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벨라시카
FK Belasica![]() | |||
풀네임 | 푸드발스키클럽 벨라시카 스트루미카 | ||
---|---|---|---|
닉네임 | ееуур (캥거루) | ||
설립됨 | 1922년 4월 22일 | 전||
그라운드 | 블라고이스타토프 스타디움 | ||
역량 | 9,200 | ||
회장 | 슬라브초 바스코프핀다 | ||
관리자 | 조르 요바노프스키 | ||
리그 | 마케도니아 2부 리그(동부) | ||
2020–21 | 마케도니아 1부 리그, 12일(공개) | ||
|
FK 벨라시카(Macedonian: иккаааа)는 북마케도니아 스트루미카 시에 근거지를 둔 축구 클럽이다.이들은 현재 마케도니아 2부 리그(동부 디비전)에서 경합을 벌이고 있다.
역사
이 클럽은 1922년 4월 22일 타쇼 토도로프 카페에서 창립되었는데, 축구 클럽 벨라시카 스트루미카 창립총회에 50명의 이니시에이터가 모였다.문서에 따르면, 첫 회의는 1922년 8월 13일 조르지 모스코프가 선출한 대통령, 토미 쿠쥔지예프(Tomi Kujundziev), 로스토 페로프(Rosto Perov)가 간사로 선출한 가운데 열렸다.클럽 역사상 첫 경기는 벨라시카가 1-0으로 패한 스코프제의 포베다와의 경기였다.
그들의 인기 있는 별명은 캥거루고 그들의 전성기는 마케도니아 챔피언쉽에서 두 번 우승한 80년대였다.대부분의 경우, 그 팀은 연방 2부 리그에서 경기를 했다. 주로 6개 연방 공화국 출신의 팀들.마케도니아의 모든 사람들은 블라고이스타토프나 바실 링고프 같은 오래된 전설들을 기억한다.벨라시카는 게라스 쿠네프가 수년간 메인 스폰서를 맡아 벨라시카 GC(Geras Cunev)로도 알려졌다.마케도니아 최고의 리그에서, 이 클럽은 그들이 마케도니아 퍼스트 리그에서 두 번 준우승했던 2000년대 초반에 가장 최근의 성공을 거두었다.2018년에 그들은 퍼스트 리그로 돌아왔고 벨라시카는 마케도니아 축구에서 수많은 축구 재능의 원천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벨라시카 유소년 학교에서 온 선수들이 많았다.그 중에는 고란 판데프, 아코 스토이코프, 드라간 스토이코프, 이고르 주젤로프, 로버트 포포프, 고란 포포프, 조란 발도발리예프, 단초 마세프, 고란 마즈노프가 있다.
2015년 마케도니아 킥복서 슬라브초 바스코프-핀다가 구단 매입을 했다.[1]
벨라시카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선수는 현 마케도니아 출신이자 제노바 선수인 고란 판데프다.[2]
클럽 타이틀
벨라시카의 경기장
믈라도스트 스타디움(Mladost Stadium)은 마케도니아 공화국 스트루미카의 다목적 경기장이다.현재 축구 경기에 주로 사용되며 경기장의 수용력은 6,500명이다.2017년 마지막 재건축으로 9,200석 규모의 경기장으로 UEFA 기준에 따른 3등급 경기장이다.상위권 대회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두 번째 경기장이 된다.
최근 계절
계절 | 리그 | 컵 | 유럽 대회 | |||||||||
---|---|---|---|---|---|---|---|---|---|---|---|---|
나누기 | P | W | D | L | F | A | PTS | 포스. | ||||
1992–93 | 1. MFL | 34 | 12 | 10 | 12 | 41 | 44 | 34 | 9일 | |||
1993–94 | 1. MFL | 30 | 7 | 12 | 11 | 35 | 48 | 26 | 12일 | R1 | ||
1994–95 | 1. MFL | 30 | 11 | 4 | 15 | 48 | 62 | 37 | 10일 | |||
1995–96 | 1. MFL | 28 | 9 | 6 | 13 | 34 | 38 | 33 | 9일 | |||
1996–97 | 1. MFL | 26 | 9 | 6 | 11 | 32 | 41 | 33 | 10일 | GS | ||
1997–98 | 1. MFL | 25 | 8 | 4 | 13 | 25 | 35 | 41 | 13일 오후 | QF | ||
1998–99 | 2. MFL 동부 | 29 | 19 | 2 | 8 | 58 | 30 | 59 | 두 번째 | |||
1999–00 | 2. MFL 동부 | 30 | 27 | 0 | 3 | 116 | 19 | 72 | 1월 1일 | R1 | ||
2000–01 | 1. MFL | 26 | 17 | 4 | 5 | 56 | 22 | 55 | 4일 | QF | ||
2001–02 | 1. MFL | 20 | 11 | 3 | 6 | 29 | 22 | 36 | 두 번째 | R2 | ||
2002–03 | 1. MFL | 33 | 20 | 9 | 4 | 50 | 32 | 69 | 두 번째 | SF | UEFA컵 | QR |
2003–04 | 1. MFL | 33 | 10 | 6 | 17 | 37 | 55 | 36 | 10일 | R2 | UEFA컵 | QR |
2004–05 | 1. MFL | 33 | 14 | 6 | 13 | 53 | 47 | 48 | 8일 | R1 | ||
2005–06 | 1. MFL | 33 | 2 | 2 | 29 | 22 | 84 | 8 | ↓12길 | R2 | ||
2006–07 | 2. MFL | 33 | 11 | 7 | 15 | 36 | 59 | 40 | 9일 | R1 | ||
2007–08 | 2. MFL | 32 | 16 | 7 | 9 | 49 | 37 | 55 | 4일 | |||
2008–09 | 2. MFL | 29 | 10 | 8 | 11 | 34 | 33 | 38 | 8일 | R2 | ||
2009–10 | 2. MFL | 26 | 10 | 3 | 13 | 28 | 39 | 33 | 8일 | R2 | ||
2010–11 | 2. MFL | 26 | 13 | 4 | 9 | 39 | 26 | 43 | 5일 | R1 | ||
2011–12 | 2. MFL | 30 | 4 | 6 | 20 | 27 | 56 | 18 | 16일 오후 | |||
2012–13 | 3. MFL 동부 | 33 | 23 | 3 | 7 | 102 | 23 | 72 | 4일 | R1 | ||
2013–14 | 3. MFL 동부 | 26 | 23 | 1 | 2 | 82 | 16 | 70 | 첫 번째 | R1 | ||
2014–15 | 3. MFL 동부 | 22 | 18 | 3 | 1 | 66 | 11 | 57 | 첫 번째 | R1 | ||
2015–16 | 3. MFL 동부 | 22 | 12 | 2 | 8 | 49 | 27 | 38 | 3번째 | R1 | ||
2016–17 | 3. MFL 동부 | 27 | 24 | 1 | 2 | 126 | 14 | 73 | 1월 1일 | R1 | ||
2017–18 | 2. MFL 동부 | 25 | 18 | 5 | 2 | 81 | 11 | 59 | 1월 1일 | R1 | ||
2018–19 | 1. MFL | 36 | 9 | 11 | 16 | 37 | 49 | 38 | 9일 오후 | SF | ||
2019–20 | 2. MFL 동부 | COVID-19 전염병으로 인해 버려짐[3] | ↑ | 해당 없음 |
유럽의 벨라시카
계절 | 경쟁 | 둥글다 | 클럽 | 홈 | 멀리 | 골재 | |
---|---|---|---|---|---|---|---|
2002–03 | UEFA컵 | 예선전 | ![]() | 2–2 | 1–2 | 3–4 | ![]() |
2003–04 | UEFA컵 | 예선전 | ![]() | 2–7 | 0–5 | 2–12 | ![]() |
플레이어스
현 분대
2021년 9월 18일 현재.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
코치의 역사 목록
니콜라 일리에프스키 (1993년 - 1994년)
블라고제 이스타토프
드라기 카나트라로프스키 (1996년)
일리야 마티니카로프(1999년 - 2000년)
니콜라 일리에프스키(2000년)
트라체 게오르기예프(2001)
니콜라 세쿨로프(2001)
리스트 안체프(2001년 11월 16일 -)
일리야 마티니카로프
Pane Blazevski(2003년 4월 9일 -)
미로슬라프 야코블제비치(2004년 - 2005년 9월)
셰프키 아리포프스키(2005년 9월 30일 - 2005년 12월)
즈본코 토도로프(2005년 12월 15일 - 2006년)
주고슬라브 트렌코프스키(2007년 9월 15일 ~ 2009년 7월 15일)
밀코 유로프스키(2009년 7월 15일 - 2010년 1월 4일)
고르단 즈드라브코프(2010~2011년)
라데 치밀로빅지 (2016년 8월 1일 - 2018년 7월 30일)
마르잔 지브코비치(2018년 7월 31일 - 2018년 12월 3일)[5]
라데 치밀로빅지(2018년 12월 4일 - 2019년 3월 22일)
하디예프스키 조코(2019년 3월 23일 ~ 2019년 4월 15일)
알렉산다르 스토야노프(2019년 4월 18일 -)
참조
- ^ "Кикбоксер го купи струмичкиот ФК ,,Беласица,," (in Macedonian). Jugoinfo.mk. 17 February 2015. Retrieved 13 December 2015.
- ^ "Goran Pandev profile: 10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the Tottenham target – News". MirrorFootball.co.uk. 2009-05-19. Retrieved 2012-08-08.
- ^ "Вонредна седница на Управен одбор на Фудбалска федерација на Македонија: Прекин на натпреварувачката сезона 2019/2020". Фудбалска Федерација на Македонија. 4 June 2020.
- ^ Belasica to Blazevski - UEFA
- ^ 벨라시카는 세르비아 감독을 고용한다 - 마케도니아 축구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마케도니아어로)
- 마케도니아 풋볼의 클럽 정보 (영어)
- 마케도니아 축구 연맹 (마케도니아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