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버 트리(밴드)
Fever Tree (band)피버 트리 | |
---|---|
기원 |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차고 록 |
년 활동 | 1966–1970, 1978 |
레이블 | 유니, 암펙스, 슈룸 레코드 |
과거 구성원 | 데니스 켈러 마이클 크누스트 롭 랜드스 E.E. "버드" 울프 존 터틀 |
피버 트리는 1960년대의 전 미국 사이키델릭 록 밴드로, 주로 1968년 히트곡인 "샌프란시스코 걸스(원제 복귀)"로 알려져 있다.
역사
이 그룹은 텍사스 주 휴스턴에서 시작되었고 1966년에 보스트윅 넝쿨이라고 불리는 포크 록 그룹으로 시작되었다.이들은 1년 뒤 키보드 연주자 롭 랜드스(Rob Landes)가 합류하면서 피버 트리로 이름을 바꿨다.
밴드는 1968년 6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자신들의 노래 '샌프란시스코 걸스(원제 복귀)'가 미국 91위에 오르자 잠시 대중들의 의식 속으로 들어갔다.[1]이 밴드의 대부분의 소재와 마찬가지로, 이 곡은 스콧과 비비안 홀츠만의 커플에 의해 쓰여졌는데, 이 커플 역시 그들의 프로듀서였다.[2]4분 길이의 이 트랙은 밴드의 모든 트레이드 마크들을 사로잡았다: 데니스 켈러의 발성적인 발성 같은 보컬, 거의 천진난만한 느낌의 느린 부분과 더 빠르고 락 위주의 부분들, 특히 마이클 크누스트의 날카로운 기타 작품들.
피버 트리도 1968년 빌보드 200차트에서 156위를 기록한 데뷔 앨범 피버 트리를 발매했다.[3]두 번째 앨범인 Another Time, Another Place는 1969년에 이어 세 번째 앨범 Creation으로 83위를 정점으로 1970년 빌보드 200 차트에서 97위를 기록했다.[4]'샌프란시스코 걸스' 이후, 그들이 프로듀서로 홀츠만을 떨어뜨렸을 때, 나중에 그들 스스로도 곡을 쓰려고 시도했지만, 그들은 결코 또 다른 히트를 치지 못했다.이 그룹은 1970년에 해체되었으나 1978년에 기타리스트 마이클 크누스트만 원래의 라인업에서 남아 개혁되었다.이 단체의 새로운 구성은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Fever Tree는 마이클 크누스트가 죽은 2003년까지 다시 듣지 못했다.
피버 트리의 첫 두 앨범(Fever Tree and Another Time, Another Place)은 2006년 10월 31일 싱글 CD로 재발매되었다.피버 트리의 3집과 4집 앨범(Creation and For Sale)도 싱글 CD로 구입할 수 있다.
스티브 크로퍼, 에디 플로이드, 윌슨 피켓의 "나인티 나인 앤 하프(Won't Do)" 녹음은 2004년 자기 타이틀로 데뷔한 매들린의 "America's Most Blurded"에서 1차 리퍼로 샘플링되었다.
밴드 멤버
- 데니스 켈러 - 보컬
- Michael Stephen Knust (1949년 3월 11일 - 2003년 9월 15일) - 기타
- Rob Landes - 신시사이저, 오르간, 피아노
- E.E. "Bud" Wolfe - 베이스 기타
- 존 터틀 - 드럼
- 돈 램튼 - 기타, 키보드
음반 목록
앨범
- 피버 트리(1968), 유니 레코드/MCA US 빌보드 #156[5]
- Another Time, Another Place (1968), Uni/MCA US 빌보드 #83 트랙: A1 그림 그리는 남자 - 파트 2 A2 지금이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몇 시라고 하셨습니까?A3 울지마 소녀 A4열 5 그랜드 캔디 Young Street B1 농담은 슬픈 사람을 위한 것이다 B2 나는 상록수 B3 평화는 본 적이 없다 B4 죽음은 댄서다
- Creation (1969), Uni/MCA US 빌보드 #97
- 판매용(1970), 암펙스 레코드
- Live at Lake Charles (1978년), Shroom Records
싱글스[6]
- "걸 오걸(Don't Push Me)" / "스티브 레노어"(1967) 미국 레코드 월드 #140[7]
- "헤이 미스터" / "당신의 드럼을 이길 수 있어"(1968년)
- "걸, 오걸" / "스티브 레노어"(1968년)
- "샌프란시스코 걸스 (원주민의 귀환)" / "Come with the Native" (1968) 미국 빌보드 #91
- "솔트레이크시티에 몇 시라고 하셨습니까?" / "어디 갔었습니까"(1968) 미국 현금 보관함 #105
참조
- ^ Whitburn, Joel (2009). Top Pop Singles 1955-2008 (12 ed.). Record Research. p. 341. ISBN 0-89820-180-2.
- ^ "Fever Tree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AllMusic. Retrieved 2020-03-18.
- ^ "Fever Tree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AllMusic. Retrieved 2020-03-18.
- ^ Whitburn, Joel (1996). Top Pop Albums 1955-1996 (4 ed.). Hal Leonard Publishing Corporation. p. 264. ISBN 0-89820-117-9.
- ^ Whitburn, Joel (2018). Top Pop Albums 1955-2016. Record Research Inc. ISBN 978-0-89820-226-7.
- ^ Roxon, Lillian (1972). Lillian Roxon's Rock Encyclopedia (Universal Library ed.). Grosset and Dunlop. p. 180. ISBN 0-448-00255-8.
- ^ Whitburn, Joel (2015). The Comparison Book Billboard/Cash Box/Record World 1954-1982. Sheridan Books. ISBN 978-0-89820-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