연구단체는 그녀에게 부당한 조사를 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더 많은 자금을 지원했다.[9]

2011년 사임

2011년 에바 룬드그렌은 웁살라대 교수직에서 물러났고, 앞으로 국제경력에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웁살라대가 자신을 뒷받침할 만한 일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그녀는 이전에 그녀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그 협정을 준수하지 않은 것에 대해 그 대학을 비난했었다.[10]룬드그렌은 스웨덴의 페미니스트 장학금에 대한 공격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책을 쓰고 있다.[11]

미투 논쟁의 룬드그렌

스웨덴 신문 스벤스카 다그블라데는 2017년 미투 논쟁의 맥락에서 룬드그렌이 옳다는 것이 증명됐고 2000년대 초 그녀에 대한 비판은 신빙성이 떨어졌다고 썼다.[12]2018년 룬드그렌과 법률학자 제니 웨스터스트란드는 미투 논쟁의 맥락에서 스웨덴 언론인들이 남성 폭력에 대한 비판적인 토론과 연구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격했기 때문에 스웨덴의 저널리즘 직업에 대해 스웨덴의 많은 책임이 있다고 썼다.20년 이상 [13][14]된 남자들

2019년 스웨덴 국립여성보호단체와 젊은 여성보호소는 룬드그렌에 대한 비난은 트롤인셀주도한 혐오발언 운동으로, 이들은 룬드그렌이 스웨덴 페미니에 미친 엄청난 영향력을 찬양했다.sm, 여성 쉼터 운동, 학계, 정치계."[15]

선택된 간행물(노르웨이어 또는 스웨덴어)

  • 2018년: 리브사르벤.Gyldendal Norsk Forlag. ISBN9788205512917.
  • 2008년: 크누트비 코든.오슬로/스톡홀름.ISBN 978-82-05-38472-9
  • 2001: 에크테 크빈? Identitet pss kryss og tvers.오슬로
  • 2001: 슬라겐. Mances v vld mot kvinnori jemstellda Sverige.스톡홀름
  • 1994: La de små bann comme to meg. 반 에르파링거의 메드 세쿠엘레리투엘 오버그레프오슬로
  • 1993: kjøn을 위한 데트 får da være grenser. 볼델릭 엠피리는 페미니스트 디스크 티오리.오슬로 (영어:성별에는 몇 가지 제한이 있어야 함: 폭력적 경험주의와 페미니스트 이론)
  • 1992년: Gud Och Alla andra Karlar. 오 크비노미스핸들레어.스톡홀름
  • 1990: Gud og hver Mann. Seksualisert vold som kulturell arma for å skape kjön.오슬로
  • 1987: 마지막으로 프리스터 i list og. Oh kjön, makt og erotik i Den norske kirks sjelesorg.오슬로
  • 1985년: I Herrens vold. Dokumentasjon ab vold mot kvinner i Kristne miljöer.오슬로
  • 1985년: Paul tvers. Trekk fra avbikets history. 역사학박사학위 논문(독토르사브 핸들링), 버겐.
  • 1984년: Den Herren Elsker, Tukter Han. Tre Rappotter om overgrep mott kvinner.버겐
  • 1982년: Den Bortkomne datter. Kvinneteologi, Kvinnefrigjöring, teologikritik.오슬로
  • 1981: Djevleutdriverne. Eksorsisme I Norge.오슬로

문학

참고 항목

참조

  1. ^ 에바 룬드그렌 I samtale medd Cathrine Sandnes
  2. ^ Eva Lundgren Archived 2010-12-15 Wayback Machine Gendering 폭력성에 보관 - 키노트
  3. ^ Henriksen, Petter, ed. (2007). "Eva Lundgren".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Oslo: Kunnskapsforlaget. Retrieved 5 December 2009.
  4. ^ 에반젤리슨 다그블라데, 2008년 9월 20일
  5. ^ "Uppgörelse klar för Eva Lundgren - P4 Uppland".
  6. ^ Cheesforskaren Eva Lundgren frias Wayback Machine SVT Raident, 2005년 12월 15일, 2012-10-09년 보관
  7. ^ Kritik mot relocation om Lundgren Uppsala Nya Tidning, 2009년 1월 9일
  8. ^ "Eva Lundgrens granskare saknar competens för uppgiften" Dagens Nyheter, 2005년 12월 14일
  9. ^ Eva Lundgren får upprettelse 교수, Wayback Machine Sveriges Universittetslarfurbund, 2006년 12월 1일, Wayback Machine Sveriges에 2010-08-29 보관
  10. ^ 2010년 9월 2일 에바 룬드그렌 크래버 웁프라텔세 웁살라 냐 티딩
  11. ^ Eva Lundgren Saeger upp sig från Uppsala Universitet 2011-08-17 Wayback Machine Göteborgs Universitet, 2011년 3월 3일
  12. ^ Hennes forskning hånades – #mtoo kan gepprettelse, 스벤스카 Dagbladet
  13. ^ 저널리스트 키렌 퓌르티깃 반스 모트 크빈노르,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
  14. ^ Kvinnors Vhldsutsatthet는 Need av 저널리스트Medievérlden.
  15. ^ 포르스카렌 에바 룬드그렌 레므나 스베리지

외부 링크

학무실
선행자
첫 번째 의자 홀더
웁살라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가족과 사회에서 권력과 성별의 관계, 특히 여성에 대한 남성의 폭력"을 연구하기 위해 정부가 임명한 의장

1993–2011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