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thing to Everyone

Everything to Everyone
Everything to Everyone
Barenaked Ladies - Everything to Everyone.jpg
스튜디오 앨범 기준
방출된2003년 10월 21일
녹음된2003년 4월 3일 – 5월 25일
장르.얼터너티브 록
길이50:40
라벨리플라이즈
프로듀서론 아니엘로
바레네이크 레이디스 연대기
Everything Acoustic
(2003)
Everything to Everyone
(2003)
휴일을 맞아 바레니케드
(2004)
Everything에서 Everyone으로 싱글
  1. "다른 엽서"
    릴리스됨:2003년 9월 3일
  2. "1,2,3 테스트"
    릴리스됨:2004년 2월
  3. "너를 위해"
    출시: 2004
  4. "연예인(영국만)"
    릴리스됨:2004년 7월 13일
  5. "아마 케이티(캐나다만)"
프로페셔널 등급
총점수
출처순위
메타크리트어56/100[1]
점수 검토
출처순위
올뮤직[2]
믹서기[3]
소리의 결과[4]
대중음악 백과사전[5]
엔터테인먼트 위클리B[6]
지금[7]
팝매터스[8]
Q[9]
구르는 돌[10]
롤링스톤 앨범 안내서[11]

Everything to Everyone(일반적으로 E2E라고 줄여 부르는 Everything)은 바레네이크 레이디스의 여섯 번째 정규 스튜디오 앨범이다.2003년에 발매되었으며 론 아니엘로가 제작하였다.앨범에 수록된 싱글에는 "Another Postcard", "Testing 1, 2, 3", "For You", "Celebarity", "Maybe Katie" 등이 있다.이 앨범의 내용은 이전 앨범에 비해 정치 논평을 늘린 것으로 유명하다.이것은 Reprise Records (또는 그 문제에 대한 모든 주요 라벨)와 함께 그들의 마지막 앨범이었다. 그리고 더 독립적인 레이블인 Crefusion Records와 그 후에 Raidin' Records로 전환하기 전이었다.

크리에이티브 프로세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쉬지 않고 녹음과 투어를 한 후, 이 5인조는 2002년과 2003년의 대부분을 잠시 쉬기로 결정했다.이 밴드는 창단 후 처음으로 장기 공백기를 가졌다.BNL은 녹음실로 돌아와 Everything to Everyone이 될 것을 녹음하기 시작하자, 밴드 멤버들 안에서만 글쓰기를 유지하는 새로운 정책을 채택했다.이로 인해 짐 크리그건과 케빈 허언의 기여도가 높아졌고, 밴드는 결국 평소보다 더 많은 곡을 녹음하게 되었다(그 결과 14곡의 앨범과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이 앨범은 로스앤젤레스에서 녹음되었고, 이 밴드가 온라인 블로그의 창간 이후 기록한 첫 번째 앨범이다.이를 통해 밴드는 녹음 중 지속적으로 팬들과 소통할 수 있었고, 창작 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을 얻게 되었다.

이 밴드는 음반이 끝날 무렵 이 시설의 B-studio에 가서 이 앨범의 노래들을 음향 기구에 녹음했다.이것은 빠르게 설정되었고, 드러머 타일러 스튜어트는 다양한 특이한 물건에서 조립된 드럼 키트를 사용하게 되었다.밴드는 "쇼핑", "미완성", "마약과의 전쟁"과 보너스 트랙 "예스! 예스!!"를 제외한 11곡을 발표했다.네!!!"이 어쿠스틱 세션은 성공적이었고, 비슷한 공연이 다음 앨범인 Barenaked Ladies Are Me(약칭 BLAM)에서도 진행될 것이다.

이 앨범의 표지는 캐나다인 크리스 우즈가 그렸고, 투항하는 하얀 깃발을 보여주는 프로파일 밴드를 묘사하고 있다.제목 텍스트가 깃발 위에 표시되었지만, 흰 깃발의 의미를 보존하기 위해 앨범 제목은 표지 자체에 인쇄되지 않았다.대신 투명한 포장 위에 스티커로 붙여졌고, 깃발의 윤곽에 맞춰 물결이 아닌 '플랫(flat)'이었다.특수본의 경우 제목이 투명한 플라스틱 소매 위에 있었고, 깃발의 파도와 일치했다.캔버스에 그려진 60" x 60"의 기름인 원본 그림은 페이지의 농가 스튜디오인 프레쉬 베이킹 우즈에 걸려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녹음되었지만 앨범에 포함되지 않은 트랙:

  • "Statue of Los Angeles"(미공개) – Hearn 노래; 앨범 The Miracle Mile에 발표
  • "Sign Me Up"(공짜적으로 우리가 6분 동안 욕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Sign Me Up"(공짜 공개되지 않음)
  • "Adrift"(BLAM용으로 다시 녹음, Stop Us If You's This One Before 앨범에 발매)
  • "정말 실망이야" (BLAM용으로 재녹음)
  • "I Can, I Will, I Do"(이전 디스크 원에서는 녹음, BLAM에서는 재녹음; 아이튠즈 오리진als - Barenaked Ladies)에 출연한다.나중에 Stop Us If This One)에서 출시됨.
  • "그래!그래!!네!!!(특집판 DVD에 보너스 트랙, 영국 싱글에 "Celevality"에 b-side.나중에 Stop Us If This One)에서 출시됨.

그들의 초기 앨범과 마찬가지로, 밴드는 완전히 벌거벗은 채 "Sign Me Up"이라는 한 곡을 녹음했다.Everything to Everybody는 이 밴드의 마지막 앨범으로, 나체로 녹음된 음반이다.

해제

이 앨범은 세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 표준 14 트랙 앨범
  • 스티커로 표시된 한정판, 어쿠스틱 세션의 3개의 보너스 트랙이 수록되어 있음
  • 표준 CD와 Everything Etherns(보너스 트랙 "Yes! Yes!!)를 포함한 앨범의 DVD-오디오 포함)가 포함된 3중 디지팩의 특별판.네!!!", 그리고 어쿠스틱 쇼의 비디오와 스테레오 오디오 형태, 그리고 녹음 스튜디오의 비디오 클립 몇 개)

이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은 "Another Postcard"로 많은 팬들이 레코드 회사가 스턴트의 히트 싱글 "One Week"와 비슷한 스타일과 랩 기반의 보컬을 가진 마룬의 "Pinch Me"의 성공을 반복하려는 시도로 인식했다.밴드가 홍보를 위해 다수의 미국 주요 토크쇼에 출연했지만, 싱글은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밴드는 Peepshow tour라는 미국 투어로 앨범 발매를 지원했는데, 이는 밴드의 일반적인 홍보 투어가 아니었으며, 앨범 발매를 캐주얼한 팬들에게 홍보하기보다는 밴드의 가장 큰 팬들에게 어느 정도 맞춘 것으로 보였다.Everything to Everyone은 캐나다와 미국 톱10에 데뷔했지만, 꽤 빠르게 순위가 떨어졌다.당시 이 밴드의 두 번째 앨범은 1994년의 Maybe You Would Drive와 함께 적어도 미국에서 Gold 인증을 받지 못한 유일한 앨범이었다.

이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인 "Testing 1,2,3"은 보다 전통적인 아레나 투어와 일치하는 자체 뮤직비디오로 2004년 초에 발매되었다.다른 싱글인 "아마도 케이티"가 캐나다에서 라디오로 발매되었다.그러나 이 앨범은 판매량이 크게 회복되지는 않았다.

세 번째 싱글인 "For You"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앨범 버전과 라이브 버전이 수록된 싱글로 발매되었지만 비디오는 받지 못했다.그 노래는 거의 방송되지 않았다.영국에서는 '연예인'이 라디오 겸 상업 싱글로 발매되었다.

DualDisc

보스턴과 시애틀에서 시판된 15개의 듀얼디스크 출시 제품군에 모두 포함되었다.한쪽에는 표준 CD 앨범이, 다른 한쪽에는 보너스 DVD 자료가 들어 있다.DualDisc 버전은 재발행되지 않았다.

트랙리스트

모든 트랙은 Steven Page와 Ed Robertson에 의해 쓰여진다. 단, 언급된 곳을 제외한다.

No.제목작성자리드 보컬길이
1."연예인"
스티븐 페이지3:27
2."아마 케이티"
스티븐 페이지, 에드 로버트슨2:58
3."다른 엽서" 3:25
4."다음 시간"
  • 스티븐 페이지
  • 에드 로버트슨
  • 짐 크리건
  • 케빈 허언
스티븐 페이지3:51
5."너를 위해" 에드 로버트슨3:27
6."쇼핑"
  • 스티븐 페이지
  • 에드 로버트슨
  • 케빈 허언
스티븐 페이지3:34
7."1,2,3 테스트" 에드 로버트슨3:32
8."업사이드 다운" 스티븐 페이지3:15
9."마약과의 전쟁" 스티븐 페이지5:32
10."알루미눔" 에드 로버트슨4:34
11."미완료"
  • 스티븐 페이지
  • 에드 로버트슨
  • 케빈 허언
스티븐 페이지, 에드 로버트슨3:00
12."세컨드 베스트"
  • 스티븐 페이지
  • 에드 로버트슨
  • 케빈 허언
스티븐 페이지3:21
13."Take it Outside" 에드 로버트슨3:49
14."내 사랑 봤니?" 스티븐 페이지2:55
Limited Edition 보너스 트랙
No.제목작성자리드 보컬길이
15."다른 엽서(음향)" 스티븐 페이지, 에드 로버트슨3:35
16."아마 케이티(음향)일 거야."
  • 스티븐 페이지
  • 에드 로버트슨
  • 짐 크리건
스티븐 페이지, 에드 로버트슨3:09
17."세컨드 베스트(음향)"
  • 스티븐 페이지
  • 에드 로버트슨
  • 케빈 허언
스티븐 페이지3:21

인원

참조

  1. ^ "Everything To Everyone by Barenaked Ladies". Retrieved October 3, 2016.
  2. ^ 윌슨, 맥켄지.올뮤직모든 것을.2011-09-02년 검색됨
  3. ^ "Barenaked Ladies: Everything to Everyone". Blender: 108. November 2003.
  4. ^ Tully2K. "Wait, You've Never Heard: Barenaked Ladies' Everything to Everyone". Consequence of Sound. Retrieved September 2, 2011.
  5. ^ Larkin, Colin (2011).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5th concise ed.). Omnibus Press. ISBN 0-85712-595-8.
  6. ^ Weingarten, Marc (October 24, 2003). "Everything to Everyone Review".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April 2, 2012.
  7. ^ Galloway, Matt (October 23, 2003). "Barenaked Ladies: Everything to Everyone". NOW. Retrieved November 17, 2017.
  8. ^ Schabe, Patrick (November 13, 2003). "Barenaked Ladies: Everything to Everyone". Popmatters. Retrieved November 17, 2017.
  9. ^ "Barenaked Ladies: Everything to Everyone". Q: 98. May 2004.
  10. ^ Hoard, Christian (November 4, 2003). "Barenaked Ladies: Everything To Everyone : Music Reviews". Rolling Sto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 2007. Retrieved April 2, 2012.
  11. ^ Wolk, Douglas (2004). "Barenaked Ladies".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th ed.). New York: Simon & Schuster. pp. 44–45. ISBN 0-7432-0169-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