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블린 언더힐

Evelyn Underhill
에블린 언더힐
Photoevelyn3.jpg
태어난(1875-12-06)1875년 12월 6일
영국 울버햄프턴
죽은1941년 6월 15일 (1941-06-15) (65세)
영국 런던
직업소설가, 작가, 신비주의자
장르.기독교 신비주의, 영성
주목할 만한 작품신비주의

에블린 언더힐(Evlin Underhill, 1875년 12월 6일 ~ 1941년 6월 15일)은 종교와 영적 실천, 특히 기독교 신비주의에 관한 수많은 작품으로 알려진 영국의 앵글로-카톨릭 작가 겸 평화주의자였다.

영어권 세계에서 그녀는 20세기 전반기에 그러한 문제에 대해 가장 널리 읽혀진 작가들 중 한 명이었다. 1911년에 출판된 그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미스틱스에 필적하는[clarification needed] 책은 그 어떤 책도 없다.[1][2]

인생

언더힐은 울버햄프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평화주의자이자 신비주의자일 뿐만 아니라 시인이자 소설가였다. 외동딸인 그녀는 자신의 초기 신비적 통찰력을 "신비주의자의 '아직 사막'처럼 다중성과 설명이 필요 없는 평화롭고 구분되지 않은 현실의 타락한 경험"이라고 설명했다.[3] 이러한 경험의 의미는 평생의 탐구가 되고 사적인 불안의 원천이 되어, 그녀가 연구하고 쓰도록 자극했다.

그녀의 아버지와 남편은 모두 (법률상), 런던의 법정 변호사, 요트맨이었다. 그녀와 남편 휴버트 스튜어트 무어는 함께 자라 1907년 7월 3일 결혼했다. 그 부부는 자식이 없었다. 그녀는 유럽, 특히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를 정기적으로 여행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수많은 교회와 수도원을 방문하면서 예술과 가톨릭에 대한 관심을 추구했다. 남편(개신교 신자)도 부모도 영적인 문제에 대한 그녀의 관심을 공유하지 않았다.

언더힐은 그녀의 많은 친구들로부터 간단히 "무어 부인"이라고 불렸다. 그녀는 다작의 작가였고 1912년 책 <나선형 길>의 경우처럼 처녀시절 이름인 언더힐이나 가명 "존 코들리에"로 30권이 넘는 책을 출판했다. 처음에는 불가지론자였던 그녀는 점차 네오플라토니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거기서부터 남편의 반대에도 점점 가톨릭에 끌리게 되어 결국 저명한 앵글로 카톨릭 신자가 되었다. 1921년부터 1924년까지의 그녀의 정신적 스승은 프리드리히휴겔 남작이었는데, 그는 그녀의 글에 감사하면서도 신비주의에 관심을 기울였고, 그녀가 이전에 가졌던 신학적이고 지적인 관점과 반대로 훨씬 더 기독교적인 관점을 채택하도록 격려했다. 그녀는 그를 "가장 멋진 성격"이라고 묘사했고, "그래서 성자답고, 진실하고, 온전하고, 관대하다." (크로퍼, 페이지 44) 그리고 그의 영향을 받아 보다 자비롭고 현실적인 활동을 하게 되었다. 1925년 그가 죽은 후, 그녀의 글은 성령에게 더욱 집중하게 되었고 그녀는 영적 퇴로의 평준한 지도자, 수백 명의 개인들을 위한 영적 감독, 초청 연사, 라디오 강사, 사색 기도 지지자로 성공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언더힐은 20세기 초에 에드워드 시대에 성년이 되었고, 그녀의 동시대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듯, 확실한 낭만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 당시의 엄청난 흥분은 신비롭게 심령술, 심리학, 신비주의, 중세, 과학의 진보, 예술의 전승, 여성적 재발견, 부끄러울 정도로 감각적인 것, 그리고 가장 불가사의한 "정신적인 것"(Armstrong, p. xii-xiv)이 복합되어 있었다. 성공회는 그녀에게 이것, 즉 그녀의 세계와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그녀는 자신과 많은 세대가 잉태한 것처럼 삶의 중심을 찾았는데, 국교가 아니라 경험과 마음에서였다. '영혼'의 이 시대는 사회적 금기의 갑작스런 완화가 나이 들고 더 멍청하고 무신경한 세대가 경멸하는 엘도라도에 대한 커다란 개인적 해방감과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시기 중 하나였다.[2]

외동딸로서 그녀는 부모에게 헌신했고, 나중에는 남편에게 헌신했다. 그녀는 법정 변호사의 딸과 아내의 삶에 전적으로 관여했으며, 그 중에는 글쓰기, 연구, 예배, 기도, 명상 등이 포함된 일일 요법을 추구했다. 그것은 '인신'이 바로 그것이었듯이 모든 생명이 신성하다는 그녀의 근본적인 공리였다.

그녀는 배스와 웰스의 주교 프랜시스 언더힐의 사촌이었다.

교육

언더힐은 포크스톤에 있는 사립학교에서 3년을 제외하고 집에서 교육을 받았고, 그 후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역사와 식물학을 읽었다. 명예 신학 박사학위가 애버딘 대학에 의해 그녀에게 수여되었고 그녀는 킹스 칼리지의 펠로우로 임명되었다. 그녀는 영국교회에서 성직자들에게 처음으로 강연을 한 여성이었고 교회를 위해 공식적으로 영적인 퇴로를 행한 최초의 여성이었다. 그녀는 또한 교회들 사이에 에큐메니컬한 연계를 확립한 최초의 여성이자 영국 대학과 대학에서 강의한 최초의 여성 신학자 중 한 사람이기도 했다. 언더힐은 당대 가장 유명한 명장들과 함께 공부하는 수상 경력이 있는 책바인더였다. 그녀는 고전학 교육을 받았고, 서양의 영성학에서 잘 읽혔으며, (신학 이외에) 당대의 철학, 심리학, 물리학에서 정통했으며, <관객>의 작가와 평론가로 활동했다.

조기작업

런던 캠프덴 힐 스퀘어 50번지 파란색 명판

신비주의에 관한 그녀의 더 잘 알려진 많은 해설서들을 싣기 전에, 그녀는 먼저 법적 딜레마에 관한 풍자시인 "The Bar-Lamb's Ballad Book"을 출판했는데, 이것은 호의적인 환영을 받았다. 언더힐은 그 후 비록 심오한 영적인 소설이기는 하지만 세 편의 파격적인 소설을 썼다. 찰스 윌리엄스나 나중에 수잔 하워치처럼 언더힐은 자신의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육체와 정신적 성찬의 교차점을 탐구한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인간 드라마의 전개를 설명하기 위해 그 성찬의 틀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그녀의 소설 제목은 "회색 세계", "잃어버린 말", 그리고 "먼지의 기둥"이다. 한 평론가가 극히 흥미로운 심리학 연구로 묘사한 그녀의 첫 소설 <그레이 월드>에서 영웅의 신비로운 여정은 죽음에서 시작하여 환생을 거쳐 회생, 회백계를 넘어 아름다움에 헌신하는 단순한 삶의 선택으로 옮겨가면서 젊은 여성으로서의 언더힐 자신의 진지한 시각을 반영한다.

요즘은 아름답게 사는 것보다 도덕적으로 사는 것이 훨씬 더 쉬워 보인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은 사회에 대해 결코 죄를 짓지 않고 몇 년 동안 살아가지만, 우리는 하루의 매 시간마다 사랑스러움에 대해 죄를 짓는다.[4]

잃어버린 말씀먼지의 기둥도 두 세계에 사는 문제를 걱정하며 작가 자신의 정신적 도전을 반영한다. 1909년 소설에서, 그녀의 여주인공은 우주의 단단한 물질에서 균열을 만난다.

그녀는 갑자기 우리의 환상을 보호하고 진실의 참상을 막아주는 그러한 방어들의 불안감을 보았었다. 그녀는 외모의 벽에서 작은 구멍을 발견했었다; 그리고 들여다보면, 때때로, 사물의 표면에 거품이 떠오를 때, 그 들끓는 영적인 힘들의 항아리를 엿볼 수 있었다.[5]

언더힐의 소설들은 아마도 신비주의자에게는 두 세계가 한 세계보다 나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녀에게 있어서 신비로운 경험은 어떤 종류의 의식의 향상이나 지각과 미적 지평의 확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즉, 신성한 현실에 반대하여 볼 때는 비열하고 보잘것없지만, 신성한 광채를 띠고 있을 때는 그 화려함과 웅장함 속에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신비주의자의 정신은 공포와 불안의 대상이며, 그 힘은 발달되지 않았다. 첫 번째 소설은 이 점만을 말해준다. 신비주의는 단지 환상이나 아늑한 고립 속에서 영혼의 잠재 잠재력을 배양하는 것 이상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단계는 고통을 요구한다. 언더힐의 견해에 따르면, 그 후의 고통과 긴장, 그리고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되찾기 위해 사적으로 고통스러운 자아 중심적인 삶을 최종적으로 잃는 것은 첫 번째 구태의연한 비전과 거의 관계가 없다. 그녀의 후기 두 소설은 인간의 삶의 가능한 완전한 통합을 위해 필요한 비전 그 자체의 명백한 희생에도 완전한 자기희생이라는 이상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다. 이것은 예수의 인생 이야기의 은유적 의도인 안에서 운동하는 것과 맞먹는 그녀를 위한 것이었다. 사람은 더 이상 단순한 구경꾼으로서가 아니라 그것의 일부로서 원래의 비전과 재회한다. 이러한 자기 상실과 부활의 차원은 <잃어버린 말>에서 풀리지만, 그 일반적인 필연성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구심이 있다. <먼지의 기둥>에서 여주인공의 육체적 죽음은 그녀가 이미 항복한 신비로운 죽음을 극적으로 강화시킨다. 두 생명이 한 생명보다 낫지만 고통스러운 재통합 과정이 개입해 '자신과 현실'의 단합을 재정립한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2]

그녀의 모든 등장인물들은 그들이 나타내는 신학적 의미와 가치에서 그들의 관심을 끌어내고, 수잔 하워치와 같은 20세기 작가들의 선구자로서 심리적으로 흥미로워지는 것은 바로 그녀의 기발한 상징적 자료에 대한 처리인데, 그의 성공적인 소설들 또한 리의 심리적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끈끈한 은유와 기독교 신비주의의 전통 그녀의 첫 소설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지만, 그녀의 마지막 소설은 일반적으로 조롱을 받았다. 하지만, 그녀의 소설은 우리가 세인트루이스의 것을 피하기로 한 그녀의 결정이라고 추측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을 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솔로디네임에서 푸가의 유혹("고독으로 향하는 비행")이라고 묘사하면서도, 대신 이 세상에 대한 사랑스럽고 긍정적인 수용을 묵인했다. 뒤돌아보지 않고, 이때쯤 그녀는 이미 마그넘 오푸스 작업을 하고 있었다.

종교에 관한 글

신비주의 (1911년)

언더힐의 가장 위대한 책, 신비주의: 인간의 영적 의식의 본질과 발달에 관한 연구 1911년에 출판되었으며, 직설적인 교과서로 적합하지 않은 바로 그 자질에 의해 구별된다. 이 책의 정신은 역사적이거나 과학적이기보다는 낭만적이고 몰입적이며 이론적이다. 언더힐은 이론적 설명과 전통적인 종교적 경험, 형식적 분류나 분석에 거의 쓸모가 없다. 그녀는 윌리엄 제임스의 선구적 연구인 종교 경험품종(1902)과 그의 "신비적 상태의 4점"(불가능성, 무동적 질, 과도성, 수동성)을 무시한다. 제임스는 자신의 헌법이 거의 전적으로 신비로운 상태를 즐기지 못하게 했다는 것을 인정했으므로 그의 처우는 순전히 객관적이었다. 언더힐 대체(1) 신비주의는 이론이 아닌 실용적이고, (2) 신비주의는 전적으로 영적인 활동이며, (3) 신비주의의 사업과 방법은 사랑이며,(4) 신비주의는 확실한 심리 경험을 수반한다. 심리학적 접근법에 대한 그녀의 고집은 그것이 지성, 창조성, 천재성의 인간 진보의 비밀에 대한 잠재적 열쇠를 제공하는 전전기의 매혹적인 과학이라는 점이었고, 이미 심리학적 발견은 신학(즉 윌리엄 샌데이기독교 고대와 현대)에 적용되고 있었다.[2]

그녀는 자신의 주제를 첫 번째 부분, 소개 부분, 그리고 두 번째 부분, 즉 인간의 의식의 본질과 발달에 대한 상세한 연구 부분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절에서는 신비주의의 주제를 혼란과 오해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녀는 심리학자, 상징주의자, 신학자의 입장에서 접근했다. 신비주의와 그것의 가장 의심스러운 연관성을 분리하기 위해, 그녀는 신비주의와 마술에 관한 한 장을 포함시켰다. 당시에도,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신비주의는 신비주의, 마술, 비밀의식, 광신 등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그녀는 역사를 통해 신비주의자들이 세계의 정신적 선구자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길' 지도를 다섯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는 '자아의 깨어남'이었다. 그녀는 Henry Suso (Meister Eckhart의 복제)를 인용한다.

서비터가 본 것은 어떤 형태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모든 즐거운 사물의 모양과 물질을 보는 데서 알 수 있었던 것과 같은 기쁨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가슴은 배가 고팠지만 만족했고, 그의 영혼은 만족과 기쁨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의 기도와 희망은 이루어졌다. (크로퍼 페이지 46)

언더힐은 일단 기억된 (각 영혼의 참된 본성과 목적과 관련된) 추상적인 진리에 대한 수소의 묘사가 어떻게 성취의 힘을 담고 있는지, 그녀 자신의 진로의 출발점이 되었는지를 말한다. 그녀가 심리학적으로 "자아의 획득"으로 제시하는 두 번째 단계는 자아(Underhill의 "작은 자아")의 초월성에 관한 신학 게르마니카(14세기, 익명)를 인용한 것이다.

우리는 우리로부터 모든 것을 던져버리고 우리 자신을 위해 어떤 것도 주장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그녀는 3단계에서 "영감"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윌리엄 로를 인용했다.

...본성의 모든 것은 영원한 것으로서, 그. ..보이지 않는 타산(異産)으로 서 있기 때문에, 징그러운 것, 죽음, 어둠을 분리하는 방법을 알 때, 그 영원한 상태에서 발견하게 된다.

네 번째 단계는 "영혼의 어두운 밤"(그녀의 서신 내용이 평생 그녀가 고생했다고 믿게 만든다)이라고 묘사하면서, 하층민에게 가치 있던 모든 것을 빼앗기고, 마그데부르크의 메흐틸드를 인용한다.

주께서는 내가 너희에게 가진 모든 것을 나에게서 빼앗아 가셨습니다. 그러나 주님의 은총은 나에게 모든 개들이 가지고 있는 선물을 남겨 주셨습니다. 내가 괴로울 때에, 내가 모든 위로를 받지 못할 때에, 모든 개들이 너희에게 진실한 선물을 주셨습니다. 이것은 너희의 천국보다 더 열렬히 소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녀는 단성적인 삶의 한 장을, 신비적인 방법의 합에 할애한다.

사랑이 우리를 신성한 어둠으로 이끌었을 때, 우리는 아버지의 형상인 영원한 말씀에 의해 변형되고, 공기가 태양에 의해 관통되면서 우리는 이해할 수 없는 빛을 평화롭게 받고, 우리를 감싸고 관통한다. (루이스브로크)

언더힐이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은 이 결합 상태가 영광스럽고 보람 있는 창조성을 만들어내서 이 최종적인 완벽함을 달성하는 신비주의자가 은둔하는 꿈꾸는 하나님의 연인이 아니라 가장 적극적인 실천자임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모두 신비주의자들이다.그들이 보기에는 이상하고 멀리 있지만, 그들은 어떤 불가사의한 심연에 의해 우리와 단절되지 않는다. 그들은 우리의 것이다; 거인, 우리 민족의 영웅들. 천재의 업적은 그 자체만이 아니라 그것을 이끌어낸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신비주의자들의 초자연적인 성취 또한 우리의 것이다. ..그 끝의 우리의 보증, 숨은 조련사. ..진짜를 향해 가는 길. ..우리의 길. 그들은 인생에서 가장 8월의 비밀에 부닥쳐 우리에게 돌아온다. ..그들은 거의 알 수 없는 놀라운 소식들로 가득 차 있다. 우리는 어떤 확신을 갈망하고 있다. ..그들의 계시를 전하라고 그들을 재촉한다. ..어둠이 없고 믿을 수 없는 사람들의 오래된 요구. ..하지만 그들은.. ..Symbolic Vision의 일부분만 할 수 없다. 그들의 힘과 열정에 따르면, 이 절대자의 연인들은 고통으로 움츠러들지 않았다. ..아름다움과 고뇌가 불러왔다. ..영웅적인 반응을 일깨웠다. 그들에게는 겨울이 끝났다.인생은 새롭고, 가라앉지 않고, 사랑스럽게 새벽과 함께 그들을 만나러 온다. (크로퍼, 페이지 47)

이 책은 매우 가치 있는 부록으로 끝나는데, 이 부록은 신비주의의 일종으로, 세기마다 지속성과 상호연관을 보여준다.

루이스브룩(1914년)

14세기 플랑드르 신비주의자인 얀 루스브록(1293–1381)의 에블린 언더힐의 작품이 1914년 런던에서 출판되었다.[6] 그녀는 1911년 미스틱스에 관한 그녀의 책이 진행되는 동안 몇 가지 다른 관점에서 그를 논의했었다.

. 인생. 그녀는 주로 그의 생애에 관한 두 편의 거의 공모전 작품에서 그린 전기로 시작하는데, 이 두 작품은 각각 동료 수도승이 쓴 것이다. 포메리오스와 [7]제라드 나헬.[8]

그의 어린 시절은 루이스브룩 마을에서 보내졌다. [7페이지] 11시에 그는 브뤼셀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세인트구들레 대성당캐논인 존 힌카에르트와 젊은 캐논인 프란시스 반 쿠덴버그와 함께 살기 시작했다. [10] 24세에 는 사제로 서품을 받고 성에서 선비가 되었다. 구들레. [12] 그는 첫 미사에서 연옥에서 풀려나 천국에 들어가는 어머니의 영을 상상했다. [15] 26세에서 50세까지 루이스브룩은 세인트 구들레에 있는 성당 목회자였다. [15] 비록 그는 "자신을 모르는 사람에게 보잘것없는 사람을 시들게 했다"지만, 그는 강한 영적 삶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관찰력 있는 지성, 두려움이 없는 마음,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지식, 놀라운 표현력". [17] 어느 순간 그는 강한 팸플릿을 쓰고, 자기 방종적인 '신념'을 실천한 블로마딘이 이끄는 자유정신의 브레트렌(Brethren)이라는 이단 집단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주도했다. [18–20] 그 후, 현재 나이든 두 카논과 함께 그로넨다엘("그린 밸리")의 시골로 이사했다. [21–22] 포메라리우스는 자신의 빛을 숨기기 위해 은퇴한 것이 아니라 "더 잘 보일 수도 있다"고 쓰고 있다[22]. 5년 후 그들의 공동체는 아우구스티니아 카논의 지배하에 프리오리가 되었다. [23]

그의 많은 작품들은 이 시기 동안 쓰여졌고, 종종 자연으로부터 교훈을 얻었다. [24] 그는 좋아하는 나무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나무 아래에 앉아서 '영령'이 그에게 준 것을 쓰곤 했다. [25] 그는 자신의 작품이 "감동하는 힘의 지배" 아래 작곡되었음을 엄숙히 단언했다고 언더힐은 쓰고 있다. [26] 포메라리우스는 루이스브룩이 빛나는 빛에 둘러싸인 채 나타나는 사색의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한다. [26–27] 영적 등반과 함께, 나겔은 주위 사람들의 우정을 키워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했다고 말한다. [27–28] 그는 전리품의 정원 밭에서 일했고, 숲의 생물들을 도우려고 애썼다. [29–30] 그는 감각에서 앞다리나 갈라짐이 없는 초월자로 옮겨갔다고 언더힐은 쓰고 있다. 이것은 그를 위한 것이긴 하지만 신의 마음 속에 있는 두 가지 기분이다. [30] 그는 자신에게 찾아온 많은 사람들에게 상담을 해주었는데, 그 중에는 제라드 그루트(공민생활의 형제들)도 있었다. [31] 그의 충고는 구원의 의지의 "순수와 방향"과 구원의 사랑을 과시할 것이다. [32] 거기서 그로넨다엘에서 그는 마침내 "더 풍요로운 삶으로의 도약"을 이루었다. [34] The Sparkling Stone Ruysbroeck는 "한 사람 이상을 가질 수 있고, 대가를 지불할 수 있는 것 이상을 요구하는" 사랑을 알게 된 것에 대해 썼다. [34]

II. 일한다. 다음으로 언더힐은 루이스브룩의 11개 정품 작품에 대한 참고 문헌을 제시하며, 각 작품의 기원과 자연, 내용, 그리고 그의 글에서 그 위치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1 영적 성막; 2. 진정한 믿음의 12점, 3점. 네 가지 유혹의 책; 4 하느님의 나라 연인의 서, 5 영적 결혼의 장식;[9] 6. 영원한 구원의 거울 또는 복음서의 책; 7. 일곱 명의 클루이스터, 여덟 명 사랑의 사다리 7도, 9도. 반짝이는 돌의 책; 10. The Book of the Supreme Truth; 11. 베긴 12인조. [36–51]

III. 신의 교리. 몇 가지 유형의 신비주의자들이 설명되어 있다. 첫 번째(예: St Teresa)는 개인의 심리적 경험과 감정적 반응을 다루며, 신의 본성은 기존 신학에 맡긴다. [52쪽] 두 번째(예: 플롯티누스)는 철학자의 비전에서 우러나온 열정을 가지고 있다; 지성은 종종 마음보다 더 활동적이지만, 그와 같은 신비주의자가 궁극의 비전을 스케치하려고 애쓰는 시인처럼 말이다. [53] 가장 위대한 신비주의자들(예: 성 아우구스티누스)은 "무한하고 친밀한 것"을 단번에 포용하여 "신은 가깝고 멀며 초월적인 현실의 역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진실이라면 자명하다"고 말한다. 그러한 신비주의자들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객관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영적 경험의 독서를 차례차례로 우리에게 준다." 여기 루이스브룩이 있다. [53–54]

사도 신비주의자[55]는 신성한 현실을 분별하기 위한 탐구에 있어서 인류를 상징하며, 그녀는 "우주를 확장하는 예술가, 우리의 길을 개척하는 개척자, 우리의 영혼을 위해 음식을 얻는 사냥꾼"과 같다고 쓰고 있다. [56] 그러나 그의 경험은 개인적인 것이지만, 그의 언어는 종종 전통에서 유래한다. [57] "어렴풋한 침묵과 야생의 사막"이라는 하나님의 형성에 대한 그의 말은 암시적이고, 음악적일 수 있으며, 그녀는 "영혼에게 알리는 것보다 매혹적인 것"이라고 쓰고 있다. [58] 루이스브룩은 모험을 하며 "이성을 초월하는" 저 심연 위를 맴돌며, 보이지 않는 진실을 붙잡으려는 필사적인 시도로 더듬거리며 야생시 속으로 침입한다."[55] "[T]그는 '이것도 저것도 아니다."[61]

'인간이 아는 신'은 시간과 영원의 모순된 본성을 결합하고 해결해주는 절대자(Absolute One)로, 초월적이면서도 수완이 없고,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일과 휴식, 움직이지 않는 무버와 운동 그 자체다. 하나님은 폭풍우 위에 계시지만, 풍속을 불어넣어 주십니다. [59–60] "존재의 새로운 탄생과 새로운 은혜의 홍수 속에서 끊임없이 활기찬 삶을 숨쉬고 있는 전지전능하고 영속적인 창조주" [60] 그러나 영혼은 지속될지도 모른다, 이 알찬 본성을 넘어서,[10] 신의 소박한 본질로 나아가라. 거기서 우리 인간들은 "영원한 휴식, '의 침묵', '아비스', '딤 침묵', 그리고 우리가 맛보기는 하지만 결코 알 수 없는 '절대하고 준수하는 현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거기서 '모든 연인은 자신을 잃는다'는 것이다.] [60]

루이스브룩에 따르면 트리니티는 "사람들의 생산적인 본성"이라는 살아있는 구분에서 일한다.[61] 트리니티는 그 자체로 유니티(Unity)이지만, 활동적이고 창조적인 신(Dodhead)인 3인 연합의 발현이다. [60~61][11] 삼위일체를 넘어서는 것과 안 되는 것, 즉 갓헤드(Godhead)는 '패덤 없는 심연'이다 [60] '하나님의 영원한 안식처'인 '단순한 존재'이다 [61][12]

아버지는 모든 것 중에서 무조건적인 기원, 힘, 힘이다. [62] 아들은 조건의 세계에서 빛나는 영원한 말과 지혜다. [62] 성령아버지와 아들의 상호 사색에서 나오는 사랑과 관대함이다. [62][13] 세 사람은 "인간의 영혼이 몰입되어 있는 조건의 세계에 대해 영원한 구별 [강조]로 존재한다." [63] 삼인의 행위로 창조된 모든 것이 태어나고, 화신과 십자가에 못박힘으로써 인간의 영혼은 사랑으로 장식되며, 그리하여 우리의 소스로 다시 끌려간다. "이것이 신성한 생명과정의 순환 과정이다."[63]

그러나 이 영원한 구별 너머와 그 위에는 "모든 조건을 초월하고, 사상에 접근할 수 없는 초압제적 세계"가 놓여 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그 자신을 소유하시는 하나님 머리 속의 측정 불가능한 고독'이다. 이것이 신비주의자의 궁극적인 세계다.] [63–64] 거기서 그녀는 루이스브룩의 말을 인용하며 계속 다음과 같이 말한다.

"[W]e는 더 이상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말할 수 없고, 어떤 생명체도 말할 수 없으며, 오직 하나의 존재만이 신자의 실체인 것이다. 우리 창조 이전에 우리 모두가 하나 있었다.이것이 우리의 초연이다...거기에 신헤드는 단순한 본질에 있어서 활동 없는 것이다.영원한 휴식, 조건 없는 어둠, 이름 없는 존재, 창조된 모든 사물의 초연, 그리고 단순하고 무한한 하나님의 은혜와 모든 성도들의 행복이다.] [64][14]

"이 존재의 단순한 빛... 신인과 영혼의 단결을 포함시키고 포용한다……." 그것은 인간 영혼의 땅(이동)과 신에 대한 집착의 결실을 봉투에 넣고 조사하여 신성한 생명 과정인 장미에서 결합을 찾는다.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과 그를 사랑하는 영혼들의 결합이다." [64–65][15]

IV. 인류 독트린 루이스브룩에게 있어서, "신은 각 영혼에 대한 그의 이미지를 감명시킨 '창조의 살아있는 패턴'이며, 모든 성인 정신에서 그 이미지의 성격은 감춰진 것에서 가져와 실현되어야 한다."[66][16] 패턴은 삼위일체적이다. 인간 영혼의 세 가지 성질이 있다. 첫째, 아버지를 닮은, "내성적으로 의식이 후퇴하는 맨살이요, 정지된 곳" [67] 둘째, 손자에 이어 "직관적 이해에 의한 신의 사물을 아는 힘: 로고의 성격에 있어서의 인간의 단편적 몫, 즉 신의 지혜" [67–68] "제3의 재산은 영혼의 불꽃이라고 부른다. 그것은 영혼의 근원을 향한 내적, 자연적 경향이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성령인 하나님의 자선을 받을 수 있다. [68].[17] 하나님도 인간 안에서 일할 것이다; 나중에 영적 발달에서 우리는 하나님과 연합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70–71][18]

사랑의 강력한 힘은 이 신비로운 교감 속에서 '하나님의 매우 자애로운 자애'이다. [72, 73] "우리가 신성한 생명을 붙잡고, 그것을 먹어치우고 동화시킬 때, 바로 그 행위 속에서 신성한 삶은 우리를 집어삼키고, 신비로운 육체에 빠지게 한다"고 그녀는 쓰고 있다. 루이스브룩은 "사랑의 본질"이라며 "사랑과 사랑을 주고 받고자 하는 모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사랑은 열심이고 관대하다... 그는 우리를 집어삼켰기 때문에, 우리를 먹일 것이다. 만약 그가 우리를 완전히 자기 자신 속으로 흡수한다면, 그 보답으로 그는 우리에게 바로 자기 자신을 다시 준다." [75–76][19] "헝그리 사랑", "자상한 사랑", "폭풍 사랑"은 신성한 창조적 에너지로 인간의 영혼을 어루만지며, 일단 그것을 의식하게 되면, 우리에게 사랑의 응답 폭풍을 불러일으킨다. "영적 질서 안에서 우리의 인간 성장은 이 반응의 질에 의해 조절된다; 의지, 산업, 용기에 의해, 신의 주고받기에서 우리의 역할을 받아들인다." [74] 루이스브룩의 표현대로:

하나님 자신인 저 치밀한 사랑은 마치 불타는 석탄 화로처럼 우리 영혼의 순수한 깊은 곳에 살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가슴과 감각, 의지와 욕망, 그리고 영혼의 모든 힘을 사랑의 불꽃, 폭풍, 분노, 사랑의 측정 불가능한 분노와 함께 휘젓고 현란한 불꽃을 내뿜는다. 이것들은 우리가 모든 사랑의 영을 소비하고 자기 자신 안에서 삼킬 끔찍하고 거대한 하나님의 사랑에 맞서 싸우는 무기들이다. 사랑은 그 자체로 우리를 무장시키고, 우리의 이성을 분명히 하고, 명령하고, 충고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우리가 하나님에 대항하고, 하나님에 대항하여 싸우도록 하고, 하나님에 대항할 권리를 유지하도록 하라. [74–75][20]

이 사랑을 주고받는 드라마는 단막극에 해당하는데, 하나님은 '먹고 흐르는 오션'이나 '숨바꼭질'이 되기 때문이다. [75, 76] "사랑은 통일된 힘이며, 그 자체로 나타나는, '외향적인 매력'으로, 우리를 우리 자신으로부터 끌어내어 '통합에 녹아 없어지고 없어질 것'이라고 부르는데, 그에 대한 그의 깊은 생각은 모두 움직임의 관점에서 표현된다."[76][21]

다음으로 영혼의 영적 발달이 언급된다. [76–88] Ruysbroeck adumbrates how one may progress from the Active life, to the Interior life, to the Superessential life; these correspond to the three natural orders of Becoming, Being, and God, or to the three rôles of the Servant, the Friend, and the "hidden child" of God. [77, 85] The Active life focuses on ethics, on conforming the self's da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감각의 세계에서 "수단으로" 일어난다. [78] 실내생활은 신과의 자아 접촉이 "수단 없이" 일어나는 영적 현실의 비전을 수용한다. [78] 수페레센셜 생명은 지적인 평면을 초월하는데, 여기서 자아는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삶과 사랑, 일과 휴식, 결합과 행복에서 신의 결실을 맺는다. [78, 86, 87][22] 전통적인 3중의 Purgation, Illumination, Union 방식과의 유사성은 정확하지 않다. 루이스브룩의 내부생활은 전통적 연합의 측면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수페레센셜의 삶은 "가장 위대한 비경쟁적인 신비주의자들 가운데서도 거의 성취하거나 묘사하지 않은 결실의 높은 곳으로 영혼을 가져간다." [78–79]

그녀의 장 4세의 끝나면."특정 key-words Ruysbroeck의 작품에서 빈번한,"예를 들어 토론"Fruition"[89],"심플"[89–90],"Bareness"또는"나체"[90], 현자는으로``보통 남자[ 살고 있는] 점검할 수 있[91–93][23]"반대되는 것들의 위대한 쌍, 그의 생각에 근본적인, 플랑드르 어. 현명하고 onwise 방언이라고 불린다.".t에"그의 평범한 정신적 가구"를 사용함으로써 시간적 질서를 확립했다. [91] 그러나 지혜로운 자에 대해서는 "세계의 폭압과 편안함에서 비슷하게 탈출"하여 "노우트로 올라간다"고 했다. Jalālu'ddīn에서 짧은 말을 인용한 후[92][24]그녀는 논평,"정신적 직관의 직접적이고 전달되지 않은 세계가 자기 말을 필터로 생각과 통과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 닿는다."[92], 그녀는 걱정 Contempl Ruysbroeck의 12Bêguines(모자 viii)에서 18선을 제시함으로써 그녀의 장을 완료합니다.ati다음 날짜에:

사색은 현명하지 못한 것을 아는 것이다...
절대 '이유'에 빠질 수 없어
그리고 그 위로는 '이성'이 절대 올라가지 않을 수 있다.
신이 아니라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그를 보는 빛이다.
신의 빛을 받으며 걸어가는 사람들
그 자체로 언더블을 발견하십시오.
현명하지 못한 것은 이성 위에 있는 것이지, 이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사색적인 삶은 놀라울 게 없다.
현명하지 못한 사람은 무엇을 알지 못한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이도 저도 아니기 때문이다. [93]

V, VI, VIII, VIII, VIII. 마지막 네 장에서 언더힐은 루이스브룩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며, 액티브 라이프[94–114], 인테리어 라이프[115–135], 유니언과 사색[136–163], 그리고 수페레센셜 라이프[164–185][25]를 설명한다.

"플랫티누스의 신비주의"(1919)

원래 <분기별 리뷰>(1919년)[26]에 발표되었으며, 이후 <신비주의의 본질>과 기타 에세이(런던: J. M. 덴트 1920년) 116–140페이지에서 수집되었다.[27] 언더힐은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의 후반부에 있는 플로티누스(204–270)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다.

네오플라톤주의자와 영적 가이드인 플로티누스는 형식적인 철학과 실제적인, 개인적인, 내면의 경험에 대해 글을 쓴다. 언더힐은 마음의 지도를 그리는 지리학자와 실제로 영혼의 영역을 여행하는 탐구자를 구별한다. [118쪽] 그녀는 보통 신비주의자들은 단순한 형이상학자들의 지도를 따르지 않는다고 관찰한다. [117쪽]

엔네아드에서 플롯티누스는 신을 불평등한 삼관으로서 내림차순으로 제시한다: (a) 완벽함, 아무것도 가지지 않음, 아무것도 가지지 않음, 아무것도 찾지 않음, 아무것도 필요 없음, 그러나 존재의 근원인 창조적으로 넘쳐난다; [121] (b) 방출된 누스 또는 영혼의 "아버지와 동반자"; [121–122] (c) 배출된 영혼 또는 생명, 위 영과 교감을 열망하는 동시에 아래쪽의 물리적 세계와도 직접 교감하고자 하는 세계의 중요한 본질이다. [123]

사람들은 "하나님에게서 나온다"고 말하고, 처음에는 누스족과, 나중에는 하나님과 다시 결합하면 행복을 찾을 것이다. [125] 그러한 것이 은유학자에게는 단지 논리적인 결과일 수도 있지만, 추구자 플로티누스는 또한 이러한 신으로의 귀환을 일련의 도덕적 숙청비합리적 망상의 탈피로서 제시하여 결국 직관적으로 아름다운 신에 진입하게 된다. [126] 삶의 미학을 향한 이 지적이고 도덕적인 길은 보이지 않는 근원인 누스, 미의 형태를 점진적으로 드러낼 것이다. [127] 사랑은 널리 퍼져 있는 영감이다. [128] 신비주의자는 정화의 단계를 거쳐 깨달음의 단계를 거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의식의 궁극적인 변혁에 대비하여 "의식에서 영혼으로, 영혼에서 영혼으로" 우리 존재의 중심부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125, 127] 도착하자마자 우리는 황홀경을 알게 될 것이며, "더 이상 음정이 맞지 않게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중심으로 신성한 후렴구를 형성한다." [129]

성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그러한 네오플라토니즘이 고군분투하고 불완전한 인간의 요구를 무시한다고 비판한다. '플랫티누스'는 인간의 영혼을 위한 자석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자비를 베풀어 주거나, 도와 주거나, 사랑하거나, 지구상에서 개인을 구원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130] 네오플라톤주의자들에게 쓴 다른 서양의 신비주의자들은 인류와 무의식의,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한 사람 사이의 이러한 "상호적 매력"의 결여를 언급하고 있다. [130–131] 이와 관련하여 노리치의 줄리앙(1342–1416)은 "우리의 자연적인 의지는 하나님을 갖는 것이고, 하나님의 선한 의지는 우리를 갖는 것이다."라고 쓸 것이다.[130]

플로티누스는 악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지만 행복했던 삶에서 설 자리가 없다. 여기서 종교의 사회적, 윤리적 측면은 부족한 것 같다. 그의 철학에는 예수를 통한 복음의 신성한 '고통의 변화'에 버금가는 자질이 담겨 있지 않다. [131] 플롯티누스 "자급적 현자"는 우리에게 자선을 가르치지 않는다고 St. 아우구스티누스. [1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더힐 노트, 플로티누스, 네오플라톤주의는 기독교(그리고 이슬람교)의 신비주의자들 사이에서 매우 영향력이 있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 교회 신부는 그 자신이 플랑티누스, 그리고 그를 통해 서부 교회로 깊은 영향을 받았다. [133–135, 137] 역시 디오니시오스(5세기, 시리아)의 저술은 매우 영향력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것이었다. [133, 135]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로 에리게나 [135], 단테 [136], 루이스브룩 [136], [138], Eckhart [138], Boehme [139] 등이었다.

예배 (1936년)

서문에서 저자는 "소송 전문가"라는 사실을 부인한다.[28] 다양한 종교 단체들이 행하는 예배 접근법에 대한 비판을 하는 것도 그녀의 목적이 아니다. 오히려 그녀는 "그들의 장식에 간 사랑과 그들이 많은 종류의 숭배하는 영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은신처"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한다. 그녀는 1장을 선언하면서 "모든 등급과 종류에 있어서 예배가 영원한 존재에 대한 생물의 반응이다. 우리는 이 정의를 인간의 영역에 한정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보고 보지 못하고, 보이지 않으며, 의식하고 무의식적인 우주 전체를 예배 행위로 생각할지도 모른다."라고 말한다.

그 장의 표제는 그 내용을 나타낸다.

  • 1부 : 1. 예배의 본질, 2. 의식과 상징, 3. 성찬과 희생, 4. 기독교 숭배의 성격, 5. 기업숭배의 원리, 6. 예배에서의 소송 요소, 7. 성찬: 자연, 8. 성찬: 그것의 중요성, 9. 개인숭배의 원리.
  • 제2부: 10. 유대교 예배당, 11세 '기독교 예배 시작' 12. 가톨릭 예배: 서양과 동양, 13세 개신교 교회 예배, 14세 자유교회 예배, 15세 성공회 전통. 결론.

영향

언더힐의 삶은 그녀가 가톨릭 교회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남편의 저항으로 큰 영향을 받았는데, 그 저항은 그녀를 강하게 끌어당겼다. 처음에 그녀는 그것이 단지 그녀의 결정이 지연되는 것이라고 믿었지만 그것은 평생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그는 작가 자신이었고, 비록 그는 그녀의 정신적 친절을 공유하지는 않았지만 1907년 결혼 전과 후에 그녀의 글쓰기를 지지했다. 그녀의 소설은 1903~1909년 6년에 쓰여졌고, 그 일반적인 시기의 4대 관심사 즉 철학(신종주의), 신파주의/신파주의, 로마 가톨릭 교리, 인간애/공감이다.[29] 언더힐은 앞서 쓴 글에서 '미스테리즘'과 '미스테틱스'라는 용어를 자주 썼지만, 이후 '정신성'과 '성인'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종종 신비로운 삶이 일반인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비난을 받았다.

그녀의 소설은 또한 그녀의 절친한 친구 아서 마첸이 기술한 문학적 신조에도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1902년의 그의 상형문자로 그의 전기작가에 의해 요약되었다.

우주와 그 체질에 관한 확실한 진리들이 있다. 그것은 우리가 관찰하기 전에 나오는 특별한 것들과 구별된다. 인간의 이성으로 파악되거나 정확한 말로 표현될 수 없다. 그러나 그것들은 적어도 엑스터시라고 불리는 반미신앙적 경험에서 일부 사람들에 의해 파악될 수 있으며, 예술 작품은 위대한 것이다.이 경험이 잡히고 표현되기 때문에. 그러나, 관련된 진리는 물질적인 사물의 설명에 부합하는 언어를 초월하기 때문에, 그 표현은 상형문자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고, 문학이 구성되는 그런 상형문자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언더힐의 경우 심리학적 현실주의에 대한 탐구는 그녀가 아서 마헨과 공유했던 더 큰 형이상학적 고려에 종속된다. 그들의 소설에 성배를 포함시킨 것(아마도 아서 와이트와의 연관성과 황금빛 새벽의 헤르메틱 오더와의 관계 때문에), 마헨에게 성배는 아마도 상형문자, 즉 모든 인간의 초월적 갈망의 하나의 성스러운 상징에 있는 결정체, 시각으로 가는 "" 관문이고 지속적인 유화"였을 것이다.그의 불평에 대한 무성의는 그녀에게 있어 그것은 그녀가 언더힐의 마지막 소설에 대한 로빈슨의 비판에 답하는 편지에서 마거릿 로빈슨에게 지적한 것처럼 속죄와 관련된 의미의 중심이었다.

비판할 때 자신의 냉정함에 경탄하지 마라. 왜 그래야 해? 물론, 이것은 너를 위해 쓰여진 것이 아니다. 나는 방향의 글자들을 제외하고, 결코 누군가를 위해 쓴 적이 없다! 하지만, 나는 그 안에 들어 있는 교리가 조만간 동화되어야 할 것이며, 그것이 당신에게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위해 휴식을 취한다. 그건 네가 아는 "내 것"이 아니야. Eckhart에서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성 빅토르의 리차드가 말했듯이 사랑의 불꽃이 "타다"는 것을 그들은 모두 알고 있다. 우리는 그것으로부터 안전한 거리에 앉아서, 과식한 고양이들처럼, '사랑의 고대의 법칙'을 깨우치고 있을 때, 우리의 운명을 이행하지 못했다. 이상하게도, 그 운명에 대한 최고의 즐거움. 스펀지 케이크와 우유 종교는 이 세상에도, 다음 세상에도 진실하지 않다. 그리스도가 우리의 작은 고난에 대해 너무 높은 말씀을 하시는 것에 대해, 나는 우리가 작은 고난에 한번 도전해 보면 왕족이라는 딱지를 붙이는 것이 "그렇게" 8월이라는 것은 더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깨끗하고 낮은' 패턴이 매우 겸손하고 평범한 것에 적용되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 대부분은 겸손하고 평범한 사람들은 기회를 얻지 못하지만, 우리의 조치에 따라 그는 우리 모두가 더 풍족하게 삶을 살 수 있게 되었다. 그게 다야![30]

당시 언더힐이 '미스테리즘'을 집필할 당시 두 명의 현대 철학 작가인 루돌프 유켄앙리 버그슨 등이 그의 생각을 지배했다. 둘 다 신비주의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제자들에게는 우주에 대한 영적인 설명을 진전시키기 위한 것처럼 보였다. 또한, 그녀는 당시의 유행하는 신조를 "바이탈리즘"이라고 묘사하고 있으며, 이 용어는 전쟁 전 문화와 사회에 만연했던 그 모든 풍부하고 다양하며 무한한 가능성 속에서 널리 퍼져있는 삶의 숭배를 적절히 요약하고 있다. 그녀를 위해 유켄과 버그슨은 신비주의자들의 가장 깊은 직감을 확인했다. (암스트롱, 에블린 언더힐)

신비주의자들 중에서 루이스브룩은 그녀에게 중세 신비주의자들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고 만족스러운 존재였고, 그녀 자신도 숨겨진 면이 있었기 때문에 브뤼셀에서 무명의 성직자로 일하던 시절에 그와 한자리에 있는 자신을 매우 많이 발견했다.

14세기 전반을 아우르는 그의 경력, 그 기독교 신비주의의 황금시대는 하나의 인격의 원 안에서 나타나며,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높은 기간으로 영생이라는 영역에서 중세시대의 모든 최고의 성취들을 이어가는 것 같다. 신성한 아버지로서의 중심 교리, 그리고 신의 아들이 되는 영혼의 힘, 이것이 바로 n번째의 강도로 격상된 것이다...수학자의 정확성과 시인의 열정으로 증명했지 루이스브룩이 우리에게 준...스파클링 스톤 제9장, 제10장 신비 문학의 높은 수위표 그 어느 곳에서도 우리는 치솟는 비전과 가장 섬세하고 친밀한 심리학적 분석의 조합을 찾을 수 없다. 나무 밑에 앉아 있는 늙은 미스틱은, 여기 그 영원한 세계의 마지막 비밀을 우리에게 보고하고 있는 것 같다... (크로퍼, 페이지 57)

그녀의 가장 중요한 영향과 협력 중 하나는 노벨상 수상자인 인도 신비주의자, 작가, 그리고 세계 여행자 라빈드라나트 타고레와의 협력이었다. 이들은 1915년 카비르(카비르의 100시, 카비르의 노래를 부른다)의 주요 번역본을 함께 발표했는데, 그녀가 이 작품에 대한 서론을 썼다. 그는 그녀에게 인도의 영적 천재를 소개했는데, 그녀는 이 영적 천재를 다음과 같은 편지에서 열렬히 표현은 다음과 같다.

나는 아직 좀도 중에 알고 있는 내가 그렇게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들에서 주인공과 함께 하는 것의 특권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첫번째 시간:&었을 때들은 이런 개인적인 선생님과 그 사실의 필연성과 가치에 대한 그가 학습자 어떤 oth에서 흔힐 수 없는 것을 준다고 주장하고 당신의 작가들이 어떤 것을 이해하다.w어그것은 마치 내가 알파벳을 거의 알지 못하는 언어를 완벽히 말하는 것을 듣는 것과 같다.(글자)

그들은 만년에 계속 편지를 보내지 않았다. 두 사람 모두 인생의 마지막 해에 쇠약해지는 병을 앓았고,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에 크게 괴로워하며 1941년 여름에 죽었다.

1921년 에블린은 확신에 차 있고 부러워할 만한 위치에 있는 모든 외견상이었다. 그녀는 옥스퍼드 대학으로부터 종교에 관한 새로운 일련의 강의 중 첫 번째 강의를 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며, 그런 영예를 얻은 최초의 여성이었다. 그녀는 신비주의를 주제로 한 권위자였고 연구와 학문으로 존경받았다. 그녀의 글은 수요가 있었고, 흥미롭고 주목할 만한 친구, 헌신적인 독자, 행복한 결혼생활, 다정하고 충실한 부모들이 있었다. 동시에 그녀는 자신의 기초가 불안하고 현실에 대한 열의가 너무 깨지기 쉬운 토대 위에서 쉬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1939년까지 그녀는 성공회 평화주의자 협회의 일원이 되어 반전 감정을 표출하는 많은 중요한 활동들을 썼다.

성공회로 돌아온 , 그리고 아마도 신비주의자들의 업적과 그 위험천만한 높이에 대한 그녀의 지식에 압도당한 후, 가톨릭 철학자, 작가 남작 프리드리히 힝겔과의 10년간의 우정은 영적인 방향의 하나로 바뀌었다. 찰스 윌리엄스는 편지에 대한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일률적으로 흔들리는 헌신과 회의주의의 수준(교회와 관련됨)은, 어떤 영혼들에게는, 지속적인 단순 신앙이 다른 영혼에 대한 것만큼, 그녀에게도 괴로움이었다.그녀는 "확실히" 되기를 원했다. 그녀가 몸부림치던 어둠의 폰 뤼겔에게 편지를 쓰면서:

어떻게 해야 하지?...자연스럽게 제멋대로 구는 것. 그리고 지금은 불행히도 직업적으로 매우 번창하고 애태우는 것. 규칙을 만들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나는 두 가지 모두에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성적인 일이나 종교는 나에게 진정한 규율을 주지 못한다. ..사람들이 눈치채거나 경건해 보일 수 있는 어떤 것도 충고해 주어도 소용이 없다. 그것은 내 능력 밖이다. 나의 명쾌한 순간에서 나는 이 길의 유일한 가능한 끝은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자기 담화라는 것을 너무나 분명하게 볼 뿐이며, 이 때문에 나는 배짱도, 성격도, 깊이도 없다. 뭔가 착오가 있었다. 내 영혼은 그것에 비해 너무 작지만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밑바닥뿐이다. 마치 때때로 마치 충돌하는 충동과 폭력적인 결함으로 뒤쪽에서 감히 뛰어넘을 수 없는 가장자리를 향해 밀려드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31]

7월 12일 이후의 편지에서 에블린의 영적 상태에 긴장된 징후에 대한 남작의 실제적인 염려가 표현된다. 그의 논평은 그녀의 고군분투에 대한 통찰력을 준다.

나는 절대 확신에 대한 열망을 좋아하지 않는다. 당신의 경험이나 이런 것이 당신 자신에게 보이는 것이라는 것을. 그리고 나는 확실히 내가 그 경험들 중 어떤 것의 최종적이고 증거적인 가치를 절대적으로 확신한다고 선언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들은 믿음의 물건이 아니다. .. 때때로 당신은 회의주의에 유혹되고 그래서 만약 단 한 번의 직접적인 개인적 경험만 있다면, 그것은 모든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탈출구는.....가장 위험한 것이 될 수도 있고, 당신을 약하게 하거나, 오그라들거나, 부풀게 할 수도 있다. 무슨 일이 있어도...그들이 겸손해도, 그리고 너를 지켜줄 때에는, 아마 하나님께로부터 올 것이다. 그러나 그들에게 믿음을 심어 주지 말고, 그들이 단지 수단이 되기 위해 존재할 때 그들을 끝장내지 말라...나는 하나님께서 우리 삶에서 이것이나 일이나 미덕의 두드러진 우세를 원하시는지 확신할 수 없다. 그것은 이미 너무 격렬하게 당신의 자연적 기질을 더 먹여 살릴 것이다. (크로퍼 전기)

언더힐은 자신의 구타적인 비전이 목적적이었음을 갈구하며 2차 세계대전의 참혹한 맹습과 교회의 무력함 때문에 평화주의자로서만 고통을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갈구하며 끝까지 분투했지만, 언더힐은 말의 영향을 받아 조국의 생존에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기도의 힘에 관한 그녀의 가르침이 수천에 미치는 영향도. 1940년 런던 블리츠에서 살아남은 그녀의 건강은 더욱 악화되었고 다음 해에 죽었다. 그녀는 런던 세인트 존앳햄스테드에 있는 교회 묘지 증축장에 남편과 함께 묻혔다.

어느 누구보다도 그녀는 중세 및 가톨릭 영성의 잊혀진 작가들을 주로 개신교 청중들에게 소개하고 동양의 신비주의자들의 삶을 영어권 세계에 소개하는 데 책임이 있었다. 라디오에 자주 출연하는 그녀의 1936년 작품 <영적 삶>은 특히 기도라는 주제로 돔 버나드 클레멘츠에 의해 속편으로 주어진 일련의 방송들에서 필사되어 영향력이 컸다. 동료 신학자 찰스 윌리엄스는 1943년에 출판된 레터스에 대한 소개를 썼는데, 이 레터스는 이 엄청난 여성에 대해 많은 것을 폭로했다. 그녀가 사망하자 더 타임즈는 신학을 주제로 "그녀의 당대 어느 전문 교사와도 필적할 수 없는 인물"이라고 보도했다.

존경

Evelyn Underhill is honored on June 15th on the liturgical calendars of several Anglican churches, including those of the Anglican Church of Australia, Anglican Church in Aotearoa, New Zealand and Polynesia, Episcopal Anglican Church of Brazil, Church of England, Episcopal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Anglican Church in North America.

출판물

소설

  • 그레이 월드 (1904) 케신저 출판사, 1942: ISBN0-7661-0158-4. 온라인
  • 로스트 워드 (1907)
  • 먼지 기둥 (1909) 온라인

종교(논픽션)

  • 성모 마리아의 기적: 다이버들의 혀를 꺼내 영어로 새롭게 출시(1906) 온라인
  • 신비주의: 인간의 정신적 의식의 본질과 발달에 관한 연구 E. P. Dutton에 의해 1930년에 출판된 12번째 판이다. 2002년 도버 출판사에서 재간행(ISBN 978-0-486-42238-1) Christian Classic Ethereal LibraryWikisource에서 온라인 버전을 참조하십시오.
  • 영원한 지혜의 길. [오피니언] 십자가의 길에 대한 신비로운 해설 (1912년)
  • 영국 도서관 원고의 익명 The Cloud of Nonking (c. 1370) 판의 "소울이 하나님과 함께 있는 알 없는 구름이라 불리는 사색의 책" (런던: 존 M)에 대한 소개. Walkins 1912); 알 없는 구름으로 재인쇄(1998) [그녀의 "소개서" (5–37); 2007: ISBN 1-60506-228-6; 구글 서적에서 그녀의 텍스트를 참조하라.
  • Spiral Way. 영혼의 오르막길의 15가지 신비에 대한 명상이 되는 것 (1912)
  • 미스틱 웨이. 기독교의 기원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1914년) 온라인
  • 실용적인 신비주의. 일반인을 위한 작은 책(1914), 1942년(ISBN 0-7661-0141-X), 2003년 뉴욕 빈티지북스에서 다시 인쇄[Abba(1940년)와 함께]: ISBN 0-375-72570-9; Wikisource에서 텍스트를 참조하십시오.
  • 루이스브룩(런던: Bell 1915). 온라인
  • 라빈드라나트 타고레카비르(1915) 번역본 "소개서"; 1977년 사무엘 와이저(ISBN 0-87728-271-4) 5-43에 본문을 재인쇄
  • 신비주의 기타 에세이의 필수품(1920); 1995년 같은 제목의 에세이의 또 다른 모음집, 1999년 재인쇄(ISBN 1-85168-195-7)
  • 영혼의 삶과 오늘의 삶(1920년) 온라인
  • 교회의 신비주의자들 (1925년)
  • 내부 생활 관련(1927), 1999년 재인쇄(ISBN 1-85168-194-9) 온라인
  • '인간과 초자연적' [건축비평] 신조에 관한 연구 (1927년)
  • 영혼의 집(1929년)
  • 그리스도의 빛 (1932년)
  • 골든 시퀀스. 영적 삶에 대한가지 연구 (1933년)
  • 자선 학교. 기독교 신조에 관한 명상(1934년), 1954년 런던 Longmans에 의해 재인쇄[M. of S. (1938년)]
  • 예배 (1936년)
  • 영적 생명(1936), 1999년 재인쇄(ISBN 1-85168-197-3); 온라인판 참조
  • 희생의 신비. 1954년 런던 Longmans에 의해 재인쇄된 리터지(1938)에 관한 연구
  • 아바. 주기도 대한 명상 (1940); 2003년 재인쇄[실용적 신비주의 (1914년)]
  • 찰스 윌리엄스가 편집한 에블린 언더힐(1943)의 편지; 크리스천 클래식 1989: ISBN 0-87061-172-0
  • 루시 멘지스가 편집한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신사와 도시(1949년)
  • 내면의 삶에서 나온 조각들. 다나 그린이 편집한 에블린 언더힐(1993)의 노트
  • 플롯티누스의 신비주의(2005) 케신저 오프프린트, 48쪽. 신비주의의 본질에서 따옴(1920)

앤토리얼스

  • R. L. 로버츠가 편집한 정령의 열매(1942); 1982년 재인쇄, ISBN 0-8192-1314-4
  • 소개로 편집한 에블린 언더힐(1943)의 편지. 찰스 윌리엄스
  • L. 멘지스가 편집하고 L. 바크웨이가 소개한 에블린 언더힐(1946)의 논문 수집
  • G. P. 멜릭 벨쇼 편집자 에블린 언더힐(1964)과 함께 사순절
  • 하느님의 사랑이야기. L. Barkway와 L이 편집한 Evlyn Underhill(1976년)의 글로부터. 멘지스
  • The Ways of the Spirit (1990) brame by G. A. brame; reprint 1993, ISBN 0-8245-1232-4
  • 에블린 언더힐 D에 의해 편집되고 소개된 고대 성탐험(1988)에 대한 현대적인 안내서. 그린
  • 에블린 언더힐 E. 그리핀 편집 필수 글(2003)
  • 래디언스: 버나드 뱅글리 편집한 영적 회고록(2004) ISBN 1-55725-355-2

참고 항목

참조

  1. ^ 다나 그린(2004년). "언더힐 [결혼명 스튜어트 무어] 에블린 모드 보즈워스 (1875–1941)" 옥스퍼드 국립 전기 사전
  2. ^ a b c d 암스트롱, C. J. R. "에블린 언더힐: 그녀의 삶과 글에 대한 소개", A.R. 모브레이 & Co., 1975.
  3. ^ 윌리엄스, 찰스 편집장, 이블린 언더힐의 편지, 롱맨스 그린, 122-23페이지.
  4. ^ 언더힐, E, 그레이 월드, 런던: 1904년 윌리엄 하인만
  5. ^ 언더힐, E, 런던먼지의 기둥: 메투엔 주식회사, 1909년
  6. ^ G. Bell & Sons에 의해; Kessinger 출판사가 [no date, 2003년 경]을 재인쇄한 이후.
  7. ^ 캐논 헤니쿠스 포메라리우스는 루이스브룩이 거주하던 수도원 이전이었으나, 2대가 지난 후, 그는 루이스브룩을 잘 알고 있던 몇몇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의 역사를 루이스브룩의 동시대 작품에 기초했을지도 모른다.
  8. ^ Gerard Naghel은 루이스브룩의 현대인이자 친한 친구였으며, 이전 이웃이기도 했다; 그는 그의 삶에 대한 짧은 작품을 썼다[6].
  9. ^ '영적 에스푸잘스'로도 알려져 있다(예: 위즈맨이 존 루스브룩(폴리스트 프레스 1985년)에서 번역한 것); 루이스브룩의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다. [42].
  10. ^ "프루션은 루이스브룩 사상의 명언 중 하나이다"라고 그녀는 관찰한다. [59페이지] 나중에 그녀는 [89페이지]에서 더 자세히 논한다.
  11. ^ 여기서 그녀는 루이스브룩이 힌두교 신비주의자들, 기독교 네오플라톤주의자들, 마이스터 에크하트와 유사하다고 평한다. [61]
  12. ^ 그녀는 모자에 있는 열두 베긴스의 말을 인용했다. 시브
  13. ^ "혹은 이 두 사람은 언제나 사랑에 굶주려 있다"고 그녀는 <영혼>, <리브.i>를 캡으로 인용하며 덧붙인다. xxxvii.
  14. ^ 그녀는 출처를 '사랑의 7도'로 정했다. 시브
  15. ^ 그녀는 모자에 있는 신의 연인들의 왕국의 말을 인용했다. xxix.
  16. ^ 여기서 에블린 언더힐은 노리치의 줄리앙을 가리키며 인간의 영혼에 대한 그녀의 구절을 인용하여 "미제 복된 삼위일체처럼 만들어진 삼위일체"라고 한다. 그런 다음 그녀는 루이스브룩의 처리되지 않은 인간성의 패턴원형플라토닉 아이디어에 비교한다. [68].
  17. ^ 여기 그녀는 "영원한 구원의 거울"을 대문짝만하게 인용한다. 8. Cf, [70]
  18. ^ 그녀는 '진실의 서'인 루이스브룩을 인용했다. 시, "그의 결합은 은혜와 우리의 귀향적인 사랑을 통해 하느님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그 생물은 그 내면에서 자신과 하나님 사이의 구별과 다른 점을 느끼고 있다. [71].
  19. ^ '영원한 구원의 거울'을 인용하며, 7번 캡. 그녀는 여기서 성인을 가리킨다. 아시시의 프란시스.
  20. ^ 그녀는 다시 "영원한 구원의 거울"에서 인용했다. 열여섯 살
  21. ^ 루이스브룩, 모자에서 반짝이는 돌. x: 인용됨.
  22. ^ 수페레센셜의 삶을 재탄생시키십시오. xii [86]; 그리고, 사랑의 7도 모자. 시브[87]
  23. ^ 이러한 반대되는 단어들은 영어로 다양하게 번역된다. 언더힐은 때때로 "어떤 지혜로운" 그리고 "아무런 지혜가 없는" 또는 "조건 없는" 또는 "어느 정도"와 "노"를 선호한다. 즉, 그녀현명하지 못한 것으로 번역한 두 번째 반대편이다[93]. Cf, "과잉 억제제" [85 & 86–87; 90–91].
  24. ^ 루이스브룩, 12개의 베긴스가 모자에 있다. 시이
  25. ^ 앞서 언더힐은 자신의 저서에서 76-88페이지에서 루이스브룩이 액티브, 인테리어, 수페레센셜을 어떻게 구별하는지 설명했다.
  26. ^ QR(1919), 페이지 479-497.
  27. ^ 최근 케신저 출판사가 <플랫티누스의 신비주의>(2005)로 인쇄한 책, 48쪽.
  28. ^ 에블린 언더힐, 예배 (뉴욕: 하퍼와 형제 1936; 하퍼 토치북 1957을 재인쇄) 페이지 7~x.
  29. ^ name="Armstrong, C.J.R."
  30. ^ 암스트롱, C. J. R., 에블린 언더힐: 그녀의 삶과 글에 대한 소개, 페이지 86–87, A. R. 모브레이 & Co., 1975
  31. ^ 크로퍼, 마가렛, 에블린 언더힐, 하퍼 & 브라더스, 1958년

추가 읽기

  • A. M. 알친, 신의 우정 - 이블린 언더힐과 캠펠로의 소렐라 마리아와의 만남 (SLG Press, Fairacres Oxford 2003)
  • 마거릿 크로퍼, 에블린 언더힐의 생애 (1958년 뉴욕)
  • 크리스토퍼 J. R. 암스트롱, 에블린 언더힐(1875–1941) 그녀의 삶과 글에 대한 소개(Grand Rapids: 에르드만스 1976년)
  • 마이클 램지와 A. 알친, 에블린 언더힐 100주년 기념 에세이 (Oxford 1977)
  • 애니스 캘러핸, 에블린 언더힐: 일상을 위한 영성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7)
  • 다나 그린, 에블린 언더힐 무한한 삶의 예술가 (1998년 노트르담 대학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