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미학
Everyday Aesthetics데일리 미학(Everyday Miciacy)은 감성의 학력이 위태로운 일상의 사건, 설정, 활동에 초점을 맞춘 철학적 미학의 최근 하위 분야다.알렉산더 바움가르텐은 미학을 하나의 학문으로서 확립하고 그것을 그의 기초적인 작품인 미학 (1750년)에서 감각지식의 과학인 사이언톨리아 인식is sensitivae, 즉 감각지식의 과학으로 정의했다.[1]이 분야는 90년대 일상 미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디자인, 공예, 도시 환경, 사회 실천의 미학을 미적으로만 언급하는 미술, 아름다움, 맛의 해명에 전념해왔다.환경미학이나 자연의 미학과 같은 다른 하위 분야들처럼, 일상미학도 예술철학에 거의 배타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미학에 대항하려고 시도한다.
경험에서의 미학 기초화
일상생활에 대한 심미적 연구는 주로 예술적 경험의 기초화에 관심이 있었더라도 존 듀이(1934년)의 실용주의 미학 덕택이다.듀이는 모든 생물의 환경과의 교제에서 감정, 에너지, 리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감성이 존재하는 다양한 상황을 지적했다.따라서 그는 예술적인 것뿐만 아니라 경각심과 경험의 강렬함을 수반하는 일상적인 행동과 경험을 강조했다.[2]듀이는 미술품이나 박물관 소장품으로서의 물건의 지위보다는 피험자들의 경험에서 미학을 탐구했다.이러한 변화는 미적으로 분류된 본질적인 자질에 의해 예술적이고 아름다운 것을 넘어 미적인 것에 대한 고려를 방해하는 미학에 대한 객체 중심적 접근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3]
일상 미학의 사회적 차원
미적 이론의 방치도 그러한 감수성이 일상 생활의 역할을 고려해 봐야 먼저 Katya Mandoki 1994년에 Prosaics[4](아리스토텔레스의 Poetics[5]에서 특별함을 예술에 집중했다)구체화 미학 등 일상 활동이 점을 강조한 관련된 대해 조사할 수 있는 sub-discipline을 나타내기 위해 묶어 만든 말에 의해 지적되었다. 스타일그리고 대면 및 맥락에서 결정된 상호작용에서 표현의 형태.프로사이언스 또는 일상 미학의 이론은 이것과 이후의 텍스트에서 각 제도적 환경(학교, 가족, 종교, 정치, 예술 세계, 의료 행위, 스포츠)에서 취미의 암묵적 기준에 의해 수용 가능한지 아닌지에 대한 사회적 규약을 분석한다.여섯 권의 책과 몇 가지 기사.일상적인 미학;프로사이언스, 사회적 정체성 및 문화의 놀이(2007)[6]는 개인 및 집단 경험 내에서 비예술적 영역의 넓은 범위를 일관되게 분석한다.상징적 상호작용, 정체성 협상, 극적 성과 등을 통해 미학의 역할을 검토하여 감성에 미치는 구체적인 민감한 효과와 영향을 산출한다.다감각 현상으로서 프로사이언스는 미학에서 관행처럼 시각과 청각뿐만 아니라 참가자의 감수성(신체언어, 시각, 설정과 소품, 언어의 억양과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센서리시온의 전 범위에 주의를 기울인다.
일상 미학에서의 정치적 차원, 폭력 및 부정성
일상적인 미학에 대한 접근법은 감성에 작용하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풍부함과 독성 효과 모두를 포함한다.Joseph H. Kupfer는 현대 사회에서 폭력과 초폭력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의 중요성을 심미적 조사의 주목을 끌었다.쿠퍼는 사회 폭력의 미학적 기반을 명시적으로 만들고, 생생한 감각을 만들어내는 미학적 과정으로서 파괴를 강조한다.[7]그는 또한 예술을 가르치는 방법뿐만 아니라 미학적으로 교육에 미학을 접목해야 할 필요성, 즉 학습의 내용에 학생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리듬, 주제 구성, 발표 방법을 통해 교육하는 방식 그 자체도 강조했다.만도키는 정치 영역에서 감정을 조작하는 데 미학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지적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데 미학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사례로 나치 선전을 언급하고 있다.[8]정치적 의제를 위한 미학의 활용, 특히 민족국가의 정당화에 있어서 이 저자가 다루고 있다.[9]아놀드 베를란트는 테러리즘의 미학적 영향과 정치 영역에서 미학을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하며 일상적인 미학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해왔다.베를란트는 현대의 도시 과밀화로 지각 부상이나 피해를 유발하고 자극, 우주 오염, 밀실 공포증, 억압적인 조건들을 시각적으로 극복하는 다른 극단적인 상황을 제기한다.[10]베를란트에게 미학은 적극적이고 강렬한 미적 관여를 내포하고 있으며, 따라서 일상적인 현대 도시 환경에서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모두에 관여하고 있다.[11]베를리언트 환경 미학은 20년 이상 지속된 연구 대상이었기 때문이다.[12]1970년부터 그는 우리의 삶의 질이 좌우되는 경험과 적극적인 참여의 장으로서 미학의 중요성을 주장해 왔다.[13]
일상생활의 아름다움, 환경미학 및 예술화
Yi-Fu Tuan은 다양한 비예술적 대상과 위치를 통해 일상생활을 가치있게 평가하는 데 있어서 아름다움, 사색, 무관심, 거리감 등의 전통적인 미학적 범주를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14] 이미 1974년에 그는 미적 감상의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적절한 주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15]이 노선을 따라 크리스핀 새트웰도 1995년 미학을 삶 자체에 적용하자고 제안했다.[16]일본 미학을 전문으로 하는 환경주의 미학자인 사이토 유리코는 미적 감상에 걸맞은 날씨로 관심을 기울이고, 환경의 조화와 상충하는 일상적인 공예품, 풍경, 잔디밭, 동네 눈엣가시[17] 등에 대해 도덕적, 미적 판단을 내릴 것을 주장한다.[18]사이토는 일상 생활의 자기 비판적 예술화를 옹호하고 예술 사업의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3] 파울리나 라우티오는 비예술적인 아이템을 통한 아름다움의 경험과 햇빛 아래 옷을 말릴 기회가 드문 라플랜드에 빨래 널기 등 문맥과 관련하여 인터뷰와 서간교류를 통해 정성적 분석을 수행해 왔다.[19]미학을 전통적 범주에 따른 예술과 미의 이론으로 이해함과 동시에 비예술을 예술화하여 그 범위를 일상적 사물, 환경, 그리고 그 자체로 확장시켜 종래의 예술 경계선을 넘어서려고 시도하는 이 접근방식에 공통의 관심이 있다.허구적인 인물들이 일상 속에서 미학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지적함으로써 일상 미학의 범위에서 문학을 해석하려는 호라시오 페레스-헤나오의 경우가 그렇다.[20]
예술로서의 스포츠와 음식
르네상스 시대 이후 모든 예술 작품들은 예술적 표현과 개념의 예술적 가치를 지닌 주제를 새로운 주제, 회화와 조각, 새로운 조화, 음악에서의 조화나 불협화음, 새로운 태도, 몸짓, 그리고 다른 장르의 요구와 질적 요건을 포함하도록 확장하려고 노력해왔다.그러나 일상 미학과 관련된 이론적 틀 안에서 말 그대로 비예술적 활동에 예술 개념을 적용하는 시책은 스포츠를 예술의 형태로 간주하자는 데이비드 베스트, 볼프강 웰치, 레브 크레프트 같은 철학자들로부터 나왔다.[21][22][23]페미니스트 미학자들 역시 일상생활에서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취향(Carolyn Korsmeyer)과 후각(Emily Brady)에서처럼 두 가지 전통적인 시각과 청각을 넘어 다른 감각들을 포함시키는 것을 옹호하고 있다.[24]캐롤린 코르스마이어, M. 퀴넷, 글렌 쿠엔은 미적으로 관련된 물건과 경험에 음식을 포함시킬 것을 주장한다.[25][26]
미학으로서의 일반의 범주
또 다른 라인 분석적 미학과 미국 영상 미학에서 나타나고 있는 요즘 미학의 범주 레퍼토리의 확장 다른 자질( 귀여움, 귀여움, 불결함, 깔끔함, cuddliness, 어여쁨, 계획을 대설로)[27][28]뿐만 아니라 평범한 경험 다른 종류의(스크래치 및 포함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받을 수 있는 나는연필을 가지고 노는 것.[29]
참고 및 참조
- ^ Aesthetica scripsit Alexand.Gottlieb Bavmgarten. impens. I.C. Kleyb. 1750.
- ^ 듀이, 존 아트 as Experience (뉴욕: Perigee,1934년)
- ^ 듀이의 실용주의를 업데이트하면서, 리차드 슈스터만은 미적 경험을 검증하고 그가 일상 생활과도 관련이 있는 미학이라고 정의한 것에서 신체의 역할을 강조한다.C.F. 슈스터맨, 리처드 바디 의식: 마음가짐과 소마이에스테틱스의 철학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8)1992년 슈스터맨도 참조하라.실용주의 미학: 살아있는 아름다움, 다시 생각하는 예술케임브리지:블랙웰
- ^ 만도키 카티야, 프로사이카; 에스테티카 데 로코티디아노(México: Grijalbe a la estética de lo cotidiano (México: Grijalbo, 1994)
- ^ 시인학(아리스토틀)
- ^ 만도키 카티야, 매일의 미학; 프로사이언스, 사회적 정체성과 문화의 놀이(알데르샷:Ashgate, 2007), Estética cotidiana y juegos de la cultura: Prosaica I (México: Siglo XXI editores, 2006, Prácticas estéticas e identidades sociales: Prosaica II (México: Siglo XXI editores, 2006), La construcción estética del Estado y de la identidad nacional: Prosaica III (México: Siglo XXI editores, 2007), Estética y comunicación; de acción, paSion y seduccion (Bogota: Norma, 2007), "Quotidian 미학" 미학과 예술의 철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 안날레스 데 에스떼티크제42권/2003-2004.아테네: 파나요티스와 에피 미켈리스 재단.103-110 페이지ISSN 1105-0462"L'esthétique du quotidien" Diogenne 2011/1-2(n° 233-234).[1]
- ^ Kupfer Joseph H, 예술로서의 경험: 일상의 미학(Albany: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3년)
- ^ 파시즘의 카티야 만도키 "테러와 미학: 나치의 대량 조직 전략"정치학에서의 비판적 개념, vol.III, 파시즘과 문화, 제7부: 문화의 부정 또는 혁명으로서의 파시즘, 에드.Roger Griffin(뉴욕: Routrege, 2003), 페이지 21-38.return to text.
- ^ Katya Mandoki, La Construchion estica del estado y de la identidad nacional. (멕시코: Siglo veintiuno 편집자, 2007)
- ^ 베를란트, 아놀드 감성과 센스; 인간세계의 심미적 변혁 (Inmint Academy 2010)
- ^ 아놀드, 1991년 베를랑트예술과 참여.필라델피아:템플 대학 출판부.
- ^ 아놀드 베를란트 환경의 미학 (Philadelphia:템플 대학 출판부, 1992.페이퍼백 에디션, 1994).그리스 트랜스, (아텐스:미켈리스 연구소, 2004).중국 트랜스. (후난출판사, 2006).ISBN 978-1-56639-084-2.중국 트랜스, (베이징:The Commercial Press, 2011).), 아놀드 베를란트 미학과 환경, 예술과 문화에 대한 주제와 변화(Addershot:Ashgate, 2005).아놀드 베를란트, 풍경 속에 살고 있다: 환경의 미학을 향하여(로렌스: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7).
- ^ 미적 분야: 미적 경험의 현상학(Springfield, Ill).C. C. Thomas 1970).제2판 (Cybereditions 2001).ISBN 978-1-877275-25-8, 아놀드 베를란트 예술 및 참여(필라델피아:템플 대학 출판부, 1991.페이퍼백 에디션, 1991년)
- ^ Tuan Yi-Fu Passing 낯설고 멋진; 미학, 자연, 문화 (뉴욕, 도쿄, 런던: 코단샤 1995)
- ^ 투안, 이-푸.토포필리아; 환경지각, 태도, 가치관에 관한 연구프렌티스 홀 1974년)
- ^ 새트웰, 크리스핀 삶의 기술: 세계 영적 전통의 평범한 미학. (알바니:1995년 뉴욕 주립대 언론학)
- ^ 눈엣가시
- ^ 사이토오, 유리코.2008. 일상의 미학.뉴욕: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 라우티오, 파울리나, 라우티오, P. (2010)특별한 삶의 맥락 속의 아름다움Journal of Emericity Education, Vol 44, No4, Rautio, P. (2009)세탁물을 매달고 있다.일상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아름다움이 있는 장소.현대 미학, 제7권 9호.
- ^ 페레즈-헤나오, 호라시오"Estética cotidiana y ficcion: la nova pequod de Vitter Ramil."AnclaJES XX. 1 (enero-abril 2016): 20-34.DOI: https://dx.doi.org/10.19137/anclajes-2016-2012
- ^ 최고야, 데이비드1988. "스포츠의 미학", 스포츠의 철학 탐구, 에드.윌리엄 J. 모건과 클라우스 5세마이어, 샴페인:휴먼 키네틱스 출판사
- ^ Welsch, Wolfgang "Sport-Viewed, Andrew & Smith, Jonathan M. (eds)에서 "Sport-Viewed, and Even as Art?"일상의 미학 (뉴욕: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 ^ 크레프트, 레프 "아름다운 경기의 미학" 축구 & 소사이어티 2012: 1-23
- ^ 브래디, 에밀리 "스니핑 앤 사보링:"향기와 맛의 미학"은 빛의 앤드류 & 스미스, 조나단 M. (에드)이다.일상의 미학 (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2005);코르스마이어, 캐럴린 미각: 푸드 앤 철학 (뉴욕: 코넬 대학 출판부 1999).
- ^ 1981년 M.L. 키넷.“Food as Art:기능의 문제".영국 미학 저널 21, 1: 159-171
- ^ Kuehn, Glenn의 "How Can Food Be Art?", Andrew & Smith, Jonathan M. (eds)일상의 미학 (뉴욕: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 '^ 레디, 토마스. 1995. '매일 표면 미적 특성: "니트", "메시", "클린", "더티"[논문초록] 미학과 미술평론지, 53, 259-68
- ^ 레디, 토마스 참조평범하지 않은 사람: 일상의 미학 (Broadview Press 2012)
- ^ Irvin, Sherri "Scratching a Scratching a Scratching, Journal of Miciacy and Art Reprovals, 66, 1 (2008), 25-35.
추가 읽기
- 부르디우, 피에르 구분: 맛의 판단에 대한 사회적 비판 (런던: Routrege Kegan Paul 1984).
- De Certeau, Michelle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버클리:1998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 디키, 조지 "미적 태도의 신화" 필립 알피터 (ed)시각 예술의 철학(뉴욕/옥스포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2).
- 더프렌느, 미켈 인 더 센시컬 로버츠, 마크 S 갤러거, 데니스.(eds). (뉴저지 주:인문학 출판사 국제 1987).
- Goffman, Erving Interaction Primeds (뉴욕: Doubleay 1967).
- 콜나이, 오렐 온 혐오의 코르스마이어, 캐롤린, 배리 스미스(eds).(Open Court Press, 2004).
- 나우카리넨, 피할 수 없는 오시의 미학; 인간 외모의 미적 변화.(라티:1998년 국제 응용 미학 연구소).
- Parret, Herman Le sublime du quotidien (파리: 하데스 1988)
- Vercelloni, Luca The Individ of Taste. 베르첼로니, 루카, 미각 패션, 음식, 예술에 대한 욕망, 즐거움, 혐오에 대한 문화적 설명(런던:블룸스베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