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수호자

Defender of the Faith

신앙의 수호자(라틴어:Fidei Defensor 또는 특히 여성스러운 Fidei Defensatrix; 프랑스어: Défenseur de la Foi)는 16세기 초부터 많은 영국 및 후기 영국 군주들의 풀스타일의 일부로 사용되어 온 구절이다.일부 다른 군주나 국가 원수들이 사용하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어, 영국어, 영국어 표기법

역사

전설 "마리아 1세 리지"와 함께 메리 1세 여왕의 훈장.앙글 프랑엣 히브.피데이 디펜사트릭스"

이 용어의 가장 초기 용어는 1507년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세교황 율리우스 2세로부터 "기독교 신앙의 수호자와 수호자"라는 칭호를 부여받았을 때 나타난다.그 칭호는 교황의 로버트 벨렌덴이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호화로운 의식에서 제임스 4세에게 수여되었다.[1][2]

"신앙의 수호자"는 1521년[3] 10월 11일 교황 레오 10세헨리 8세에게 수여한 이후 영국 및 후기 영국 군주들의 부제 칭호 중 하나이다.아라곤의 아내 캐서린도 이 호칭을 사용했다.[4]이 호칭은 결혼의 성스러운 본성과 교황의 패권을 옹호한 헨리의 저서 'Actionio Septem Sacramentorum'(7개 성찬의 수호)을 인정받아 수여됐다.이는 '헨리시아의 확언'으로도 알려졌으며, 개신교 개혁 초기 단계, 특히 마틴 루터의 사상에 대한 중요한 반대파로 여겨졌다.[5]

1530년 헨리가 로마와 결별하고 영국 교회의 수장으로 자리매김하기로 한 데 이어 교황 바오로 3세에 의해 (헨리의 행위가 '신앙'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호칭이 취소되고 헨리가 파문되었다.그러나,[6] 1543년 영국 의회는 헨리 8세와 그의 후계자들에게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수여했는데, 현재 성공회 신앙의 옹호자들은 그들(가톨릭 마리아 1세 제외)이 캔터베리 대주교 이상의 영장류로서 최고 통치자로 남아 있다.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5세는 1537년 1월 19일 교황 바오로 3세로부터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수여받았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왕이 그의 삼촌 헨리 8세가 따라온 길에 저항할 것이라는 교황의 희망을 상징한다.[7][8]이 타이틀도 제임스 4세의 "기독교 신앙의 수호자와 수호자"라는 타이틀도 스코틀랜드의 군주의 완전한 스타일의 일부가 되지 못했다.

'보호국' (1653–59) 기간 동안, 군주국보다 개신교로 더 분명히 프로파일링된 올리버 크롬웰리처드 크롬웰공화당 지도자들은 신성한 제재를 주장했지만, '신앙의 수호자'라는 스타일을 채택하지 않았다.이 문체는 군주제가 복원된 후 다시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대적 용법

1954년 왕실 방문을 위한 사우스 브리즈번 Vulture Street의 교회 장식

엘리자베스 2세영국 여왕으로서의 자격으로 "영국의 영연방 수장인 영연방 여왕, 신앙의 수호자, 신의 은총에 의한 엘리자베스 2세"로 불린다."신앙의 수호자"라는 호칭은 영국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서의 소버린의 위치를 반영하는데, 그는 따라서 캔터베리 대주교보다 정식으로 우위에 있다.원래 라틴어 구절인 Fidei Defensor현재 모든 영국 동전에 약칭인 FD 또는 FID DEF로 표현된다.이 표기법은 1714년 조지 1세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영국 동전에 처음 추가되었다.1849년 왕조폐국(王朝國)이 '신의 없는 플로린'에서 이것과 군주의 양식의 일부분을 생략하기로 한 결정으로 동전이 교체될 정도로 스캔들이 일어났다.[9]

대부분의 영연방 국가에서는 초기 "의 은혜에 의해서"는 유지되지만, 이 문구는 모나크의 완전한 문체로 나타나지 않는다.예를 들어, 호주에서 엘리자베스 여왕은 현재 "영연방 수장인 신의 은총, 호주의 여왕, 그리고 그녀의 다른 왕국과 영토에 의해" 스타일링되고 있다.그녀는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에서만 추가로 "Defender of the Faith"라는 스타일을 받는다.캐나다는 주권자가 국교(캐나다에는 없다)의 수호자로 간주되기 때문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신앙의 수호자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 문구를 포함하기로 선택했다.1953년 하원 연설에서 루이스 세인트 총리. 로랑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신앙의 수호자'라는 말이 유지되는 것에 대해 다소 미묘한 의문이 생겼다.영국에는 확립된 교회가 있다.우리 나라[영연방의 다른 군주국들]에는 기성교회가 없지만, 우리 나라에는 만능 섭리에 의한 인간사정의 방향에 신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시민 당국이 그들의 조직이 c의 방어라고 선언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느꼈다.단순한 사람의 일을 명령하는 최고 권력에 대한 신념을 강요하고, 최고 통치자에 대한 신앙의 신봉자, 그리고 최고 통치자에 대한 신앙의 수호자로 묘사되는, 최고 권위를 가진 주권자를 갖는 데 있어서 최고 존재를 믿는 사람으로부터 합리적인 반대가 있을 수 없다는 것에 대해.

Louis St. Laurent

그러나 캐나다 화폐에 사용되는 스타일은 간단히 D.G. 레지나(Dei Gratia Regina, "By the Grace of God, Queen)"이다.

호주에서 군주는 1973년까지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때 공식적으로 제거되었다.(그러나 "신의 은총에 의해"라는 말은 그대로 유지되었다.)[10]

여러 시기에 연방의 일부 국가는 1953년 5월 29일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공화국이 될 때까지 그 타이틀을 유지했다.다른 사람들은 1953년, 예를 들어, 여전히 영연방 영토에 있는 동안, 파키스탄은 압도적인 이슬람 인구와 기독교 신앙의 옹호자로서 군주를 갖는 것 사이의 모순을 인정하여 그 타이틀을 더 빨리 떨어뜨렸다.

현 후계자인 찰스 왕세자는 예상대로 왕위를 계승할 경우 이 역할의 정신을 바꾸고 싶다는 선호를 피력했다.그는 1994년 "는 개인적으로 믿음이 아닌 믿음의 수호자로서 [나의 미래 역할]을 보고 싶다"고 언급했고, 2015년에는 "믿음의 수호자가 되는 동시에 당신도 신앙의 수호자가 될 수 있다"고 명확히 했다.[11]

프랑스어의 사용법

아이티

1811년 그가 스스로 왕이라고 선언했을 때, 아이티앙리 1세는 "르 데펜수르 드 라 푸아"라는 칭호를 스스로 수여했고, 그것을 그의 완전한 스타일에 편입시켰다.[12]

par la grâce de Dieu et la loi constitutionnelle de l'état, roi du Haïti, souverains de Tortuga, Gonâve et d'autres îles adjacentes, destroyer de tyrannie, régénérateur et bienfaiteur de la nation de Haitian, créateur de ses établissements moraux, politiques et de Martial, le premier a couronné le monarque du nouveau monde, le défenseur de la foi, 퐁다테우르 드 라 커미테 로얄 외 밀리타아르 드 생 앙리

영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by the Grace of God and the Constitutional Law of the State, King of Haiti, Sovereign of Tortuga, Gonâve and other adjacent Islands, Destroyer of Tyranny, Regenerator and Benefactor of the Haitian Nation, Creator of her Moral, Political and Martial Institutions, First Crowned Monarch of the New World, Defender of the Faith, founder of the Royal and생헨리 군단

캐나다

이 프랑스 변종은 캐나다에서 군주 스타일의 공식 프랑스어 버전의 일부로 사용된다: "엘리자벳 듀스, 파 라 라 드 디우 라이네 로이아움-유니, 캐나다 et de sesesresaumes et territoires, 셰프 커먼웰스, 데펜수르 드 라 푸이"[13]

기타

1684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유럽 역사의 전환점으로 여겨지는 빈 해전 당시 기독교 연합군의 최고 지휘권을 장악한 폴란드의 왕 요한 3세 소비스키에게 데펜소르 피데이(폴란드어: 오브로이카 위아리) 명예 칭호를 수여해 오스만 제국의 정복에 방해가 되었다.[14]

에티오피아의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칭호 중 하나는 신앙의 수호자였다.[15][16]

마라타 제국의 초대 차트라파티 시바지에게 수여된 칭호 중 하나는 힌두교의 수호자를 뜻하는 하이다바 다모드하락이었다.[17]

수니파 이슬람교에서 신앙의 역사적 지도자는 영적인 통치자라기보다는 세속적인 통치자였다.이 지도자의 호칭은 칼리프(Caliph가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자였고 지구 상의 그의 공동체의 관리인이었던 것처럼, '스튜어드(steored Mahmad)' 또는 '스쿠처(successor)'와 같은 뜻의 아랍 칼리파에서 유래한 것이다.칼리프가 사용한 추가 호칭은 아미르 알 무민(Amir al Mu'minin)으로, '성실한 자들의 코맨더(Emir)'라는 뜻이다. 호칭은 여전히 모로코 왕이나 소코토 술탄처럼 역사적으로 칼리파이트를 주장했지만 공식적으로 더이상 그렇게 하지 않는 지도자들이 사용하고 있다.메카의 마스지드 알하람과 메디나예언자 모스크의 유지와 관리, 하지 순례와 그 의식을 보호하는 일을 담당하는 세속적인 통치자를 두 개의 성스러운 모스크의 관리자로 부른다.이 타이틀은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이 가지고 있다.

니자리 시아 이슬람교에서 신앙의 지도자는 아그하칸으로 알려져 있다.'아그하'는 '주인' 또는 '주님'을 뜻하며, ''은 투르크 문화권이나 몽고교 문화권에서는 통치권의 칭호다.

유사한 제목

다른 나라의 군주들은 교황으로부터 비슷한 칭호를 받았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아이티 왕국의 헌법은 입문서적 정당성과 첫 번째 타이틀만을 주었다는 점에 주목하라: 파 라 그라스디우 et la loi 헌법, 로이 디하티.

참조

  1. ^ 그랜트의 "오래된 에든버러와 뉴에든버러
  2. ^ 맥두걸, 노먼, 제임스 4세, 턱웰(1997); 22페이지.
  3. ^ "defender of the faith – English royal title".
  4. ^ 안토니아 프레이저, 헨리 8세의 부인들 95페이지
  5. ^ O'Donovan, Louis (5 November 2019). The Defence of the Seven Sacraments. ISBN 9781538092026.
  6. ^ 35 Hen 8 c. 3. 영어 제목 "잉글론드 프라운스와 페이테의 아일랜드 디펜더의 신의 은총으로 8세, 그리고 엥글론데의 추르체, 그리고 최고 헤데의 아일랜데의 은총으로 8세"를 제정했다.
  7. ^ 카메론, 제이미, 제임스 V, 터크웰(1998), 288.
  8. ^ 헤이, 데니스, 에드, 레터즈 오브 제임스 V, HMSO (1954), 328
  9. ^ Stephen Appleton (September 2001). "Agnostic Coinage". Queensland Numismatic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8-29. Retrieved 2007-08-21.
  10. ^ 윌리엄스, 로이(2013년).The God Thes Trust?, 페이지 168. Bible Society Australia, Canberra.
  11. ^ "Faith". The Prince of Wales and the Duchess of Cornwall. princeofwales.gov.uk. Retrieved 2016-11-01.
  12. ^ Cahoon, Ben M. (2019). "Haiti". worldstatesmen.org. Retrieved 2019-08-13.
  13. ^ Loi sur les titres royaux, L.R.C. (1985), Ch. R-12
  14. ^ "Jan III Sobieski - A Polish King in Vienna" (PDF).
  15. ^ Belay, Tigist; Astill, James (2 November 1998). "Lion of Judah controversial to the last". The Guardian. Retrieved 11 February 2020.
  16. ^ "Defender of Faith". The Sunday Mail. 17 January 2016. Retrieved 11 February 2020.
  17. ^ Satish Chandra (1982). Medieval India: Society, the Jagirdari Crisis, and the Village. Macmillan. p. 140. ISBN 9780333903964.