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와 파추카

Ewa Pachucka
에와 파추카
Ewa Jaroszyńska Pachucka.jpg
에와 파추카, 2016년
태어난
에와 테레사 야로신스카

(1936-02-17) 1936년 2월 17일
폴란드 루블린
죽은2020년 7월 28일(2020-07-28)(84)
국적.폴란드의
직종.조각가
로 알려져 있다크로셰 미술
주목할 만한 일풍경과 본체, 77
부모스타니스와프 야로진스키와 리디아 마리노프스카

에와 파추카(Ewa Pachuka, 1936년 2월 17일 ~ 2020년 7월 28일)는 폴란드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조각가이다.

전기

파추카는 1936년 2월 17일 폴란드 루블린에서 태어났다.1952년부터 1954년까지 바르샤바에서 조형예술의 리세움, 1954년부터 1957년까지 루블린에 있는 조형예술의 리세움에서 시각예술을 공부했으며 1957년부터 1958년까지 [1]폴란드 섬유산업의 유적지로 알려진 우도 미술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

미술학도 시절 파추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2]폴란드에서 지배적이었던 폴란드 전통 예술인 사회주의 리얼리즘(Socrealizm)에 맞서 추상화 운동에 영감을 받았다.

파추카는 폴란드의 유명한 실험 섬유 예술가이자 직물 제작자인 Jolanta Owidzka의 영향을 받아 회화와 판화에서 조각과 직물 작품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파추카는 현지 어민가게에서 조달한 삼베와 황마줄로 만든 끈으로 입체적인 작품을 만들어 내는 대규모 코바늘 실험을 시작했다.

파추카는 1969년 로마크 파추키와 결혼해 덴마크, 1970년 호주로 이주한 뒤 1976년 [3]호바트로 이사했다.

파추카의 호주 진출은 1970년대 섬유예술 운동의 부활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마, 코이르, 사이잘 등의 천연섬유로 만든 그녀의 커다란 조각직물은 호주, 유럽,[4] 미국에서 파추카의 큰 인정을 받았다.

파추카의 호주에서의 첫 번째 전시회는 1972년 시드니의 루디 코몬 갤러리에서 열렸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거의 모든 코바늘 인형 컬렉션을 [5]전시했다.

파추카는 자신의 방법으로 "나는 코바늘 갈고리로 힘들게 형틀을 만든다...'인스턴트'가 '촉진'되는 이 세상에서 예술도 예외는 아니지만, 나는 기술적으로 도움을 받지 않은 이 기능에서 만족을 느낀다."[6]

파추카는 1973년 뉴사우스웨일스 [8]아트갤러리에서 열린 전시회 "Recent Australian Art"에 대표되는 여성 화가였으며[7],[9] 그녀[9] 작품은 호주 국립갤러리가 구입하여 2009년 전시회 "Soft Sculpture"[10]에 전시되었다.

파추카의 주요 작품 중 하나는 아르카디아: 풍경과 몸체(1972~1977)[11]라는 제목의 다부작으로 1977년 11월 시드니 루디 코몬 갤러리에 처음 전시된 뒤 1978년 [11]뉴사우스웨일스 아트 갤러리에 인수 전시됐다.호주 미술평론가 엘윈 [12]린은 이 작품을 "놀라운 투르 드 포스"라고 표현했다.2018년, Arcadia: Landscape and Bodies(1972–1977)는 [13]뉴사우스웨일스 아트갤러리에서 열린 타이틀 전시회 Ewa Pachucka "Arcadia: Landscape and Bodies"에 다시 전시되었다.

2010년 크라쿠프에서 열린 제3회 국제예술제에 출품된 파추카는 "장기적인 창작성과 현대 특유의 직물에서의 포괄적인 활동, 예술에서 새로운 현상과 가치를 창조하는 데 타협하지 않는 대담성을 인정받아 그녀의 태도와 재능이 자극한 작가"로 상을 받았다.젊은 세대의 예술가들 사이에서 발명되었습니다.[4]

파추카는 2000년 유럽으로 돌아와 2020년 7월 28일 카스트레스에서 사망했다.

파추카는 2020-2021년 [14]호주 국립 미술관에서 열린 Know My Name 전시회에 출품되었다.

공공미술위원회

파추카는 호바트에 있는 호주 기록 보관소 건물을 위한 대형 조각품인 로만 월을 포함하여 1980년대에 호주에서 공공 예술 위원회 두 개를 완성했습니다. 이 작품은 현재 호바트의 [15]태즈메이니아 대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988년 파추카는 호주 캔버라 [16]국회의사당 안뜰에 설치된 대형 사암 설치물인 태양력 또는 화석화된 건축 풍경'을 제작하도록 의뢰받았다.

전람

컬렉션

멜버른, 빅토리아, 호주 - "컨버세이션" 1974.

  • 태즈메이니아 박물관 및 아트 갤러리 - 호바트, 태즈메이니아,호주 - "하이브리드를 가진 여자", 1980, 1973년 페인트 "컨버세이션"에 각인.

출판물

  • Craft Horizon 68, Fred Swartz, 미국
  • 스웨덴 군나르 헬만, Storstaden 21/70입니다
  • 런던, M.G. 아트 앤 아티스트 70
  • 프로예트 70, 폴란드 브로블레프스카에서
  • 디자인 71, 마틴 하딩엄, 런던
  • 20세기 태즈메이니아 예술가: 화가, 조각가, 판화업자 및 사진작가 1900-1985 / Sue Backhouse.
  • 내 이름을 알고 싶다.캔버라, ACT: 호주 국립미술관,[1] 2020.

레퍼런스

  1. ^ a b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2020). Know My Name. Canberrra, ACT. ISBN 978-0-642-33487-9. OCLC 1143495525.
  2. ^ "Ewa Pachucka :: The Collection :: Art Gallery NSW". www.artgallery.nsw.gov.au. Retrieved 6 March 2021.
  3. ^ a b c d e Taylor, P, Brassington, P, Oteri, G, Pachucki, R, 슐제, U, 워커, 1980, 최근 태즈메이니아 조각과 입체 미술, 1980년 9월 30일부터 10월 18일까지, 태즈메이니아 대학 미술관과 미술관, http://www.utas.edu.au/tasmanian-school-of-art
  4. ^ a b c d e "'Landscape' crocheted wall-hanging made by Ewa Pachucka". collection.maas.museum. Retrieved 6 March 2021.
  5. ^ Blackwell, Diane (1 November 1972). "She Crochets for Art's Sake. Painter turns to "Soft Sculptures."". The Australian Women's Weekly. Retrieved 9 March 2021.{{cite news}}: CS1 maint :url-status (링크)
  6. ^ Bottrell, Fay (1974). The Artist Craftsman of Australia. North Sydney: Jack Pollard Pty Ltd. ISBN 978-0-909950-64-4.
  7. ^ Mendelssohn, Joanna. "Why weren't there any great women artists? In gratitude to Linda Nochlin". The Conversation. Retrieved 6 March 2021.
  8. ^ "Works shown in the exhibition "Recent Australian Art (1973)" :: The Collection :: Art Gallery NSW". www.artgallery.nsw.gov.au. Retrieved 6 March 2021.
  9. ^ a b Pachucka, Ewa. "Landscape and bodies". Item held by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Retrieved 6 March 2021.
  10. ^ a b "SOFTSCULPTURE". nga.gov.au. Retrieved 6 March 2021.
  11. ^ a b "Arcadia: landscape and bodies, 1972–1977 by Ewa Pachucka". www.artgallery.nsw.gov.au. Retrieved 6 March 2021.
  12. ^ Elwyn Lynn, '크로체드 여성', Qaudrant, 60–63, 시드니, 1978년 1월, 60, 61(일러스), 63. 참고: 재생된 작품의 배열은 뉴사우스웨일스 컬렉션의 아트 갤러리의 최종 버전과 다릅니다.
  13. ^ "Ewa Pachucka".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Retrieved 7 March 2021.
  14. ^ "Art". www.utas.edu.au. Retrieved 6 March 2021.
  15. ^ "ParlInfo – Heritage Management Framework". parlinfo.aph.gov.au. Retrieved 6 March 2021.
  16. ^ McCulloch, Alan; McCulloch, Susan; McCulloch Childs, Emily (2006). The New McCulloch's Encyclopedia of Australian Art. Fitzroy, VIC, Australia.: Aus Arts Ed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iegunyah Press. p. 752. ISBN 978-0-522-85317-9.
  17. ^ "Wall Hangings MoMA". The Museum of Modern Art. Retrieved 6 March 2021.
  18. ^ "Vol. 095 No. 4875 (13 Oct 1973)". Trove. Retrieved 9 March 2021.
  19. ^ The Bulletin (17 November 1973). "ART Melbourne's artistic festivity". The bulletin. Retrieved 9 March 2021.{{cite news}}: CS1 maint :url-status (링크)
  20. ^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조사 5; 에와 파추카, 1978, 로버트 린제이 지음.
  21. ^ Germaine, Max (1991). A Dictionary of Women Artists of Australia. Roseville East NSW, Australia: Craftsman House. p. 349. ISBN 9768097132.
  22. ^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Ewa Pachucka".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Retrieved 9 March 2021.{{cite web}}: CS1 maint :url-status (링크)
  23. ^ a b c d e Marek, D. "Recent Tasmanian sculpture and three-dimensional art" (PDF). CORE. Retrieved 29 November 2021.
  24. ^ "Ewa Pachucka". Design and Art Australia Online. Retrieved 29 November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