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디르 슈스

Fedir Shchus
페디르 슈스
Shus Fedor.JPG
태어난(1893-03-25)1893년 3월 25일
디브로프카, 예카테리노슬라프 주, 러시아 제국, 현재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 주, 벨리코미카일리프카
죽은1921년 6월 30일 (1921-06-30) (28세)
네드리하일리브, 우크라이나 SSR 폴타바
얼리전스 우크라이나 혁명 반란군 (1918–1921)
순위사령관 (사사사)
보유된 명령우크라이나 혁명 반란군
전투/와이어러시아 내전

페디르 슈스(우크라이나어: 1893년 3월 25일 ~ 1921년 6월 30일) 역시 표도르 슈스 또는 표도시 슈스네스토르 막노우크라이나 혁명 반란군 사령관(아타만)이었다.[1] 슈스는 막노비스트 운동과 내전 양면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반란의 상징이 되었다.

기원

슈스는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 주(현재의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 주 벨리코미카일리프카)의 작은 마을에서 가난한 우크라이나 가정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1915년 그는 군 복무를 위해 징집되었고 러시아 흑해함대의 전함인 이오안 즐라투스트해병으로 해군에 입대했다. 해군에서 많은 스포츠를 했고, 프랑스 복싱과 레슬링 챔피언이었고, 주짓수를 잘 알고 있어 큰 스트레스 없이 빠른 포획으로 어떤 상대도 이길 수 있었다.[2]

그는 해군 시절 무정부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함대가 무너지면서 그는 혁명 선원들의 분단 중 한 곳에 합류했다.

내전

1917년 그는 귀국하여 훌리아이폴의 무정부주의 단체인 흑위병의 가장 활동적인 일원이 되었다. 거기서 그는 자신의 당파 분열을 조직했다. 슈스는 사치스러운 스타일을 고수했다: 그의 말은 리본과 꽃 그리고 다리에 진주 목걸이로 장식되었다.[3] 그 자신도 수놓아진 후사르 제복을 입고, 선원모를 쓰고, 목에 백인의 단검을 두르고, 벨트 뒤에는 낡은 사브르와 콜트 리볼버가 있었다. 그는 맹렬한 공격에 착수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항상 정당한 습격은 아니었고, 그의 용기는 그의 열정에 의해서만 경쟁했다.[4]

1918년 6월부터 - 이 당파 분대의 지휘관으로서, 그는 독일인오스트리아인들에 대항하여 싸웠다. 패배를 맛본 후 우크라이나 혁명 반란군네스토르 막노에 입대하였다. 1919년 2월부터 5월까지 - 그는 제3차 자드니프로프스키 여단의 일원이었다. 1919년 7월부터 8월까지 - 여단 기병대장을 지냈고, 9월부터 12월까지 - 제1 도네츠크 군단 제1 기병여단장을 지냈다. 1920년 3월부터 1921년 4월까지 반란군의 주도군이었다. 1921년 5월부터 6월까지 - 그는 RIAU 제2그룹의 참모총장을 지냈다.

1921년 6월 붉은 코삭스 8 기병사단과의 전투로 네드리하일리프 근처에서 전사했다. 그는 기관총에 맞아 그 자리에서 죽거나 상처로 죽었다. 그는 무덤이 없는 들판에 묻혔기 때문에 홍군 대원들은 그것을 폄하할 수 없었다. 그러나 블랙 쪽에서 중요한 사망설이 퍼졌고, 레즈는 자신들이 막노를 죽였다고 생각했다. 슈스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그의 시체는 발굴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1. ^ Smele, Jonathan D. (November 19, 2015).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Civil Wars, 1916-1926.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p. 1024. ISBN 978-1-4422-5281-3.
  2. ^ 다이벳 S. S. 컴포지션 - 페이지 129-130
  3. ^ 소신스키 "러시아의 의지" 프라하, 1927년, 페이지 41
  4. ^ A. 니콜라예프. 동급생 중 첫 번째. - 58페이지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